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화 콘텐츠의 산업적 활용 방안  :  앙코르왓의 힌두신화를 중심으로 = Industrial application of culture contents in terms of the Hindu myth of Angkor W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28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stablishing culture contents require their future application in the various industrial sectors from the early phase of planning. Basically a culture contents' planner should have one thing in their mind: it should be user friendly. If the outcome of culture contents has neither any user nor any application, it already has neither value nor benefit.
      Due to the indifference among scholars in humanities, there have been delays in finding, planning, and establishing culture contents which are of industrial value and of personal benefit. Hindu myth perhaps is one of the undervalued areas by the scholars in this field. In fact the correct knowledges of Hindu myth allows us to evaluate and to understand various cultural properties scattered around India, South east Asia, and Central Asia. This paper shows how Hindu myth sculpted in the first floor's corridor at the main temple of Angkor Wat has been developed as digital culture contents and how the outcome of this contents can be utilized among the various industrial sectors.
      From the experience of establishing Angkor Wat as digitally usable culture contents, several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could be emerged as a possible candidate which has both industrial value and personal benefit: the Seokgulam cave and the tripitaka koreana's library in Korea and the great st?pa in Sanch and Barhut in India.
      번역하기

      Establishing culture contents require their future application in the various industrial sectors from the early phase of planning. Basically a culture contents' planner should have one thing in their mind: it should be user friendly. If the outcome of...

      Establishing culture contents require their future application in the various industrial sectors from the early phase of planning. Basically a culture contents' planner should have one thing in their mind: it should be user friendly. If the outcome of culture contents has neither any user nor any application, it already has neither value nor benefit.
      Due to the indifference among scholars in humanities, there have been delays in finding, planning, and establishing culture contents which are of industrial value and of personal benefit. Hindu myth perhaps is one of the undervalued areas by the scholars in this field. In fact the correct knowledges of Hindu myth allows us to evaluate and to understand various cultural properties scattered around India, South east Asia, and Central Asia. This paper shows how Hindu myth sculpted in the first floor's corridor at the main temple of Angkor Wat has been developed as digital culture contents and how the outcome of this contents can be utilized among the various industrial sectors.
      From the experience of establishing Angkor Wat as digitally usable culture contents, several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could be emerged as a possible candidate which has both industrial value and personal benefit: the Seokgulam cave and the tripitaka koreana's library in Korea and the great st?pa in Sanch and Barhut in Ind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콘텐츠는 기획단계에서부터 앞으로 이것이 어떤 방향에서 어떠한 용도로 사용될 것인가에 포커스가 맞춰져야 한다. 문화콘텐츠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없고 활용도가 없는 문화콘텐츠는 이미 그 가치를 상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문학을 하는 학자들의 무관심속에 인문학의 여러 분야들 속에 숨어있는 이러한 실용적 가치를 지닌 콘텐츠들이 재대로 발굴되고 기획되고 산업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아마도 힌두신화는 기존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가치가 저평가된 대표적인 분야이다. 힌두신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인도와 동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에 산재해 있는 수많은 문화재들을 올바르게 이해가고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여기에서는 캄보디아의 대표적 문자재인 앙코르왓의 제1회랑에 조각되어있는 부조들을 바탕으로 관련된 힌두신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힌두신화를 살려내는 과정을 검토하면서, 이러한 문화콘텐츠가 어떤 방향으로 산업화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앙코르왓 제1회랑의 문화콘텐츠화를 바탕으로 계속해서 산업적 활용도가 높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불교문화콘텐츠로서 한국에서는 석굴암과 장경각 인도에서는 산치와 바루후트의 대탑을 추천한다.
      번역하기

      문화콘텐츠는 기획단계에서부터 앞으로 이것이 어떤 방향에서 어떠한 용도로 사용될 것인가에 포커스가 맞춰져야 한다. 문화콘텐츠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왜냐...

      문화콘텐츠는 기획단계에서부터 앞으로 이것이 어떤 방향에서 어떠한 용도로 사용될 것인가에 포커스가 맞춰져야 한다. 문화콘텐츠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없고 활용도가 없는 문화콘텐츠는 이미 그 가치를 상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문학을 하는 학자들의 무관심속에 인문학의 여러 분야들 속에 숨어있는 이러한 실용적 가치를 지닌 콘텐츠들이 재대로 발굴되고 기획되고 산업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아마도 힌두신화는 기존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가치가 저평가된 대표적인 분야이다. 힌두신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인도와 동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에 산재해 있는 수많은 문화재들을 올바르게 이해가고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여기에서는 캄보디아의 대표적 문자재인 앙코르왓의 제1회랑에 조각되어있는 부조들을 바탕으로 관련된 힌두신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힌두신화를 살려내는 과정을 검토하면서, 이러한 문화콘텐츠가 어떤 방향으로 산업화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앙코르왓 제1회랑의 문화콘텐츠화를 바탕으로 계속해서 산업적 활용도가 높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불교문화콘텐츠로서 한국에서는 석굴암과 장경각 인도에서는 산치와 바루후트의 대탑을 추천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2
      • 2. 앙코르왓과 힌두신화 = 23
      • 3. 콘텐츠의 구축 = 26
      • 4. 우유바다 휘젓기와 랑까전투 = 29
      • 5. 산업적 활용 방안 = 36
      • 1. 서 론 = 22
      • 2. 앙코르왓과 힌두신화 = 23
      • 3. 콘텐츠의 구축 = 26
      • 4. 우유바다 휘젓기와 랑까전투 = 29
      • 5. 산업적 활용 방안 = 36
      • 6. 결 론 = 39
      • Abstract = 4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