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운 목사(1911-1969)의 생애는 만주에서 보낸 중고등학교 시절과 국내외 대학에서의 신학수업 기간을 제외하면 교회목회(1936-1941)와 교육활동(1945-1949, 1952-1969)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호운 목사(1911-1969)의 생애는 만주에서 보낸 중고등학교 시절과 국내외 대학에서의 신학수업 기간을 제외하면 교회목회(1936-1941)와 교육활동(1945-1949, 1952-1969)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는 ...
이호운 목사(1911-1969)의 생애는 만주에서 보낸 중고등학교 시절과 국내외 대학에서의 신학수업 기간을 제외하면 교회목회(1936-1941)와 교육활동(1945-1949, 1952-1969)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는 그의 생애의 가장 중요한 시기인 30대 중반부터 50대 후반까지의 시기를 미국에서 공부했던 3년을 제외하고는 교육활동으로 보냈으며, 그것도 신학교육에 종사했다. 그의 신학교육 활동은 강남대학교(1947-1949), 감리교신학대학교(1952-1956), 목원대학교(1956-1968)에서 전개되었는데, 대전에서는 교수로서 그리고 학교 책임자로서 신학교육을 책임지는 위치에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농촌 교역자 양성이라는 목원대의 신학교육의 목표와 이상을 실험하고 구체화하였다.
이 글은 이호운 목사가 가장 심혈을 기울여 일했던 목원대학교에서의 신학교육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를 살펴보려고 한다. 1950년대에서 60년대에 걸친 목원대학교의 신학교육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제기된 감리교회의 농촌선교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것이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수행하고 그것을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의 전통으로 만든 것은 이호운 목사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