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 A survey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use of the English library for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2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on what is needed to operate and use English libraries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is go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710 students, 590 parents, and 288 teachers nationwide. The survey consisted of ten questions in four categories: the necessity of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materi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in English libraries, types of activity programs, and suggestions on the efficient use of English librar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on a 100-point scale to show the preference of the three groups of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groups considered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helpful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Second,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should not only be a place for reading books, but also a place for activity-based learning. Third, parents and teachers agreed that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can be successful when there is a consistent supply of materials and human and financial support. Finally,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need to be operated by well-trained experts to help learners use the facilities more effective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on what is needed to operate and use English libraries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is go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710 students, 590 p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on what is needed to operate and use English libraries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is go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710 students, 590 parents, and 288 teachers nationwide. The survey consisted of ten questions in four categories: the necessity of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materi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in English libraries, types of activity programs, and suggestions on the efficient use of English librar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on a 100-point scale to show the preference of the three groups of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groups considered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helpful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Second,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should not only be a place for reading books, but also a place for activity-based learning. Third, parents and teachers agreed that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can be successful when there is a consistent supply of materials and human and financial support. Finally, English libraries in schools need to be operated by well-trained experts to help learners use the facilities more eff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어 친화적 환경 조성의 일환으로 최근 추진되고 있는 학교 영어도서관 구축과 관련하여 그 활용성과 효용성을 제고하고자 학생,교사,학부모의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은 전국적으로 학생 710명,학부모 590명,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영어도서관이 영어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10개 문항으로 질문하였다. 조사내용을 분석한 결과,설문 참여 집단 모두 영어도서관이 영어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집단별로 약간 차이는 있었지만 상당수의 설문 참여자는 영어도서관이 기존의 다른 시설과 별도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영어도서관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에 동의하지만 집단별로 선호하는 활동은 약간씩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영어도서관은 도서는 물론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을 갖춘 별도의 공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어 친화적 환경 조성의 일환으로 최근 추진되고 있는 학교 영어도서관 구축과 관련하여 그 활용성과 효용성을 제고하고자 학생,교사,학부모의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목적...

      본 연구는 영어 친화적 환경 조성의 일환으로 최근 추진되고 있는 학교 영어도서관 구축과 관련하여 그 활용성과 효용성을 제고하고자 학생,교사,학부모의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은 전국적으로 학생 710명,학부모 590명,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영어도서관이 영어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10개 문항으로 질문하였다. 조사내용을 분석한 결과,설문 참여 집단 모두 영어도서관이 영어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집단별로 약간 차이는 있었지만 상당수의 설문 참여자는 영어도서관이 기존의 다른 시설과 별도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영어도서관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에 동의하지만 집단별로 선호하는 활동은 약간씩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영어도서관은 도서는 물론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을 갖춘 별도의 공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후동, "효과적인 초등학교 영어체험학습센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한국영어교육학회 63 (63): 333-359, 2008

      2 곽철완,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 방안 효과에 대한 분석- 2003-05년도 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7 (37): 143-160, 2006

      3 한국교육정보학술원, "학교도서관 평가 적용 및 교육적 효과 측정 연구"

      4 이병천, "초등학교 영어체험학습시설의 활용 실태 및 개선방안"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9 (19): 251-10, 2007

      5 박애진, "초등학교 도서관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7

      6 조경숙, "초등영어 읽기 교육 방안" 12 (12): 153-171, 2000

      7 오선영, "조용한 도서관 no! 우린 토론하며 영어 배워요" 조선일보

      8 교육인적자원부, "외국어과 교육과정(제2007-79호)" 대한교과서 2007

      9 이인순, "영어도서관 개관 학생들로 북적" 어린이동아

      10 좌승희, "영어 동화를 이용한 초등 영어 읽기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1 강후동, "효과적인 초등학교 영어체험학습센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한국영어교육학회 63 (63): 333-359, 2008

      2 곽철완,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 방안 효과에 대한 분석- 2003-05년도 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7 (37): 143-160, 2006

      3 한국교육정보학술원, "학교도서관 평가 적용 및 교육적 효과 측정 연구"

      4 이병천, "초등학교 영어체험학습시설의 활용 실태 및 개선방안"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9 (19): 251-10, 2007

      5 박애진, "초등학교 도서관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7

      6 조경숙, "초등영어 읽기 교육 방안" 12 (12): 153-171, 2000

      7 오선영, "조용한 도서관 no! 우린 토론하며 영어 배워요" 조선일보

      8 교육인적자원부, "외국어과 교육과정(제2007-79호)" 대한교과서 2007

      9 이인순, "영어도서관 개관 학생들로 북적" 어린이동아

      10 좌승희, "영어 동화를 이용한 초등 영어 읽기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11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영어 공교육 완성 실천방안"

      12 "http://korea.kr/newsWeb/appmanager/portal/"

      13 Goodman,K, "What's whole in whole language? (20th Anniversary edition)" RDR Books 2005

      14 Krashen,S, "We acquire vocabulary and spelling by reading: Additional evidence for the input hypothesis" 73 (73): 440-464, 1989

      15 Krashen,S, "The power of reading" Libraries Unlimited 1993

      16 Elley,W, "The potential of book floods for raising literacy levels" 46 (46): 233-255, 2000

      17 Rodney, M., "Make the connection: Quality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impact academic achievement in Iwoa" Missisippi Bend Area Educaiton Agency 2002

      18 Sarah,C, "For the love of reading. the Star"

      19 U.S.Department of Education, "Evaluation of the improving literacy through school libraries program" Education Publications Center 2005

      20 Gardner,D, "Establishing self-access: From theory to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1 Spencer, R. M., "English language arts library classroom: A proposal for the SEK Catalynya"

      22 Spencer,R.M, "Developing library classroom children's collections in English for a Catalunyan private school" 24 (24): 117-123,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