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문헌과 같이 한자를 많이 사용하는 문서를 KSC-5601 문자코드로 입력하기에는 지원하는 한자의 수가 크게 부족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한자를 지원할 수 있는 문자코드를 사용하여야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571432
1999
Korean
223.5
학술저널
139-159(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고문헌과 같이 한자를 많이 사용하는 문서를 KSC-5601 문자코드로 입력하기에는 지원하는 한자의 수가 크게 부족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한자를 지원할 수 있는 문자코드를 사용하여야 한...
한국고문헌과 같이 한자를 많이 사용하는 문서를 KSC-5601 문자코드로 입력하기에는 지원하는 한자의 수가 크게 부족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한자를 지원할 수 있는 문자코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전세계를 연결하는 인터넷을 통하여 입력된 문서를 공개하기 위해서는 한 나라에 국한된 문자코드로 문서를 입력할 경우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 이런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니코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유니코드 한자를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는 도구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유니코드 한자입력기와 문서편집기를 개발하였다. 유니코드 한자입력기는 유니코드 내의 모든 한자를 한글 음의 순서로 재배열하였으며, 유니코드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글을 먼저 입력하고 해당 음의 한자로 변환하는 음전환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유니코드 한자입력기와 문서편집기를 사용하여 한국고문헌인 한국불교전서를 입력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유니코드와 SGML을 이용한 한국불교전서 데이터베이스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