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문학과 철학의 상상력 이론과 그 적용에 대한 연구에서 현대철학의 상상력 성찰들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의 상상력 이론이 다루어지고, 그리고 우리 사회의 주요한 문화적 주제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2723
-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문학과 철학의 상상력 이론과 그 적용에 대한 연구에서 현대철학의 상상력 성찰들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의 상상력 이론이 다루어지고, 그리고 우리 사회의 주요한 문화적 주제인...
현대 문학과 철학의 상상력 이론과 그 적용에 대한 연구에서 현대철학의 상상력 성찰들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의 상상력 이론이 다루어지고, 그리고 우리 사회의 주요한 문화적 주제인 이미지, 신화 그리고 환상예술에서 상상력의 발현 및 적용이 고찰되었다.
1) 현대철학의 상상력이론에 대한 연구는 세 주제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는데, 현상학적 철학에서 상상하는 주체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 첫 주제이다. 그러나 그곳에서는 상상하는 주체가 암시적이고 부분적으로 다루어졌다. 둘째 주제는 보다 더 적극적으로 상상력의 기능을 세계이해와 세계해석의 능력으로 다루는 해석학적 철학이었다. 셋째 주제는 신화의 해석과 이해에서 상상력을 중요한 기능으로 부각하였던 문화철학적 상상력 이론을 다루었다.
2) 이미지와 상상력의 부흥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는 과연 활자 매체 중심의 교육과 문화에서 영상 매체 중심으로 옮겨가야 할 것인가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우리는 영상 매체 시대라 할지라도 문자 매체를 포기할 수는 없으며, 문자와 이미지(영상)는 상호 배타적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발전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영상 매체의 심각한 부작용이 드러나고 있는 우리 시대에 ‘문화적 사멸’을 막기 위해 영상 매체 자체에 대한 교육과 아울러 인문학에 대한 교육, 그리고 문화와 인문학의 만남을 역설하였다.
3) 그리스 신화와 고대 자연철학에서 나타난 상상력의 현대적 조망에 대한 연구는 흙, 물, 불, 공기 등의 네 원소에 관련된 신화와 자연 철학을 다루었다. 호메로스나 헤시오도스와 같은 신화론자들은 인간과 천체에 대해 경외감을 갖고 물음을 제기하고 답하였다. 신화적 상상력이 로고스적 사고를 촉발시키며 그것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인간정신의 근본적인 원형적 힘으로 작용하였다. 여기에서 우리는 상상력이 세계를 해석하고 이해하고 구성하는 능력이라고 파악하는 현대 상상력 이론의 단초를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4) 상상력과 환상예술에 대한 연구는 그르노블 학파의 상상력 이론을 바탕으로 19세기 서구의 환상문학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환상 문학에서 악의 편재성에 대한 편집광적인 확인과 악의 퇴치라는 적극적 대립 상상력이 우세함을 이미지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분법적 상상력의 대립구조는 공포라는 테마와 타자성의 테마를 통해서도 나타났다. 환상문학은 인간 각자의 내면 깊은 곳에 도사린 두려움과 공포라는 저장고를 가동시키며, 대립 가치들을 차이를 심화시킨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study of theory and application of imagination in contemporary literature and philosophy, we investigate theories of imagination of contemporary philosophies and postmodern thinkers. And then we inquire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appearances a...
In a study of theory and application of imagination in contemporary literature and philosophy, we investigate theories of imagination of contemporary philosophies and postmodern thinkers. And then we inquire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appearances and applications of imagination in multifarious practical spheres of our important cultural thesis.
1) "A theory of contemporary philosophy(imagination as constitution and interpret)" is to systematize theories of imagination in Phenomenology, Hermeonotic, Cultural Philosophy. The first theme is a study of character of an imaging subject in phenomenological philosophies. But an imaging subject is treated vaguely and partially in phenomenological philosophies. The second theme is a investigation of a new comprehension of an imagination as a potential capacity that understands and interprets a world. The third theme is a theory of imagination of the cultural philosophy that has treated imagination as the important function in the interpret and understanding of a myth. 2) In "postmodernism and resurgence of image and imagination" we should not head for art and communication making away with the image, an important medium in our age. We must explore ways toward a new civilization both by admitting the coexistence of the speech, letter with image, and by conquer the negative elements of the image. To avoid 'cultural death' provoked by the negative reaction of the digital image, we insisted the education of the digital image as well as the meeting between the culture and human sciences.
3) "A contemporary prospect of imagination in greek myth and ancient natural philosophy" treates four elements- earth, air, fire and water- appear in myth, philosophy and literature. By these four elements we can have mythical understanding, philosophical explanation and literary experience for world. The philosophical argument in early greek philosophy was possible with imagination. We can't deny that mythological imagination excites reasonable speculation and complements it. 4) In "imagination and fantastic art," we tried to read the fantastic literature of 19th century according to the theory of imagination established by the Grenoblois. We thought that the schizomorphic structure of images characterizes very well the fantastic literature of 19th century. Analyses of images prove that in the fantastic literature are dominated the idea of evil et the chase after evil. The structure diaereticism has been revealed also by the theme of horror and otherness. The fantastic literature works the stock of fear in human mind and deepens the fosse between opposite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