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극의 포스트드라마적 가능성 - 페터 한트케의 관객모독과 카스파를 중심으로 = Das postdramatische Potential des Sprechstückes - Am Beispiel von Peter Handkes Publikumsbeschimpfung und Kasp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9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r Theoretiker des postdramatischen Theaters Hans-Thies Lehmann ordnete zwar P. Handkes Sprechstücke zusammen mit dem absurden Theater nur der Vorgeschichte des Postdramas zu, erkannte aber eine ästhetische Differenzierung der Sprechstücke gegenüber anderen zeitgenössischen Theaterformen an. Davon ausgehend will die vorliegende Studie die Sprechstücke Publikumsbeschimpfung und Kaspar von P. Handke im Rahmen der Theorie des postdramatischen Theaters rekontextualisieren. Dazu werden die Kategorien “Performativität” und “Einbruch des Realen” im Hinblick auf die Beziehung zum Publikum zur Rede gebracht, die als wichtige Eigenschaften des postdramatischen Theaters angeführt werden. In diesem Sinne weist das Sprechstück hervorragend auf das Motto ‘Politik als Aufhören des Politischen’ hin, eine Forderung, die Lehmann an das Postdrama stellte. So liefert Handke hier den Raum, wo sich Diskurs und Dekonstruktion ästhetisch sowie spielerisch überschneiden.
      번역하기

      Der Theoretiker des postdramatischen Theaters Hans-Thies Lehmann ordnete zwar P. Handkes Sprechstücke zusammen mit dem absurden Theater nur der Vorgeschichte des Postdramas zu, erkannte aber eine ästhetische Differenzierung der Sprechstücke gegenü...

      Der Theoretiker des postdramatischen Theaters Hans-Thies Lehmann ordnete zwar P. Handkes Sprechstücke zusammen mit dem absurden Theater nur der Vorgeschichte des Postdramas zu, erkannte aber eine ästhetische Differenzierung der Sprechstücke gegenüber anderen zeitgenössischen Theaterformen an. Davon ausgehend will die vorliegende Studie die Sprechstücke Publikumsbeschimpfung und Kaspar von P. Handke im Rahmen der Theorie des postdramatischen Theaters rekontextualisieren. Dazu werden die Kategorien “Performativität” und “Einbruch des Realen” im Hinblick auf die Beziehung zum Publikum zur Rede gebracht, die als wichtige Eigenschaften des postdramatischen Theaters angeführt werden. In diesem Sinne weist das Sprechstück hervorragend auf das Motto ‘Politik als Aufhören des Politischen’ hin, eine Forderung, die Lehmann an das Postdrama stellte. So liefert Handke hier den Raum, wo sich Diskurs und Dekonstruktion ästhetisch sowie spielerisch überschneid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리스토텔레스의 극 전통을 따르던 기존의 연극은 20세기 초 막다른 길에 처하게 된다. 새로운 연극에 대한 요구에 따라 연극은 연극만의 대체될 수 없는 특징과 잠재력을재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네오아방가르드 운동의 전개와 함께 포스트드라마연극의 시작으로 이어진다. 포스트드라마 이론가 한스-티즈 레만 H. Lehmann은 뒤렌마트 F. Dürrenmatt, 프리쉬 M. Frisch 등의 부조리극과 함께 한트케 P. Handke 의 언어극 역시 포스트드라마의 전사(前史)로 여겼지만, 그럼에도 언어극이 지닌 심미적 차별성은 인정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로부터 출발하여 한트케의 언어극을 포스트드라마 범주 내에 보다 적극적으로 재맥락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언어극과 서사극의차이 혹은 직접적인 사회참여적 성격이 조명되는 대신 레만이 포스트드라마의 특징으로언급한 주요 측면들 중 새로운 연극성의 본질인 ‘현재성’의 강조와 ‘실재적인 것의 난입’ 을 통한 관객과의 관계가 논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언어극은 레만이 포스트드라마에요구한 ‘정치적인 것의 중단으로서의 정치성’을 담지함이 드러난다. 이로써 한트케의 언어극은 기존 예술과 도구적 언어관에 대한 전복적 통찰을 유희적 특징들을 통해 심미적으로 드러내는, 비판이론과 해체론이 교차하는 포스트드라마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아리스토텔레스의 극 전통을 따르던 기존의 연극은 20세기 초 막다른 길에 처하게 된다. 새로운 연극에 대한 요구에 따라 연극은 연극만의 대체될 수 없는 특징과 잠재력을재발견하고자 하...

      아리스토텔레스의 극 전통을 따르던 기존의 연극은 20세기 초 막다른 길에 처하게 된다. 새로운 연극에 대한 요구에 따라 연극은 연극만의 대체될 수 없는 특징과 잠재력을재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네오아방가르드 운동의 전개와 함께 포스트드라마연극의 시작으로 이어진다. 포스트드라마 이론가 한스-티즈 레만 H. Lehmann은 뒤렌마트 F. Dürrenmatt, 프리쉬 M. Frisch 등의 부조리극과 함께 한트케 P. Handke 의 언어극 역시 포스트드라마의 전사(前史)로 여겼지만, 그럼에도 언어극이 지닌 심미적 차별성은 인정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로부터 출발하여 한트케의 언어극을 포스트드라마 범주 내에 보다 적극적으로 재맥락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언어극과 서사극의차이 혹은 직접적인 사회참여적 성격이 조명되는 대신 레만이 포스트드라마의 특징으로언급한 주요 측면들 중 새로운 연극성의 본질인 ‘현재성’의 강조와 ‘실재적인 것의 난입’ 을 통한 관객과의 관계가 논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언어극은 레만이 포스트드라마에요구한 ‘정치적인 것의 중단으로서의 정치성’을 담지함이 드러난다. 이로써 한트케의 언어극은 기존 예술과 도구적 언어관에 대한 전복적 통찰을 유희적 특징들을 통해 심미적으로 드러내는, 비판이론과 해체론이 교차하는 포스트드라마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촌디, 페터, "현대드라마의 이론(1880-1950)" 탐구당 1983

      2 이준서,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정치성 구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엘프리데 옐리넥의 「울리케 마리아 슈투아르트」를 예로 삼아" 한국독어독문학회 59 (59): 141-160, 2018

      3 이재민,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역사적 형성과정" 한국독어독문학회 62 (62): 185-211, 2021

      4 이진아,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푸른사상 245-283, 2011

      5 이재원, "페터 한트케의 언어개념 - 『관객모독』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84 (84): 91-115, 2022

      6 한트케, 페터, "카스파"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7 김형기, "역사적 아방가르드와 네오아방가르드 연극의 개념에 대하여" 51 : 23-27, 2008

      8 보드리야르, 장, "시뮬라시옹" 민음사 1992

      9 유봉근, "레만의 포스트드라마 연극론에서 수행성과 매체성의 문제" 한국브레히트학회 (26) : 83-104, 2012

      10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퍼포먼스와 ‘수행적인 것’을 중심으로" 한국브레히트학회 (24) : 113-145, 2011

      1 촌디, 페터, "현대드라마의 이론(1880-1950)" 탐구당 1983

      2 이준서,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정치성 구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엘프리데 옐리넥의 「울리케 마리아 슈투아르트」를 예로 삼아" 한국독어독문학회 59 (59): 141-160, 2018

      3 이재민,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역사적 형성과정" 한국독어독문학회 62 (62): 185-211, 2021

      4 이진아,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푸른사상 245-283, 2011

      5 이재원, "페터 한트케의 언어개념 - 『관객모독』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84 (84): 91-115, 2022

      6 한트케, 페터, "카스파"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7 김형기, "역사적 아방가르드와 네오아방가르드 연극의 개념에 대하여" 51 : 23-27, 2008

      8 보드리야르, 장, "시뮬라시옹" 민음사 1992

      9 유봉근, "레만의 포스트드라마 연극론에서 수행성과 매체성의 문제" 한국브레히트학회 (26) : 83-104, 2012

      10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퍼포먼스와 ‘수행적인 것’을 중심으로" 한국브레히트학회 (24) : 113-145, 2011

      11 Berduta, Oxana, "Zwischen Spiel und Ernstfall: Kommunikationsstile im Drama Peter Handkes" Mannheim 2010

      12 Fischer-Lichte, Erika, "Vom ‘Text’ zur ‘Performance’. Der ‘performative turn’ in den Kulturwissenschaften" Kunstforum, Band 2000

      13 Kricsfalusi, Beatrix, "Vom Metadrama zum postdramatischen Theater. Spielarten der dramatischen Selbstreflexion im zeitgenössischen deutschsprachigen Drama" Debrecen 2010

      14 Bayerdörfer, Hans-Peter, "Vom Drama zum Theatertext?" Tübingen 2007

      15 Kotte, Andreas, "Theaterwissenschaft" Köln 2005

      16 Jaeger, Dagmar, "Theater im Medienzeitalter. Das postdramatische Theater bon Elfriede Jelinek und Heiner Müller" Bielefeld 2007

      17 Handke, Peter, "Stücke 1" Frankfurt a. M 1972

      18 Lehmann, Hans-Thies, "Postdramatisches Theater" Frankfurt a. M 2005

      19 Klessinger, Hannah, "Postdramatik. Transformationen des Epischen Theaters Bei Peter Handke, Heiner Muller, Elfriede Jelinek und Rainald Goetz" Berlin/Boston 2015

      20 Gilcher-Holtey, Ingrid, "Politisches Theater nach 1968. Regie, Dramatik und Organisation" Frankfurt a. M. 7-18, 1968

      21 이현숙, "Peter Handke의 구변극" 서울고지사 1993

      22 Lehmann, Hans-Thies, "Peter Handkes postdramatische Poetiken"

      23 Hentschel, Ulrike, "Performance – Positionen zur zeitgenössischen szenischen Kunst" Bielefeld 131-146, 2005

      24 Valentin, Jean-Marie, "Pater Handke" Frankfurt a. M. 51-74, 1985

      25 Weiler, Christel, "Metzler Lexikon Theatertheorie" Stuttgart/Weimar 245-248, 2005

      26 Umathum, Sandra, "Metzler Lexikon Theatertheorie" Stuttgart 2005

      27 Cohn, Dorrit, "Metalepsis and Mise en Abyme" 20 (20): 105-114, 2012

      28 Stegemann, Bernd, "Lektionen 1 Dramaturgie" Berlin 2009

      29 Baloch, Harald, "Informationen zur Deutschdidaktik. Zeitschrift für den Deutschunterricht in Wissenschaft und Schule 25" Innsbruck-Wien-München-Bozen 54-61, 2001

      30 Handke, Peter, "Ich bin ein Bewohner des Elfenbeinturms" Frankfurt a. M 1972

      31 Mersch, Dieter, "Herneneutik der Religionen" Tübingen 35-57, 2007

      32 Schröder, "Geschichte der deutschen Literatur von 1945 bis zur Gegenwart" München 1080-1120, 1945

      33 Schmidt, Volker, "Die Entwicklung der Sprachkritik im Werk von Peter Handke und Elfriede Jelinek. Eine Untersuchung anhand ausgewählter Prosatexte und Theaterstücke" Heidelberg 2007

      34 Poschmann, Gerda, "Der nicht mehr dramatische Theatertext. Aktuelle Bühnenstücke und ihre dramaturgische Analyse" Tübingen 1997

      35 Ringleben, Joachim, "Der lebendige Gott. Gotteslehre als Arbeit am Begriff" Tübingen 2018

      36 Lehmann, Hans-Thies, "Das politische Schreiben. Essays zu Theatertexten" Berlin 11-21,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