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액션 영화 속 영웅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중국, 한국, 미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62997

      • 저자
      • 발행사항

        충남: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진영상미디어학과 , 2023.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1.4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Hero Images in Action Films :- Focusing on China, Korea and America -

      • 형태사항

        211 p.: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종윤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44007-200000663971

      • 소장기관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적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20세기 20년대에 중국의 첫 액션 영화 <홍련사를 불태우다>(火烧红莲寺)가 탄생함에 따라 근 1세기의 발전과정에 중국 액션 영화는 두 차례의 번영과 두 차례의 슬럼프를 겪었다. 21세기 들어 중국 액션 영화는 새로운 시대에 다시 궐기하여 중국인들의 사랑을 받는 영웅형상을 탄생시켰다. 미국 액션 영화는 줄곧 고품질의 발전을 유지하며 업계 1위를 굳건히 차지하고 있으며, 액션 영화에서 만들어낸 영웅은 전 세계 관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한국 영화도 “한국영화진흥위원회”의 설립과 함께 발전했다. 한국의 영화 제작 기법은 국제 최고 수준에 이르렀을 뿐만 아니라 영화에서 만들어진 인물 이미지도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이 자리 잡았다. 최근 몇 년 동안 대량의 한국 영화가 국제영화제에서 좋은 방응을 얻었다.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의 형성은 영화의 성패와 직결될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영화 산업 발전 수준을 돋보이게 하고 국가 문화 전파의 범위와 깊이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영웅 이미지의 외형과 내포 두 가지 측면을 비교 분석하고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가 형성된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한다. 연구 결과를 얻은 후에 호프스테드(Hofstede)의 문화 차원 이론을 활용하여 중국, 한국, 미국 3개국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 형성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난 근본 원인을 탐구한다. 연구자들은 얻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중국 감독과 다른 나라의 감독들에게 영웅 이미지 메이킹에 좋은 조언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또한 본고의 연구 결과가 액션 영화의 다문화 전파에 좋은 조언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주로 문헌 조사연구법과 비교 분석법을 사용한다. 많은 선행연구와 문헌의 연구를 통하여 영웅, 영웅 형상, 액션 영화에서의 영웅 형상 등 개념을 정의한다. 중국, 한국, 미국 3개국 액션 영화에서의 영웅 이미지에 대해 설명하고, 중국, 한국, 미국 3개국 액션 영화에서의 영웅 이미지의 서로 다른 특징을 분석하였다. 세 나라 액션 영화에서 영웅의 형상 형성과 발전, 변화 과정을 고찰한다.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에서의 서로 다른 역사 시기의 영웅 이미지에 대해, 나아가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가 영웅 이미지를 만들 때 중점을 요약할 수 있으며,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의 특징을 연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의 형성은 유사성이 있다. 영웅 형상의 ‘외재’ 방면에서 3개 나라의 영웅 유형이 풍부하고 부동한 영웅 유형을 보여주었다. 세 나라의 영웅은 모두 무기를 사용하여 싸운다. 영웅 형상의 ‘내재’ 방면에서 3개 나라 액션 영화에서의 영웅 능력은 기본적으로 후천적으로 습득된 것으로서 일부 미국 액션 영화에서 초능력 영웅 능력만이 부모의 혈통과 인종을 유전하고 태어나면 스스로 초능력을 갖고 있다. 영웅은 가치취향 면에서 세 나라의 영웅은 모두 영웅이 악세력(恶势力)을 징벌하고 선량한 가치취향을 장려하고 널리 알리는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영웅은 언제 어디서나 용감한 행동을 하여 업신여김을 당한 사람을 구하고 공평과 정의를 고양할 수 있다. 영웅의 의지품성에서 3개 나라의 영웅들은 모두 강인하고 과단성 있는 의지품성을 갖고 있는데 이런 좋은 의지품성은 영웅이 구조임무를 순조롭게 완수할 수 있는 정신적 보장이다.
      그 다음으로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의 영웅 이미지는 차이점이 있다. 영웅 형상의 ‘외재’ 방면에서 중국 액션 영화 에서는 전설적인 영웅을 부각시키는데 더욱 치중했다. 한국은 서민 영웅과 ‘반 영웅’을 만드는 데 치중했다. 미국은 ‘슈퍼히어로’를 만드는 데 치중하고 있다. 중국과 한국 액션 영화에서 영웅은 성별 선택에 있어서 불균형적이며 주로 남성 영웅을 묘사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미국 액션 영화에서 영웅은 성별 선택이 균형을 이루고 남녀 영웅의 비율이 평균적이다. 실외 액션 장면의 선택에서 중국의 영웅은 자연 경관에서 싸우는 것을 선호한다. 한국과 미국의 영웅들은 거리와 골목에서 싸우는 것을 선호한다. 실내 액션 장면의 선택에서 중국 영웅은 중국 역사상 실제로 존재하는 장소에서 싸우는 것을 좋아한다. 한국의 영웅들은 폐쇄된 좁은 공간에서 싸우는 데 열심이다. 미국의 슈퍼히어로는 흔히 허구의 화려한 무대 위에 나타난다. 무기사용면에서 중국의 영웅은 냉병기(冷兵器)를 잘 사용한다. 한국의 영웅은 냉병기와 열병기(热兵器)를 모두 사용한다. 미국의 영웅은 열병기를 잘 사용한다. 영웅의 복장 디자인에 있어 중국 영웅의 복식은 민족화(民族化)를 위주로 하고 복장의 민족 요소를 중점적으로 강조한다. 한국 영웅의 복식은 일상화를 위주로 하고 영웅의 일반화를 강조하며 관중과의 거리를 좁힌다. 미국 영웅의 복식은 개성화와 디자인 감각을 돋보이게 한다.
      영웅 이미지의 ‘내적’ 측면에서 중국 영웅의 성격 전개 형태는 정성 전시형(定性展示型)을 위주로 한다. 영웅의 등장부터 영화가 끝날 때까지 인물의 성격은 변하지 않는다. 한국과 미국 영웅의 성격 전개 형태는 정향적 발전형(定向发展型)에 속한다. 극이 진행될수록 갈등이 생기고 영웅 인물의 성격은 성장하고 변화하며 성숙해진다. 영웅 능력에서 중국 영웅은 기본적으로 모두 중국 쿵푸를 사용하지만 매 문파의 쿵푸 유형은 모두 다르다. 한국 영웅의 능력은 격투기를 위주로 한다. 미국 영웅의 능력은 특수 능력을 위주로 하고 극의 발전에 따라 영웅의 능력은 점점 더 강해진다. 영웅 능력에서 중국 영웅은 기본적으로 모두 중국 쿵푸를 사용하지만 매 문파의 쿵푸 유형은 모두 다르다. 한국 영웅의 능력은 격투기를 위주로 한다. 미국 영웅의 능력은 특수 능력을 위주로 하고 극의 발전에 따라 영웅의 능력은 점점 더 강해진다. 영웅 도덕 선택에서 중국 영웅은 도덕 선택에서 뚜렷한 유가사상을 보여주었다. 단결-겸손, 근면-선량, 정의-공평, 낙관-향상, 충효-예절 등 일련의 전통 미덕을 나타낸다. 한국의 영웅은 도덕적 선택에 있어서 작은 인물이라도 정의를 수호할 수 있고, ‘반 영웅’도 자신의 선량함을 가지고 있다. 한국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영웅적 이미지이기도 하다. 주인공이 전통적인 영웅의 형식을 타파하고 ‘반 영웅’들은 많은 결함이 있다. 예를 들면 아주 이기적이고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생각하지만, 극의 발전에 따라 그들의 마음속에 변화가 생겨 가장 관건이 되는 시각에 자신을 희생하여 모두를 보호하려 한다. 미국의 영웅은 도덕적 선택에 있어서 일종의 개인 영웅주의다. 영웅적 가치관에 있어 중국과 한국의 영웅들은 가치관에 있어 집단주의에 치중하고 자신의 이익을 희생하며 대중의 이익을 보호한다. 미국의 영웅은 개인주의에 치중하고 있으며 모든 것은 자신의 이익을 위주로 한다.
      마지막으로 호프스테드(Hofstede)의 문화 차이 이론 (권력거리,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남성성과 여성성, 불확실성 회피, 장기 지향과 단기 지향 , 방종과 자제)을 통해 세 나라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 형성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 근본 원인이다. 본 논문은 세 나라의 영웅적 이미지 형성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난 근본 원인은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의 문화 차이라고 본다. 다른 원인은 세 나라가 예술 이념, 영화 제작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영웅 이미지의 차이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액션 영화'의 통일된 기준을 정하기 위해 본고의 연구 대상은 IMDB(Internet Movie Data Base) 미국 영화 순위에서 중국, 한국, 미국 3개국 가구 중 대표적인 30위권인 ‘액션 영화'를 선정했다. IMDB 순위의 사용 관중은 미국인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미국인들은 영화에 대한 평가와 순위에 서양 문화적 사고를 가진다. 이 때문에 영화의 순위는 주관성이 강해 중국과 한국 등으로 대표되는 아시아 국가들에게 특별히 공평하지 않다. 둘째, 호프스테드 문화 차원 이론 자체의 한계이다. 이론에서 조사 수집한 데이터의 연대는 상대적으로 오래되었다(1970년대), 현재의 세계 구도는 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빅 데이터 시대하의 각국 문화는 더 이상 고립되고 수동적으로 보이지 않으며, 세계 생태는 다원화 구도를 보이고 있다. 당시의 수치가 지금 보기에는 여전히 적용되는지도 학자들의 연구와 토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 나라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 형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횡적 기반은 호프스테드 문화 차이 차원 이론을 참고하고 종적 기반은 영웅 이미지 이론을 바탕으로 더 많은 새로운 영화 문화 차원 서브 프로젝트를 구축하는 것을 분석한다. 이것은 매우 가치 있는 문화 차이 분석 분야의 시도이다. 현재 다문화 연구에서 중국학자들의 다문화 전파 연구는 중국과 서양의 실력이 강한 국가에 국한되어 중국과 미국, 중국과 유럽 간의 다문화 전파 문제이다. 사실 중국과 다른 문화 그룹, 예를 들어 라틴어 문화, 아랍어 문화, 스페인어 문화, 프랑스어 문화, 인도 문화 간의 다문화 전파 문제에 대한 연구와 학술 저작은 아직 매우 드물다. 미래의 관련 연구 과제에서 중국의 기존 문화 가치관 특징과 결합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문화 차이 차원 이론, ‘기본 구상과 가치관'을 중점 핵심 문화로 하고 영화의 다문화 전파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문화 차이 차원 이론 체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 예를 들어 음악, 디지털 기술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종적 차원을 조정할 수 있다. 문화 차원 이론을 유연하고 과학적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키워드: 액션 영화, 영웅적 이미지, 문화적 차원, 문화적 차이
      번역하기

      본 논문은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적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20세기 20년대에 중국의 첫 액션 영화 <홍련사를 불태우다>(火烧红莲寺)가 탄생...

      본 논문은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적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20세기 20년대에 중국의 첫 액션 영화 <홍련사를 불태우다>(火烧红莲寺)가 탄생함에 따라 근 1세기의 발전과정에 중국 액션 영화는 두 차례의 번영과 두 차례의 슬럼프를 겪었다. 21세기 들어 중국 액션 영화는 새로운 시대에 다시 궐기하여 중국인들의 사랑을 받는 영웅형상을 탄생시켰다. 미국 액션 영화는 줄곧 고품질의 발전을 유지하며 업계 1위를 굳건히 차지하고 있으며, 액션 영화에서 만들어낸 영웅은 전 세계 관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한국 영화도 “한국영화진흥위원회”의 설립과 함께 발전했다. 한국의 영화 제작 기법은 국제 최고 수준에 이르렀을 뿐만 아니라 영화에서 만들어진 인물 이미지도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이 자리 잡았다. 최근 몇 년 동안 대량의 한국 영화가 국제영화제에서 좋은 방응을 얻었다.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의 형성은 영화의 성패와 직결될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영화 산업 발전 수준을 돋보이게 하고 국가 문화 전파의 범위와 깊이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영웅 이미지의 외형과 내포 두 가지 측면을 비교 분석하고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가 형성된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한다. 연구 결과를 얻은 후에 호프스테드(Hofstede)의 문화 차원 이론을 활용하여 중국, 한국, 미국 3개국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 형성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난 근본 원인을 탐구한다. 연구자들은 얻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중국 감독과 다른 나라의 감독들에게 영웅 이미지 메이킹에 좋은 조언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또한 본고의 연구 결과가 액션 영화의 다문화 전파에 좋은 조언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주로 문헌 조사연구법과 비교 분석법을 사용한다. 많은 선행연구와 문헌의 연구를 통하여 영웅, 영웅 형상, 액션 영화에서의 영웅 형상 등 개념을 정의한다. 중국, 한국, 미국 3개국 액션 영화에서의 영웅 이미지에 대해 설명하고, 중국, 한국, 미국 3개국 액션 영화에서의 영웅 이미지의 서로 다른 특징을 분석하였다. 세 나라 액션 영화에서 영웅의 형상 형성과 발전, 변화 과정을 고찰한다.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에서의 서로 다른 역사 시기의 영웅 이미지에 대해, 나아가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가 영웅 이미지를 만들 때 중점을 요약할 수 있으며,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의 특징을 연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의 형성은 유사성이 있다. 영웅 형상의 ‘외재’ 방면에서 3개 나라의 영웅 유형이 풍부하고 부동한 영웅 유형을 보여주었다. 세 나라의 영웅은 모두 무기를 사용하여 싸운다. 영웅 형상의 ‘내재’ 방면에서 3개 나라 액션 영화에서의 영웅 능력은 기본적으로 후천적으로 습득된 것으로서 일부 미국 액션 영화에서 초능력 영웅 능력만이 부모의 혈통과 인종을 유전하고 태어나면 스스로 초능력을 갖고 있다. 영웅은 가치취향 면에서 세 나라의 영웅은 모두 영웅이 악세력(恶势力)을 징벌하고 선량한 가치취향을 장려하고 널리 알리는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영웅은 언제 어디서나 용감한 행동을 하여 업신여김을 당한 사람을 구하고 공평과 정의를 고양할 수 있다. 영웅의 의지품성에서 3개 나라의 영웅들은 모두 강인하고 과단성 있는 의지품성을 갖고 있는데 이런 좋은 의지품성은 영웅이 구조임무를 순조롭게 완수할 수 있는 정신적 보장이다.
      그 다음으로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의 영웅 이미지는 차이점이 있다. 영웅 형상의 ‘외재’ 방면에서 중국 액션 영화 에서는 전설적인 영웅을 부각시키는데 더욱 치중했다. 한국은 서민 영웅과 ‘반 영웅’을 만드는 데 치중했다. 미국은 ‘슈퍼히어로’를 만드는 데 치중하고 있다. 중국과 한국 액션 영화에서 영웅은 성별 선택에 있어서 불균형적이며 주로 남성 영웅을 묘사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미국 액션 영화에서 영웅은 성별 선택이 균형을 이루고 남녀 영웅의 비율이 평균적이다. 실외 액션 장면의 선택에서 중국의 영웅은 자연 경관에서 싸우는 것을 선호한다. 한국과 미국의 영웅들은 거리와 골목에서 싸우는 것을 선호한다. 실내 액션 장면의 선택에서 중국 영웅은 중국 역사상 실제로 존재하는 장소에서 싸우는 것을 좋아한다. 한국의 영웅들은 폐쇄된 좁은 공간에서 싸우는 데 열심이다. 미국의 슈퍼히어로는 흔히 허구의 화려한 무대 위에 나타난다. 무기사용면에서 중국의 영웅은 냉병기(冷兵器)를 잘 사용한다. 한국의 영웅은 냉병기와 열병기(热兵器)를 모두 사용한다. 미국의 영웅은 열병기를 잘 사용한다. 영웅의 복장 디자인에 있어 중국 영웅의 복식은 민족화(民族化)를 위주로 하고 복장의 민족 요소를 중점적으로 강조한다. 한국 영웅의 복식은 일상화를 위주로 하고 영웅의 일반화를 강조하며 관중과의 거리를 좁힌다. 미국 영웅의 복식은 개성화와 디자인 감각을 돋보이게 한다.
      영웅 이미지의 ‘내적’ 측면에서 중국 영웅의 성격 전개 형태는 정성 전시형(定性展示型)을 위주로 한다. 영웅의 등장부터 영화가 끝날 때까지 인물의 성격은 변하지 않는다. 한국과 미국 영웅의 성격 전개 형태는 정향적 발전형(定向发展型)에 속한다. 극이 진행될수록 갈등이 생기고 영웅 인물의 성격은 성장하고 변화하며 성숙해진다. 영웅 능력에서 중국 영웅은 기본적으로 모두 중국 쿵푸를 사용하지만 매 문파의 쿵푸 유형은 모두 다르다. 한국 영웅의 능력은 격투기를 위주로 한다. 미국 영웅의 능력은 특수 능력을 위주로 하고 극의 발전에 따라 영웅의 능력은 점점 더 강해진다. 영웅 능력에서 중국 영웅은 기본적으로 모두 중국 쿵푸를 사용하지만 매 문파의 쿵푸 유형은 모두 다르다. 한국 영웅의 능력은 격투기를 위주로 한다. 미국 영웅의 능력은 특수 능력을 위주로 하고 극의 발전에 따라 영웅의 능력은 점점 더 강해진다. 영웅 도덕 선택에서 중국 영웅은 도덕 선택에서 뚜렷한 유가사상을 보여주었다. 단결-겸손, 근면-선량, 정의-공평, 낙관-향상, 충효-예절 등 일련의 전통 미덕을 나타낸다. 한국의 영웅은 도덕적 선택에 있어서 작은 인물이라도 정의를 수호할 수 있고, ‘반 영웅’도 자신의 선량함을 가지고 있다. 한국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영웅적 이미지이기도 하다. 주인공이 전통적인 영웅의 형식을 타파하고 ‘반 영웅’들은 많은 결함이 있다. 예를 들면 아주 이기적이고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생각하지만, 극의 발전에 따라 그들의 마음속에 변화가 생겨 가장 관건이 되는 시각에 자신을 희생하여 모두를 보호하려 한다. 미국의 영웅은 도덕적 선택에 있어서 일종의 개인 영웅주의다. 영웅적 가치관에 있어 중국과 한국의 영웅들은 가치관에 있어 집단주의에 치중하고 자신의 이익을 희생하며 대중의 이익을 보호한다. 미국의 영웅은 개인주의에 치중하고 있으며 모든 것은 자신의 이익을 위주로 한다.
      마지막으로 호프스테드(Hofstede)의 문화 차이 이론 (권력거리,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남성성과 여성성, 불확실성 회피, 장기 지향과 단기 지향 , 방종과 자제)을 통해 세 나라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 형성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 근본 원인이다. 본 논문은 세 나라의 영웅적 이미지 형성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난 근본 원인은 중국, 한국, 미국 세 나라의 문화 차이라고 본다. 다른 원인은 세 나라가 예술 이념, 영화 제작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영웅 이미지의 차이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액션 영화'의 통일된 기준을 정하기 위해 본고의 연구 대상은 IMDB(Internet Movie Data Base) 미국 영화 순위에서 중국, 한국, 미국 3개국 가구 중 대표적인 30위권인 ‘액션 영화'를 선정했다. IMDB 순위의 사용 관중은 미국인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미국인들은 영화에 대한 평가와 순위에 서양 문화적 사고를 가진다. 이 때문에 영화의 순위는 주관성이 강해 중국과 한국 등으로 대표되는 아시아 국가들에게 특별히 공평하지 않다. 둘째, 호프스테드 문화 차원 이론 자체의 한계이다. 이론에서 조사 수집한 데이터의 연대는 상대적으로 오래되었다(1970년대), 현재의 세계 구도는 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빅 데이터 시대하의 각국 문화는 더 이상 고립되고 수동적으로 보이지 않으며, 세계 생태는 다원화 구도를 보이고 있다. 당시의 수치가 지금 보기에는 여전히 적용되는지도 학자들의 연구와 토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 나라의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 형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횡적 기반은 호프스테드 문화 차이 차원 이론을 참고하고 종적 기반은 영웅 이미지 이론을 바탕으로 더 많은 새로운 영화 문화 차원 서브 프로젝트를 구축하는 것을 분석한다. 이것은 매우 가치 있는 문화 차이 분석 분야의 시도이다. 현재 다문화 연구에서 중국학자들의 다문화 전파 연구는 중국과 서양의 실력이 강한 국가에 국한되어 중국과 미국, 중국과 유럽 간의 다문화 전파 문제이다. 사실 중국과 다른 문화 그룹, 예를 들어 라틴어 문화, 아랍어 문화, 스페인어 문화, 프랑스어 문화, 인도 문화 간의 다문화 전파 문제에 대한 연구와 학술 저작은 아직 매우 드물다. 미래의 관련 연구 과제에서 중국의 기존 문화 가치관 특징과 결합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문화 차이 차원 이론, ‘기본 구상과 가치관'을 중점 핵심 문화로 하고 영화의 다문화 전파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문화 차이 차원 이론 체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 예를 들어 음악, 디지털 기술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종적 차원을 조정할 수 있다. 문화 차원 이론을 유연하고 과학적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키워드: 액션 영화, 영웅적 이미지, 문화적 차원, 문화적 차이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표 차례 i
      • 그림 차례 ⅲ
      • 국문 요약 iv
      • 차 례
      • 표 차례 i
      • 그림 차례 ⅲ
      • 국문 요약 iv
      • 1. 서론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목적 6
      • 1.3 연구 의의 6
      • 2. 이론적 배경 8
      • 2.1 Geert Hofstede의 문화 차원 이론 8
      • 2.2 영웅 개념 16
      • 2.3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의 발전사 45
      • 2.4 연구문제 61
      • 3. 연구방법 62
      • 3.1 연구 대상 62
      • 3.2 연구 방법 64
      • 4. 연구 결과 65
      • 4.1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 속 영웅 이미지 외적 비교 65
      • 4.2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 속 영웅 이미지 내적 비교 107
      • 4.3 중국, 한국, 미국 문화 차원의 지표 비교 143
      • 5. 결론 155
      • 5.1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 속 영웅 이미지 외형 비교 155
      • 5.2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 속 영웅 이미지 내포 비교 157
      • 5.3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에서 영웅 이미지 형성 요인 비교 158
      • 5.4 중국, 한국, 미국 액션 영화가 영웅 이미지 제작 요인 비교 179
      • 5.5 액션 속 영웅 이미지 메이킹에 대한 조언 189
      • 5.6 연구의 가치 191
      • 5.7 연구의 한계 및 제안 192
      • 참고문헌 195
      • ABSTRACT 2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