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후분양제와 주택금융 대안 = 크라우드펀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69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토교통부가 주택 후분양제 로드맵을 발표함에 따라 주택분양제도의 변화가 구체화 되었다. 한편, 후분양제로 주택분양제도가 일원화될 시 자산규모가 작은 중소건설사의 신용경색이 발...

      국토교통부가 주택 후분양제 로드맵을 발표함에 따라 주택분양제도의 변화가 구체화 되었다. 한편, 후분양제로 주택분양제도가 일원화될 시 자산규모가 작은 중소건설사의 신용경색이 발생하여 이들의 시장 퇴출이 우려될 수 있다. 노동 고용의 원천이자 소비자 기호 중심의 다품종 소량생산화 추세를 이끄는 중소건설사의 단기적 시장충격으로 인한 시장 퇴출을 막기 위해서 기존의 금융권을 대체할 대안금융에 관한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크라우드펀딩의 국내 현황을 살펴보고,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이 부동산 대안금융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다. 국내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은 투자자와 차입자 간의 정보비대칭 문제가 존재해 잇따른 투자자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 보호와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의 대출심사와 감시유인을 강화하는 규제모형을 제시한다. 경제모형 분석을 통해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의 감시유인 강화가 자산규모가 작은 중소건설사에 주택금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nge in the housing sale system have become apparent, a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announced a roadmap for a post-construction sales system of housing. Furthermore, if the post-construction sales system of housing is im...

      Change in the housing sale system have become apparent, a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announced a roadmap for a post-construction sales system of housing. Furthermore, if the post-construction sales system of housing is implemented,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with poor asset sizes owing to a credit crunch will need to withdraw from the market. Alternatives to existing financial institutions are necessary to support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firms, which are perceived to be leading the consumer-oriented multi-product small production trend, a source of employment. This study examines the domestic status of crowdfunding and whether lending-based crowdfunding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o real estate financing. However, a domestic lending-based crowdfunding platform is urgently needed to protect investors and prepare sustainable growth measures in this market, as information asymmetries between investors and borrowers are causing a series of investor losses.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s regulatory measures to minimize investor losses on lending-based crowdfunding to provide incentives for loan screening and monitoring and shows that regulatory measures can provide financing opportunities for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firms through economic model analy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후분양제와 중소건설업
      • 3. 크라우드펀딩
      • 4.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규제모형 및 제안
      • 〈요약〉
      • 1. 서론
      • 2. 후분양제와 중소건설업
      • 3. 크라우드펀딩
      • 4.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규제모형 및 제안
      • 5. 주택대안금융에 대한 정책제언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영, "「크라우드펀딩」을 활용한 건설 산업기술개발 활성화 가능성 검토" 80 : 58-69, 2015

      2 노희순, "후분양제의 시행과 PF시장 변화" 하나금융경영연구소 1-38, 2007

      3 임덕호, "후분양제의 도입 필요성과 도입 방안" 한국주택학회 12 (12): 45-70, 2004

      4 김재환, "후분양제에 있어서 PF지급보증상품도입효과분석" 한국주택학회 16 (16): 109-131, 2008

      5 권주안, "후분양제도 전환에 따른 주택건설금융구조 개편방안 연구" 주택산업연구원 1-80, 2005

      6 석홍재, "후분양제도 도입에 따른 주택재건축사업의 사업성 비교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학회 (26) : 202-216, 2006

      7 정봉수, "후분양이 주택사업 손익 및 자금조달 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신용평가 PF research 1-14, 2017

      8 유선종, "후분양방식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 95-111, 2003

      9 김기열, "후분양 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 한국부동산학회 (72) : 99-113, 2018

      10 박성민, "한국의 공공 건설부문에는 왜 그렇게 중소기업 보호제도가 많은가?" 서울행정학회 20 (20): 379-408, 2009

      1 김재영, "「크라우드펀딩」을 활용한 건설 산업기술개발 활성화 가능성 검토" 80 : 58-69, 2015

      2 노희순, "후분양제의 시행과 PF시장 변화" 하나금융경영연구소 1-38, 2007

      3 임덕호, "후분양제의 도입 필요성과 도입 방안" 한국주택학회 12 (12): 45-70, 2004

      4 김재환, "후분양제에 있어서 PF지급보증상품도입효과분석" 한국주택학회 16 (16): 109-131, 2008

      5 권주안, "후분양제도 전환에 따른 주택건설금융구조 개편방안 연구" 주택산업연구원 1-80, 2005

      6 석홍재, "후분양제도 도입에 따른 주택재건축사업의 사업성 비교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학회 (26) : 202-216, 2006

      7 정봉수, "후분양이 주택사업 손익 및 자금조달 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신용평가 PF research 1-14, 2017

      8 유선종, "후분양방식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 95-111, 2003

      9 김기열, "후분양 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 한국부동산학회 (72) : 99-113, 2018

      10 박성민, "한국의 공공 건설부문에는 왜 그렇게 중소기업 보호제도가 많은가?" 서울행정학회 20 (20): 379-408, 2009

      11 주강진, "핀테크 산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학회 45 (45): 145-170, 2016

      12 최수석, "크라우드펀딩의 부동산 산업 활용현황과 과제" 법학연구소 (15) : 51-74, 2017

      13 금융위원회, "크라우드펀딩 활성화 방안"

      14 신민식,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적용에 관한 소고" 한국집합건물법학회 19 : 189-216, 2016

      15 고윤승, "크라우드 펀딩 운용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7 (17): 3-19, 2016

      16 금융위원회, "창업·중소기업의 성장 지원을 위한 크라우드펀딩 활성화 방안"

      17 성희활,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의 규제체계 수립에 대한 연구" 한국증권법학회 14 (14): 391-421, 2013

      18 천창민,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 도입 1년의 성과와 법적 과제" 한국금융법학회 14 (14): 3-40, 2017

      19 오동훈, "중소주택건설업계의 현실과 생존전략의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09-127, 2004

      20 이수진, "중소기업대출시장의 신용할당 추정 및 정책적 시사" 27 (27): 3-10, 2018

      21 김명수, "중소건설업체의 금융지원 방안" (79) : 39-50, 2015

      22 김명수, "중소건설업체 금융실태와 향후과제" 53 : 52-69, 2007

      23 김명수, "중소건설업 정책금융지원 실태와 개선방향" 77 : 41-55, 2014

      24 권오현, "중소 건설업체 경영 실태 분석 및 경쟁력 강화 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133, 2012

      25 손태홍, "중소 건설기업의 신시장 참여 확대 방안 연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80, 2016

      26 윤주현, "주택후분양제도의 도입방안" (2) : 1-4, 2003

      27 임경숙, "주택후분양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주택금융을 중심으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0 (10): 61-73, 2004

      28 류두진, "주택연금 유동화증권에 관한 연구: 구조설계 및 예상현금흐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증권학회 47 (47): 327-347, 2018

      29 김혜승, "주택선분양제도" 262 : 55-55, 2003

      30 김형준, "주택담보대출의 조기상환행태 분석: 안심전환대출 출시 이후의 이상현상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47 (47): 865-887, 2018

      31 김현아, "주택공급체계의 국내외 비교분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148, 2004

      32 김진, "주택 후분양제 전환을 위한 개발금융의 개선방안" SH공사 도시연구원 7 (7): 51-67, 2017

      33 김진, "주택 분양시기 이연에 따른 소비자 지급금액의 변화"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4 (24): 39-50, 2018

      34 국토교통부, "제2차 장기 주거종합계획 수정계획"

      35 손재영, "우리나라 부동산금융의 현황과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1-36, 2012

      36 김학건, "온라인 개인 간(P2P) 대출의 상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재무학회 26 (26): 381-415, 2013

      37 석종현, "아파트선분양제도의 위헌성 여부" 1 : 83-112, 1995

      38 이진호, "성장형 중소기업 발전을 위한 “사적 자본시장” 도입 가능성: 시장거시구조 관점의 탐색적 논의" 한국증권학회 46 (46): 649-685, 2017

      39 임덕호, "분양가격의 자율화 방" 1 (1): 5-19, 1993

      40 정광식, "부동산개발에 대한 크라우드펀딩 제도개선 방안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5 (35): 65-90, 2017

      41 김덕규, "대출형 부동산 크라우드 펀딩의 법적 문제 및 개선방안-P2P대출 플랫폼의 중개업자를 중심으로-" 한국금융법학회 15 (15): 245-275, 2018

      42 이성원, "담보물 가치평가 관리·감독체계 비교 연구: 우리나라와 미국의 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부동산연구원 1-72, 2013

      43 주윤신, "급성장하던 P2P 대출시장에 취약성 부" 6 (6): 8-9, 2016

      44 임혜진, "금융시장 로보어드바이저 산업에 대한 고찰: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경영학회 47 (47): 725-749, 2018

      45 박채진,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의 발전 방향" 한국경영학회 47 (47): 549-576, 2018

      46 황지영, "공동주택 후분양에 따른 주택건설업체의 자금조달 활성화 방안" 13 : 221-243, 2005

      47 정천수, "경기변동에 따른 사업체 규모별고용 창출과 소멸 양상의 분석" 한국금융학회 32 (32): 91-119, 2018

      48 김명수, "건설환경변화에 따른 중소건설업 육성의 필요성" 18 : 60-64, 1997

      49 금융위원회, "개인 전문투자자 진입요건 개선방안"

      50 성희활, "‘P2P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의 법적 성격과 자본시장법적 규제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법학회 30 (30): 47-80, 2016

      51 Segal, M., "What is alternative finance?" Office of Advocacy

      52 Sexton, M., "The role of technology transfer in innovation within small construction firms" 11 (11): 342-348, 2004

      53 Kim, K., "The experts in the crowd: The role of experienced investors in a crowdfunding market" 2019

      54 Estrin, S., "The evolution and adoption of equity crowdfunding: Entrepreneur and investor entry into a new market" 51 (51): 1-15, 2018

      55 Belleflamme, P., "The economics of crowdfunding platforms" 33 : 11-28, 2015

      56 Zhang, B., "The 5th UK alternative finance industry report" Cambridge Centre for Alternative Finance

      57 Williams, V., "Small business lending in the United States 2013" Office of Advocacy

      58 Gerrit, K. C., "Signaling in equity crowdfunding" 34 (34): 955-980, 2015

      59 Baker, C., "Real estate crowdfunding-modern trend or restructured investment model have the SEC’s proposed rules on crowdfunding created a closed-market system" 9 (9): 21-58, 2016

      60 Ziegler, T., "Reaching new heights the 3rd Americas alternative finance industry report" Cambridge Centre for Alternative Finance

      61 Ding, Y., "Quality of real estate crowdfunding" Concordia University 2016

      62 Fink, A. C., "Protecting the crowd and raising capital through the crowdfund act" 90 (90): 1-34, 2012

      63 Tang, H., "Peer-to-peer lenders versus banks: substitutes or complements?" 2019

      64 금융감독원, "P2P 연계대부업자 실태조사 결과 및 투자자 유의사항"

      65 이성복, "P2P 대출중개 플랫폼의 금융중개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금융학회 32 (32): 21-62, 2018

      66 기준하, "P2P 대출의 현황과 향후과제" (6) : 1-13, 2018

      67 Zhang, B., "Moving mainstream: Benchmarking the European alternative finance market" 3 (3): 60-76, 2015

      68 Hu, S., "Modeling and simulating a smart information-based real estate online platform" 111 : 339-347, 2017

      69 송재만, "Lending club, 운영비용 증가로 실적부진 지속" 8 (8): 8-9, 2018

      70 권혁신, "KSP・ODA제도를 활용한 주택선분양제도와 주택분양보증제도 공유방안 모색" 대한부동산학회 34 (34): 131-156, 2016

      71 De Roure, C., "How does P2P lending fit into the consumer credit market?" Bundesbank 2016

      72 Liu, D., "Friendships in online peer-to-peer lending: Pipes, prisms, and relational herding" 39 (39): 729-742, 2015

      73 Jagtiani, J., "Fintech lending: Financial inclusion, risk pricing, and alternative information" Federal Reserve Bank of Philadelphia 2017

      74 Holmstrom, B., "Financial intermediation, loanable funds, and the real sector" 112 (112): 663-691, 1997

      75 Gorton, G., "Financial intermediation" 1 : 431-552, 2003

      76 Marchand, F., "Equity-based crowdfunding Real Estate Market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1-30, 2015

      77 Berger, S. C., "Emergence of financial intermediaries in electronic markets: The case of online P2P lending" 2 (2): 39-65, 2009

      78 Schweizer, D., "Do principles pay in real estate crowdfunding?" 43 (43): 120-137, 2017

      79 Butler, A. W., "Do local capital market conditions affect consumers’ borrowing decisions?" 63 (63): 4175-4187, 2016

      80 Jagtiani, J., "Do fintech lenders penetrate areas that are underserved by traditional banks?" 100 : 43-54, 2018

      81 Cai, C. W., "Disruption of financial intermediation by fintech: A review on crowdfunding and blockchain" 58 (58): 965-992, 2018

      82 Belleflamme, P., "Crowdfunding: Tapping the right crowd" 29 (29): 585-609, 2014

      83 Griffin, Z. J., "Crowdfunding: Fleecing the American masses, Journal of Law" 4 (4): 375-410, 2013

      84 Bieri, D. S., "Crowdfunding the city: the end of ‘cataclysmic money’?" 47 (47): 2429-2435, 2015

      85 Vogel, J. H., "Crowdfunding for real estate" 30 (30): 5-16, 2014

      86 Harrison, R., "Crowdfunding and the revitalisation of the early stage risk capital market: catalyst or chimera?" 12 (12): 283-287, 2013

      87 Kim, K., "Crowdfunding and the democratization of access to capital—An illusion? Evidence from housing prices" 2019

      88 Hervé, F., "Crowdfunding and innovation" 32 (32): 1514-1530, 2018

      89 Taymaz, E., "Are small firms really less productive?" 25 (25): 429-445, 2005

      90 Mamonov, S., "An exploratory analysis of title II equity crowdfunding success" 19 (19): 239-256, 2017

      91 De Buysere, K., "A framework for European crowdfunding"

      92 금융감독원, "18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학술지 분리 (기타) KCI등재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22 2.13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