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트 무질은 세기말 인간성 상실의 위기를 그의 대표작인 '특성없는 남자'에서 다루고 있다. 그는 특히 '특성상실'이라는 개념을 통해 산업화된 대도시의 전형인 카카니엔에 살고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4119
-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로베르트 무질은 세기말 인간성 상실의 위기를 그의 대표작인 '특성없는 남자'에서 다루고 있다. 그는 특히 '특성상실'이라는 개념을 통해 산업화된 대도시의 전형인 카카니엔에 살고 있는 ...
로베르트 무질은 세기말 인간성 상실의 위기를 그의 대표작인 '특성없는 남자'에서 다루고 있다. 그는 특히 '특성상실'이라는 개념을 통해 산업화된 대도시의 전형인 카카니엔에 살고 있는 현대인의 주체상실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있으며,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위기에 빠진 인류의 구원할 방법에 대해서 까지 고민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전 반부에서 주체의 위기에 대해서 그의 초기 산문을 통해 알아보고, 특성상실을 이라는 개념을 통해 요약되는 그의 전통 주체의 해체작업에 대해서 알아본다. 논문 후반부에서는 특히 유토피아 개념을 통해 무질의 새로운 주체관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무질은 소설을 통해 여러가지 유토피아를 실험하고 있는데, 특히 다른상태의 유토피아는 무질 문학의 핵심개념이다. 무질에게 다른상태란 시간과 공간으로부터 해방된 완전히 무제약적 공간에서 신과 신비적 합일을 이룬 상태, 모든 것을 가르는 경계선이 허물어진 상태, 자기망각의 엑스터시를 통해 개별적 존재에서 보편적 존재로 고양되는 상태, 과학의 폭력에 의한 합일이 아니라 사랑을 통한 자발적 조화와 합일의 상태, 자신을 한 곳에 가두어 두는 것이 아니라, 자기에게 강제로 부여된 한 가지 특성을 스스로 부정함으로써 자기 속에 잠재적으로 숨어 있는 모든 특성을 다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의 자세를 갖춘 상태, 그리고 자유롭게 경계선을 넘나드는 자유를 만끽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무질이 실험하고 있는 특성없는 인간이란 자신에게 강요된 허구적 특성을 포기함으로써 참된 자신의 모습을 되찾으려고 노력하는 인간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bert Musil ist sehr unglücklicher Schriftsteller, der erst nach seinem Tod als einer der wichtigsten Dichter dieses Jahrhunderts wieder entdeckt wurde. Während seiner Lebzeit war er wie fast vergessen. Als in Genf am 15. 4. 1942 er im Alter ...
Robert Musil ist sehr unglücklicher Schriftsteller, der erst nach seinem Tod
als einer der wichtigsten Dichter dieses Jahrhunderts wieder entdeckt
wurde. Während seiner Lebzeit war er wie fast vergessen. Als in Genf am
15. 4. 1942 er im Alter 61 Jahren an einem Gehirnschlag starb, nahm die
literarische Öffentlichkeit davon kaum Kenntnis, obwohl der junge Musil eine
vielversprechende schriftstellerische Karriere begonnen und dann fast sein
gesamtes Leben mit Schreiben verbracht hatte. Woher rührt also dieses
Vergessen?
Zum Schluß schließt Musils Utopiebegriff in seinen unterschiedlichen
Varianten und Dimensionen, seinen je alternierenden experimentellen
Versuchen immer die intendierte Verbindung vom Ratio und Mystik, von
Intellekt und Gefühl, von hypothetischem Ansatz und experimenteller
Methode ein. Er meint immer die optimale Möglichkeit, welche die gegebene
Wirklichkeit schon je überholt hat.
국문 초록 (Abstract)
1. 서론 2. 소설의 위기와 주체 3. 주체의 위기 4. 특성없음 5. 현실과 유토피아 6. 다른상태의 유토피아 7. 결론 : 위기의 시대와 새로운 글쓰기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1. 서론
2. 소설의 위기와 주체
3. 주체의 위기
4. 특성없음
5. 현실과 유토피아
6. 다른상태의 유토피아
7. 결론 : 위기의 시대와 새로운 글쓰기
참고문헌
Zusammenfas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