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생존에 관여하는 Sigma S 역할 = Sigma S Involved in Bacterial Survival of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19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Ralstonia pseudosolanacearum은 토양과 물에서 오랫동안 생존하고, 가지과 작물에 심각한 풋마름병을 일으키는 식물병원세균이다. Simga S는 세균의 스트레스 환경에서 반응 또는 정지기 동안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RNA 중합효소 복합체의 일부인 단백질이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조건에서 R.pseudosolanacearum의 sigma S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서, R.pseudosolanacearum의 GMI1000 균주의 sigma S를 암호화하는 rpoS 유전자 변이체를 준비하여 야생형 균주와 세균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아울러 rpoS 유전자 역할은 원래 유전자를 변이체에 도입하여 rpoS 유전자 표현형 회복을 확인하였다. 야생형 균주와 rpoS 결여 변이체는 생장 속도, 외피다당류 생산, 식물체에서 병원성, 식물 세포벽 분해 효소 활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야생형 균주는 영양분결핍 조건에서 변이체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과산화수소가 첨가된 조건에서 변이체보다 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흥미롭게도 영양분결핍 조건에서 rpoS 결여 변이체에서는 장기간 생균수를 유지하지만, 같은 조건에서 야생형 균주 생균수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두 균주 배양액 pH를 측정한 결과, 야생형 균주와 변이체 간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야생형 균주는 생장하면서 빠르게 배지의 pH가 감소하여 산성화되었다. 그러므로 야생형 균주의 빠른 사멸은 배지가 산성화되면서 정지기 상태 세균의 산성 pH에 대한 민감도 때문일 것이다. Biolog 분석으로 rpoS 변이체는 acetic acid, D-alanine, D-trehalose, L-histidine을 이용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R. pseudosolanacearum 세균의 sigma S가 영양분결핍 조건에서 정지기 동안 유기산 생산 또는 이용을 조절하며 정지기 세포사멸도 조절하는 것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Ralstonia pseudosolanacearum은 토양과 물에서 오랫동안 생존하고, 가지과 작물에 심각한 풋마름병을 일으키는 식물병원세균이다. Simga S는 세균의 스트레스 환경에서 반응 또는 정지기 동안 유전자...

      Ralstonia pseudosolanacearum은 토양과 물에서 오랫동안 생존하고, 가지과 작물에 심각한 풋마름병을 일으키는 식물병원세균이다. Simga S는 세균의 스트레스 환경에서 반응 또는 정지기 동안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RNA 중합효소 복합체의 일부인 단백질이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조건에서 R.pseudosolanacearum의 sigma S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서, R.pseudosolanacearum의 GMI1000 균주의 sigma S를 암호화하는 rpoS 유전자 변이체를 준비하여 야생형 균주와 세균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아울러 rpoS 유전자 역할은 원래 유전자를 변이체에 도입하여 rpoS 유전자 표현형 회복을 확인하였다. 야생형 균주와 rpoS 결여 변이체는 생장 속도, 외피다당류 생산, 식물체에서 병원성, 식물 세포벽 분해 효소 활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야생형 균주는 영양분결핍 조건에서 변이체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과산화수소가 첨가된 조건에서 변이체보다 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흥미롭게도 영양분결핍 조건에서 rpoS 결여 변이체에서는 장기간 생균수를 유지하지만, 같은 조건에서 야생형 균주 생균수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두 균주 배양액 pH를 측정한 결과, 야생형 균주와 변이체 간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야생형 균주는 생장하면서 빠르게 배지의 pH가 감소하여 산성화되었다. 그러므로 야생형 균주의 빠른 사멸은 배지가 산성화되면서 정지기 상태 세균의 산성 pH에 대한 민감도 때문일 것이다. Biolog 분석으로 rpoS 변이체는 acetic acid, D-alanine, D-trehalose, L-histidine을 이용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R. pseudosolanacearum 세균의 sigma S가 영양분결핍 조건에서 정지기 동안 유기산 생산 또는 이용을 조절하며 정지기 세포사멸도 조절하는 것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a plant pathogenic bacterium that can survive for a long time in soil and water, causes lethal wilt in the Solanaceae family. Sigma S is a part of the RNA polymerase complex, which regulates gene expression during bacterial stress response or stationary pha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sigma S in R. pseudosolanacearum under stress conditions using a rpoS-defective mutant strain of R. pseudosolanacearum and its wild-type strain. The phenotypes of rpoS-defective mutant were complemented by introducing the original rpoS gene. There were no differences observed in bacterial growth rate and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etween the wild-type strain and the rpoS mutant. However, the wild-type strain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nutrient deficiency compared to the mutant strain. Under the nutrient deficiency, the rpoS mutant maintained a high bacterial viability for a longer period, while the viability of the wild-type strain declined rapidly. Furthermo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was observed between the culture supernatant of the wild-type strain and the mutant strain. The pH of the culture supernatant for the wild-type strain decreased rapidly during bacterial growth, leading to medium acidification. The rapid decline in the wild-type strain's viability may be associated with medium acidification and bacterial sensitivity to acidity during transition to the stationary phase. Interestingly, the rpoS mutant strain cannot utilize acetic acid, D-alanine, D-trehalose, and L-histid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gma S of R. pseudosolanacearum regulates the production or utilization of organic acids and controls cell death during stationary phase under nutrient deficiency.
      번역하기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a plant pathogenic bacterium that can survive for a long time in soil and water, causes lethal wilt in the Solanaceae family. Sigma S is a part of the RNA polymerase complex, which regulates gene expression during bacteri...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a plant pathogenic bacterium that can survive for a long time in soil and water, causes lethal wilt in the Solanaceae family. Sigma S is a part of the RNA polymerase complex, which regulates gene expression during bacterial stress response or stationary pha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sigma S in R. pseudosolanacearum under stress conditions using a rpoS-defective mutant strain of R. pseudosolanacearum and its wild-type strain. The phenotypes of rpoS-defective mutant were complemented by introducing the original rpoS gene. There were no differences observed in bacterial growth rate and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etween the wild-type strain and the rpoS mutant. However, the wild-type strain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nutrient deficiency compared to the mutant strain. Under the nutrient deficiency, the rpoS mutant maintained a high bacterial viability for a longer period, while the viability of the wild-type strain declined rapidly. Furthermo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was observed between the culture supernatant of the wild-type strain and the mutant strain. The pH of the culture supernatant for the wild-type strain decreased rapidly during bacterial growth, leading to medium acidification. The rapid decline in the wild-type strain's viability may be associated with medium acidification and bacterial sensitivity to acidity during transition to the stationary phase. Interestingly, the rpoS mutant strain cannot utilize acetic acid, D-alanine, D-trehalose, and L-histid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gma S of R. pseudosolanacearum regulates the production or utilization of organic acids and controls cell death during stationary phase under nutrient deficienc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