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PD를 이용한 참나무류의 band pattern은 primer의 종류에 따라 공시 수종별로 구분이 가능한 표식인자(marker)를 가지고 있었고, 상수리나무 (lane 1-11) band pattern에서는 고유 band를 보였다. Primer OPA-1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684954
1999
Korean
505.000
학술저널
233-240(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RAPD를 이용한 참나무류의 band pattern은 primer의 종류에 따라 공시 수종별로 구분이 가능한 표식인자(marker)를 가지고 있었고, 상수리나무 (lane 1-11) band pattern에서는 고유 band를 보였다. Primer OPA-10...
RAPD를 이용한 참나무류의 band pattern은 primer의 종류에 따라 공시 수종별로 구분이 가능한 표식인자(marker)를 가지고 있었고, 상수리나무 (lane 1-11) band pattern에서는 고유 band를 보였다. Primer OPA-10, OPA-16에서 갈졸참나무 (lane 28)은 갈참나무(lane 22-25) 및 졸참나무 (lane 12-17)와 공유 band가 있었으마, 갈참나무와 유사한 band pattern을 보여 갈참나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촐참나무 (lane 12∼17), 갈참나무 (lane23∼27)와 갈졸참나무(lane28) 집단 간에는 유사한 band pattern을 보여 갈졸참나무가 갈참나무에 근접한 교잡종으로 인식되었다. 군집분석결과 28개 집단은 7개 Grpup로 분류되었는데, 제1 집단은 상수리나무, 제 2 집단은 갈참나무, 제 3집단은 졸참나무 등으로 집단간 종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Random Amplified Polymerase (RAPD) DNA analysis was performed on DNA samples obtained from leaf collected from wild Quercus spp. in Kyeongnam Province. PCR - DNA markers were used as a predictor of superior tre...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Random Amplified Polymerase (RAPD) DNA analysis was performed on DNA samples obtained from leaf collected from wild Quercus spp. in Kyeongnam Province. PCR - DNA markers were used as a predictor of superior tree in future Quercus spp. breeding development. Eight primers were used for PCR and generated a total of 122 RAPD markers. According to the PCR products bands of Q. acutissima (lane 1-11), Q. serrata (lane 12-17), Q. uariabilis (lane 18-22), Q. aliena (lane 23-27) a n d Quercus x urticaefolia (lane28)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28 individual samples were analyzed by the cluster analysis of 122 RAPD markers, which divides seven group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es, First group are contains Q. acrtissima. Second group are Q. aliena, third group Q. serrata and so on. And close relationship between Quercus x urticaefolia and Q. aliena were ascertained by cluster analysis.
온라인 계측을 이용한 연삭가공 표면거칠기 근사 예측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