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화여전 글리클럽 연구: 1927-1935년의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lee Club at Ewha College: Focused on the Activities from 1927 to 193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5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Glee Club at Ewha College from 1927 to 1935. Ewha Hakdang, established by Mary F. Scranton in 1886, was reorganized as the first women's specialized college with the Liberal Arts Department and the Music Depart...

      This study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Glee Club at Ewha College from 1927 to 1935. Ewha Hakdang, established by Mary F. Scranton in 1886, was reorganized as the first women's specialized college with the Liberal Arts Department and the Music Department in 1925. As Choseon’s folksongs were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Choseon’s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music research and the Glee Club were introduced as a curriculum for the Music Department.
      Since 1927, Ehwa College, led by Mary E. Young and Gi-Yong Ahn, published Choseonminyohabchanggogjib as record albums, which was a modern act. Moreover, the concert, which toured the country by arranging Choseon folk songs in chorus, generated a syndrome so-called ‘the Folksong Choir of the Joseon New Women,’ drawing a huge public response.
      However, these acts of Glee-Club were criticised and condemned by patriarchal society and the Christian community. It is possible that behind the criticism has been the response of discipline authorities who have been wary of girls producing social meaning through music.
      Nevertheless, as of 1935, when Ewha College was relocated to Sinchon, the Glee club’s activities have turned around to reproduce and imitate Western choir music. Also, by the end of the 1930s, when the energy of war was at its peak, it was mobilized for state-led music events such as ‘National Music Night’ and ‘The Night of the Feast’ and joined the ranks of the Empire’s faithful people.
      Although it’s been less than 10 years, Glee Club’s movement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 ‘Western music-centred community’ as they tried to achieve their goal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riticism and condemnation by the conservative society were possibly made by their fear of Glee Club’s liberal movement. Thus, the success of the glee club project in this period and the resistance of the institutional community to this period are also signs of colonial modernity, which was once again in conflict and confusion, such as ‘traditional society’ and ‘modern society,’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Christian) music,’ ‘women’s social advancement’ and ‘resistance of paternal discipline 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27-1935년 사이 이화여자전문학교(梨花女子專門學校) 글리클럽(Glee Club)에 대한 연구이다. 1886년 스크랜턴(Mary F. Scranton)에 의해 설립된 이화학당은 1925년, 문과와 음악과를 갖춘 여...

      본 논문은 1927-1935년 사이 이화여자전문학교(梨花女子專門學校) 글리클럽(Glee Club)에 대한 연구이다. 1886년 스크랜턴(Mary F. Scranton)에 의해 설립된 이화학당은 1925년, 문과와 음악과를 갖춘 여성 최초의 전문학교로 재정비한 후 조선민요를 조선 전통문화의 요체로 인식하면서 국악연구 및 글리클럽을 음악과의 커리큘럼으로 도입하였다.
      1927년 이후, 이화여전 음악과는 선교사 메리 영과 안기영의 합작(collaboration)으로 『조선민요합창곡집』을 출판하고 레코드로도 전곡을 취입하는 등 매우 근대적인 행보를 이뤄내었다. 또한 전국순회 연주회를 통해 ‘조선 신여성의 민요합창’이라는 신드롬을 일으키며 대중으로부터 큰 호응을 이끌어 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글리클럽의 음악활동은 음악계 및 기독교계 모두로부터 비난과 공격을 받았다. 음악계에서는 조선 재래음악을 오선보로 만들고 합창음악으로 편곡하여 서구화하였다는 이유로, 기독교계로부터는 미션스쿨 여학생들의 민요합창이 기생을 연상시킨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결국 1935년 이후 글리클럽은 서구 합창음악을 재현하고 모방하는 레퍼토리로 전환하고 1930년대 말에 이르면 ‘국민음악의 밤’이나 ‘기원절봉축의 밤’ 등 관주도의 음악행사에 동원되면서 제국의 충실한 국민이 되어가는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비록 10년이 채 못 되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이 시기 글리클럽의 활동은 서구음악의 일방적 수용자를 넘어 한국의 전통음악을 통해 선교지 현장을 반영하려고 시도했던 음악적 성취였다. 당시 제도권 사회의 공격과 반발은 글리클럽의 사회적 행보에 불편함과 위기의식을 느낀 가부장제 사회의 반발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글리클럽 프로젝트의 대중적 성공과 이에 대한 제도권 사회의 저항은 ‘전통사회’와 ‘근대사회’, ‘전통음악’과 ‘서구(기독교)음악’, ‘여성의 사회진출’과 ‘가부장제 규율권력의 저항’ 등 갈등과 혼돈을 거듭하던 식민지 근대성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극영, "현하의 악단을 돌아보면서" 71-78, 1926

      2 문성모, "한국전통음악에서 본 찬송가 틀리게 부르기의 원인분석" 18-24, 1987

      3 민경배, "한국교회 찬송가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7

      4 홍정수, "찬송가의 초기 정착과정" 11 : 368-390, 1995

      5 "중외일보"

      6 "조선일보"

      7 정정숙, "일제전기의 기독교 여성교육 연구" 257 : 71-95, 1998

      8 이진원, "일제강점기 이화전문학교의 전통음악 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44) : 367-410, 2010

      9 김은영, "일반2: 청년 계정식의 근대적 욕망과 조선음악 연구: 계정식의 「한국음악(DIE KOREANISCHE MUSIK)」을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52) : 43-71, 2016

      10 최승현, "이화음악 1920년대-1930년대의 음악교육" 15 : 211-246, 1997

      1 윤극영, "현하의 악단을 돌아보면서" 71-78, 1926

      2 문성모, "한국전통음악에서 본 찬송가 틀리게 부르기의 원인분석" 18-24, 1987

      3 민경배, "한국교회 찬송가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7

      4 홍정수, "찬송가의 초기 정착과정" 11 : 368-390, 1995

      5 "중외일보"

      6 "조선일보"

      7 정정숙, "일제전기의 기독교 여성교육 연구" 257 : 71-95, 1998

      8 이진원, "일제강점기 이화전문학교의 전통음악 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44) : 367-410, 2010

      9 김은영, "일반2: 청년 계정식의 근대적 욕망과 조선음악 연구: 계정식의 「한국음악(DIE KOREANISCHE MUSIK)」을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52) : 43-71, 2016

      10 최승현, "이화음악 1920년대-1930년대의 음악교육" 15 : 211-246, 1997

      11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의 역사" 이화여대출판부 2003

      12 김영의, "이화를 빛낸 음악인들" 한국심리검사연구소출판부 1977

      13 정충량, "이화 80년사" 이대출판부 1967

      14 이화100년사편찬위원회, "이화 100년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4

      15 이윤미, "식민지 초기 여성선교사의 교육 활동" 한국교육사학회 29 (29): 87-118, 2007

      16 임경화,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 ―일본에서의 번역어 성립과 조선으로의 수용 과정 분석" 대동문화연구원 (71) : 329-364, 2010

      17 "매일신보"

      18 "동아일보"

      19 신경숙, "근대초 조선가요 채보와 저작권 문제 -이상준 제소사건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8) : 97-135, 2013

      20 임경화, "근대 한국과 일본의 민요의 창출" 소명출판 2005

      21 김활란, "그 빛 속의 작은 생명 : 우월 김활란 자서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9

      22 김기전, "朝鮮의 절바리 敎育" 2 (2): 1924

      23 안기영, "朝鮮民謠와 그 樂譜化" 21 : 1931

      24 김팔련, "最高學府를 찻고서(1), 文學과 音樂의 殿堂 梨花女子專門學校, 寄宿舍의 여러 가지 로-맨스 等" 3 (3): 54-57, 1931

      25 허지연, "“제국 속의 제국”: 일제강점기 한국의 고등음악교육과 미국의 해외선교" 이화여자대학교 2017

      26 신수정, "[조선민요합창곡집(朝鮮民謠合唱曲集)] 연구" 민족음악학회 (50) : 283-301, 2015

      27 "The Korean Repository"

      28 "The Korea Mission Field"

      29 이희경, "1920년대 “여학생”의 사회적 표상-잡지 『신여성』을 중심으로" 10 (10): 55-79, 2004

      30 조동식, "10년전 여학생과 지금 여학생" 3 (3): 15-, 192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Music Institute of Ewha Womans University ->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5-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6 0.54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