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신신궁 예제와 이왕직아악부 = Yiwangjikaakbu Performed at Joseon Shinto Shrin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5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usical performance by Yiwangjikaakbu (‘House of Yi Court Music Orchestra’), which was in charge of music for the House of Yi and performed at Joseon Shinto Shrin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y examining the settings of the performance of Yiwangjikaakbu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he study has seen that how the court music orchestra was operated and used by the Japanese Empire in the 1920s and the 1930s. Joseon Shinto Shrine was a major place which the Japanese Empire used as a means to rule Joseon as its colony.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of Joseon Shinto Shrine and the Shinto rituals, the study sees what the shrine meant to Joseon. The study examines in what process the music of Joseon Shinto Shrine was established and which musical works the court music orchestra performed. For the purpose, Japan sent to Korea the director and the musicians of the Imperial Court Music Orchestra in 1926. They engaged in investigating the music of the court music orchestra in Korea and holding lectures suggesting that ‘Japan-Korea one body’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court music. After they returned to Japan, the festive music for the reisai (‘annual festival’) at Joseon Shinto Shrine was enacted as performed by House of Yi Court Music Orchestra. It was chosen from one or two titles of Jongmyojeryeak and Munmyojeryeak in the category of jeryeak (‘ceremonial music’) and yeonryeak (‘banquet music’), as performed by the court music orchestra. Every year starting in 1926, 7 or 8 titles were performed at the annual festival at Joseon Shinto Shrine. Coming into the 1940s, it included dance music performance.
      Examining the activities of Yiwangjikaakbu that were conducted at Joseon Shinto Shrine has identified the organizational limitations of Yiwangjikaakbu, which was mobilized into musical activities by the Japanese Empi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usical performance by Yiwangjikaakbu (‘House of Yi Court Music Orchestra’), which was in charge of music for the House of Yi and performed at Joseon Shinto Shrin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usical performance by Yiwangjikaakbu (‘House of Yi Court Music Orchestra’), which was in charge of music for the House of Yi and performed at Joseon Shinto Shrin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y examining the settings of the performance of Yiwangjikaakbu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he study has seen that how the court music orchestra was operated and used by the Japanese Empire in the 1920s and the 1930s. Joseon Shinto Shrine was a major place which the Japanese Empire used as a means to rule Joseon as its colony.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of Joseon Shinto Shrine and the Shinto rituals, the study sees what the shrine meant to Joseon. The study examines in what process the music of Joseon Shinto Shrine was established and which musical works the court music orchestra performed. For the purpose, Japan sent to Korea the director and the musicians of the Imperial Court Music Orchestra in 1926. They engaged in investigating the music of the court music orchestra in Korea and holding lectures suggesting that ‘Japan-Korea one body’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court music. After they returned to Japan, the festive music for the reisai (‘annual festival’) at Joseon Shinto Shrine was enacted as performed by House of Yi Court Music Orchestra. It was chosen from one or two titles of Jongmyojeryeak and Munmyojeryeak in the category of jeryeak (‘ceremonial music’) and yeonryeak (‘banquet music’), as performed by the court music orchestra. Every year starting in 1926, 7 or 8 titles were performed at the annual festival at Joseon Shinto Shrine. Coming into the 1940s, it included dance music performance.
      Examining the activities of Yiwangjikaakbu that were conducted at Joseon Shinto Shrine has identified the organizational limitations of Yiwangjikaakbu, which was mobilized into musical activities by the Japanese Empi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와 궁내성의 통제 하에서 활동하였던 이왕직아악부가 어떻게 조선신궁 예제에 동원되어 연주하였는지 그 과정과 연주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일제는 1925년 조선신궁을 완공하고 그곳에서 쓸 의식과 음악을 새로 제정하였다. 조선신궁의 가장 큰 의식인 예제에서 필요한 음악을 제정하기 위해 1926년 궁내성악부 악부장 다케이모리시케[武井守成]과 악사 두 명이 직접 조선을 방문했다. 이들은 조선신궁 예제용 미가구라를 새로 제정하였고, 이왕직아악부의 음악을 조사하고 연주곡을 선별하여 조선신궁 예제에 쓸 음악을 결정하였다.
      당시 사용된 곡목은 제례악으로 종묘제례악·문묘제례악 중 한두 곡, 연례악 으로 《경록무강지곡》·《수제천》·《요천순일지곡》·《만파정식지곡》·《장춘불로지곡》·《중광지곡》·《봉황음》·《만년장환지곡》·《함녕지곡》·《우림령》·《회팔선》·《기수영창지곡》·《정상지곡》 등이다. 이 곡 중에서 7-8곡을 뽑아 연주했다. 이왕직아악부에서는 1926년부터 해마다 조선신궁에서 음악을 연주하였고, 1940년대가 되면 무악(舞樂)도 추었다. 조선신궁 예제 연주 악대의 편성은 기존의 궁중음악에서 볼 수 없는 악기 배치법과 인적구성을 도입하였다. 궁내성 악부장 일행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왕직아악부의 연주는 조선신궁 예제 의식에 직접 사용된 것이 아니라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여흥을 위해 마련되었다. 이러한 장소에서 오락 거리의 하나로 조선의 궁중음악과 문화가 사용됨으로써 망해버린 왕실의 처지와 위상을 대중들에게 시청각적으로 느끼게 해주었다. 또한 이왕직아악부와 조선신궁의 결합은 내선일체를 효과적으로 선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일제 식민권력이 이왕직아악부에 자행하였던 관제 음악 활동의 실체를 일부 파악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와 궁내성의 통제 하에서 활동하였던 이왕직아악부가 어떻게 조선신궁 예제에 동원되어 연주하였는지 그 과정과 연주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일제는 1925년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와 궁내성의 통제 하에서 활동하였던 이왕직아악부가 어떻게 조선신궁 예제에 동원되어 연주하였는지 그 과정과 연주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일제는 1925년 조선신궁을 완공하고 그곳에서 쓸 의식과 음악을 새로 제정하였다. 조선신궁의 가장 큰 의식인 예제에서 필요한 음악을 제정하기 위해 1926년 궁내성악부 악부장 다케이모리시케[武井守成]과 악사 두 명이 직접 조선을 방문했다. 이들은 조선신궁 예제용 미가구라를 새로 제정하였고, 이왕직아악부의 음악을 조사하고 연주곡을 선별하여 조선신궁 예제에 쓸 음악을 결정하였다.
      당시 사용된 곡목은 제례악으로 종묘제례악·문묘제례악 중 한두 곡, 연례악 으로 《경록무강지곡》·《수제천》·《요천순일지곡》·《만파정식지곡》·《장춘불로지곡》·《중광지곡》·《봉황음》·《만년장환지곡》·《함녕지곡》·《우림령》·《회팔선》·《기수영창지곡》·《정상지곡》 등이다. 이 곡 중에서 7-8곡을 뽑아 연주했다. 이왕직아악부에서는 1926년부터 해마다 조선신궁에서 음악을 연주하였고, 1940년대가 되면 무악(舞樂)도 추었다. 조선신궁 예제 연주 악대의 편성은 기존의 궁중음악에서 볼 수 없는 악기 배치법과 인적구성을 도입하였다. 궁내성 악부장 일행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왕직아악부의 연주는 조선신궁 예제 의식에 직접 사용된 것이 아니라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여흥을 위해 마련되었다. 이러한 장소에서 오락 거리의 하나로 조선의 궁중음악과 문화가 사용됨으로써 망해버린 왕실의 처지와 위상을 대중들에게 시청각적으로 느끼게 해주었다. 또한 이왕직아악부와 조선신궁의 결합은 내선일체를 효과적으로 선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일제 식민권력이 이왕직아악부에 자행하였던 관제 음악 활동의 실체를 일부 파악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일보"

      2 "조선신문"

      3 윤선자, "일제의 神社 설립과 조선인의 神社 인식" 호남사학회 (42) : 107-140, 2011

      4 국성하, "일제강점기 동화정책 수단으로서의 조선신궁의 건립과 운영-일본인 학부차관의 교육간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26 (26): 31-56, 2004

      5 이지선, "일본의 전통문화" 제이엔씨 2008

      6 윤광봉, "일본신도와 가구라" 태학사 2009

      7 강인숙, "일본 카구라(神樂)의 문화적 배경" 대한무용학회 57 (57): 1-18, 2008

      8 이수정, "이왕직아악부의 조직과 활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6

      9 국립국악원, "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 국립국악원 1991

      10 이지선, "이왕가악기 외" 국립국악원 2014

      1 "조선일보"

      2 "조선신문"

      3 윤선자, "일제의 神社 설립과 조선인의 神社 인식" 호남사학회 (42) : 107-140, 2011

      4 국성하, "일제강점기 동화정책 수단으로서의 조선신궁의 건립과 운영-일본인 학부차관의 교육간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26 (26): 31-56, 2004

      5 이지선, "일본의 전통문화" 제이엔씨 2008

      6 윤광봉, "일본신도와 가구라" 태학사 2009

      7 강인숙, "일본 카구라(神樂)의 문화적 배경" 대한무용학회 57 (57): 1-18, 2008

      8 이수정, "이왕직아악부의 조직과 활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6

      9 국립국악원, "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 국립국악원 1991

      10 이지선, "이왕가악기 외" 국립국악원 2014

      11 "순종실록부록"

      12 "매일신보"

      13 "동아일보"

      14 서울역사아카이브, "근현대서울사진"

      15 "고종국장사진첩"

      16 최순권, "고종과 순종의 국장사진첩" 민속원 2008

      17 "경성일보"

      18 남성호, "가구라(神樂)의 신들림과 표상적 장치" 한국구비문학회 (30) : 365-398, 2010

      19 山本華子, "李王職雅樂部の硏究" 書肆フローラ 2012

      20 山田早苗, "朝鮮雅樂器寫眞帖" 경성 1935

      21 小笠原省三, "朝鮮神宮お中心としたる 內鮮融和の一考察" 顕彰日本社 1925

      22 "『조선』 269호"

      23 이수정, "<황화만년지곡> 연구" 온지학회 (46) : 233-264, 2016

      24 이지선, "1910년대 조선에서의 일본 전통음악 사정 2" 한국국악교육학회 36 (36): 105-127,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Music Institute of Ewha Womans University ->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5-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6 0.54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