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편적 세계인식 원리로서의 가家 = Ka(家), the Family, As an Epistemology of Universal Wor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695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은 가족문화가 가장 잘 발달한 나라다. 유교의 오랜 영향으로 가족은 생활의 가장 중요한 장이자 삶의 목표이자 사회도덕의 원천이다. 한중일 삼국 가운데 지금까지도 동양적 ...

        한국은 가족문화가 가장 잘 발달한 나라다. 유교의 오랜 영향으로 가족은 생활의 가장 중요한 장이자 삶의 목표이자 사회도덕의 원천이다. 한중일 삼국 가운데 지금까지도 동양적 가족이 가장 많이 남아 있고 가족에서 연원된 ‘우리’ 의식은 일상 언어와 사고방식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다. ‘우리’ 의식은 한국인의 존재의 집이다. 친애를 바탕으로 형성된 ‘관계’는 생각보다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개방적이다. 가족적 관계에서 연원이 된 친애성과 복잡성, 개방성이 한국 문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BR>  동양에서 가족이 사회 구성의 출발이었다면, 서양의 가족관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항상 사회관의 하부 개념이었다. 가족에 대해 현실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서양에서는 이상사회를 구성하기 위해 가족을 이런식, 저런 식으로 설계(design)해 왔다. 이런 생각이 현실적으로 추진된 것은 사회주의국가에서이다. 서구 사상가 가운데서는 헤겔이 유일하게 가족의 중요성과 인륜성을 언급하였지만 동양에서처럼 사회적 도덕의 차원으로 승격되지는 않았다. 서양과 달리 동양에서 가족은 사회와 국가와 세계와 만물로 뻗어나가는 모체였다. 가족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동양의 ‘가家’의 세계는 도덕과 감성과 이성의 복합체이다.<BR>  동양의 인간에 대한 이해와 도덕적 지향은 한마디로 ‘인륜적 세계주의’라고 할 수 있다. 자신과 가족을 위하는 인간의 사私적 욕망이 인간 사회의 풍요의 원천이지만 더 넓은 공公의 세계로 끊임없이 가족적 친애를 확장할 것을 권한다. 가족적 친애가 원천이기 때문에 동양의 세계는 인간적이되 억압적이지 않으며 지향하되 이념적이지 않으며 긴 시간에 걸쳐 낳고 낳는 세계이다. 이러한 생각을 데카르트 식으로 표현하면 “나는 낳아졌다. 고로 낳는다”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has the most developed family-based culture. Confucian tradition made family the most important field of life, the objective of life, and the source of social morality. Korean family is closer to East Asian family model than China or...

        Korea has the most developed family-based culture. Confucian tradition made family the most important field of life, the objective of life, and the source of social morality. Korean family is closer to East Asian family model than China or Japan. Family-originated ‘we-ness’ widely exists in everyday languages and the way of thinking. ‘We-ness’ is the house of existence to Korean. Social relationships modelled after familial affection, however, are complex and open-hearted,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BR>  While the family is the starting point for social construction in East Asia, western family was the sub-concept for social construction since Plato and Aristotle. Rather than understanding family as it is, it was designed in this way or that way in idea for the Utopia, which was realized in socialist countries. Hegel was the only philosopher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amily and family-based morality, which, however, was not upgraded to the level of society as in East Asia. From the family, the self expanded to the society, world, and universe which is the meaning of Ka(家), at the same time, an entity of morality, sentiment, and rationality.<BR>  The East Asian tradition of understanding the humanity and morality can be called as the ‘family-derived worldism.’ It understands that the individual private desires for self and family are the motor of social prosperity, while it encourages to expand familial affection to the wider public world. It is humanistic but not oppressive, progressive but not ideological, and bears and gives births for longer times as family does. If using the Cartesian expression, it can be said: “I was born so I be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동서양 가족관의 차이
        Ⅲ. 문화현상으로서의 가족주의
        Ⅳ. 동양적 ‘가’의 현대적 구성
        Ⅴ. 결어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
      • Ⅰ. 서론
        Ⅱ. 동서양 가족관의 차이
        Ⅲ. 문화현상으로서의 가족주의
        Ⅳ. 동양적 ‘가’의 현대적 구성
        Ⅴ. 결어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여성개발원, ""가족의식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1992

      2 최정혜, "현대 사회의 가족 관계에서 빚어지는 전통 윤리의 양상: 도시. 농어촌 대학생의 효 의식과 가족주의 가치관 및 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19 : 3-37, 1997

      3 _, "한일 양국에 있어서 가족의 통문화적 비교연구" 183-198, 1990b

      4 정자환, "한미일 3사회의 가구구성 비교를 통해 본 후기산업사회 가족형태 전망" 323-352, 1995

      5 은기수, "한국인의 가족가치: 5개국 비교연구" 27 (27): 137-182, 2004

      6 하상복, "한국의 민주화와 민족주의 이념의 정치(1945~1987)" 동아연구소 (49) : 193-230, 2005

      7 이광규, "한국의 가족과 종교" 민음사 1990

      8 론 반 오이엔, "한국의 가족 문화" 서울경제신문. 2005.11

      9 김근홍, "한국과독일의 가족구조에 대한 비교연구" 성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5 (5): 1998

      10 김대숙, "한국 신화의 가족구성체계 연구(I) 비교 신화 연구를 위한 시론" 45-59, 1999

      1 한국여성개발원, ""가족의식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1992

      2 최정혜, "현대 사회의 가족 관계에서 빚어지는 전통 윤리의 양상: 도시. 농어촌 대학생의 효 의식과 가족주의 가치관 및 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19 : 3-37, 1997

      3 _, "한일 양국에 있어서 가족의 통문화적 비교연구" 183-198, 1990b

      4 정자환, "한미일 3사회의 가구구성 비교를 통해 본 후기산업사회 가족형태 전망" 323-352, 1995

      5 은기수, "한국인의 가족가치: 5개국 비교연구" 27 (27): 137-182, 2004

      6 하상복, "한국의 민주화와 민족주의 이념의 정치(1945~1987)" 동아연구소 (49) : 193-230, 2005

      7 이광규, "한국의 가족과 종교" 민음사 1990

      8 론 반 오이엔, "한국의 가족 문화" 서울경제신문. 2005.11

      9 김근홍, "한국과독일의 가족구조에 대한 비교연구" 성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5 (5): 1998

      10 김대숙, "한국 신화의 가족구성체계 연구(I) 비교 신화 연구를 위한 시론" 45-59, 1999

      11 김정철, "한국 동화와 독일 동화에 묘사된 가족관 비교"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8) : 217-235, 2005

      12 이동원, "한국 가족의 현주소" 학지사 2002

      13 김승권,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14 최달곤, "친자관계에 있어서의 약자보호문제 일본 및 중화민국 가족법의 비교를 통해서 법과 사회연구" 5-18, 1988

      15 강혜련, "주요선진국의가족친화적기업정책비교연구" 17 (17): 7-30, 1999

      16 와쓰지 데쓰로 지음, "인간의 학으로서의 윤리학" 이문출판사 1993

      17 최석만, "유교적 사회질서와 문화, 민주주의"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2

      18 이태훈, "유교와 가족, 유교적 사회질서와 문화" 전남대학교 출판부 83-102, 2006

      19 최봉영, "유교 문화의 세계사적 비교, 유교적 사회질서와 문화" 전남대학교 출판부 32-45, 2006

      20 우실하, "오리엔탈리즘의 해체를 위한 인식 전환으로서의 동도동기론" 1998

      21 김은미, "부부의가족지향의식에관한한일비교" 34 (34): 1-14, 1996

      22 서수경, "독일과 한국의 가족교육 비교연구: 사회정책적 차원" 6 (6): 1-25, 2001

      23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훈복문화사 2005

      24 도흥열, "남북한 주민의 가족의식 비교" 3 (3): 83-96, 1999

      25 정광수, "남북한 가족법에 관한 비교 고찰" 43 : 137-162, 2004

      26 김혜영, "남북한 가족문화의 비교연구" 197-229, 2000

      27 제프리 존스, "나는 한국이 두렵다" 중앙M&B 2000

      28 홍승표, "깨달음의 사회학을 위한 시론試論" 동양사회사상학회 5 : 23-64, 2002

      29 최석만, "공公과 사私― 유교와 서구 근대 사상의 생활 영역 비교" 동양사회사상학회 5 : 5-22, 2002

      30 "가족해체에관한 한국독일 비교연구" 9 (9): 65-90, 2004

      31 홍상욱, "가족연구에 있어서 문화적 가치지향의 한일비교" 2 : 63-90, 1990a

      32 문화일보, "가족사랑 기업사랑: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생산성 높인다" 2006.3.27

      33 신상성, "가족사 소설의 비교문학적 연구 전통 가문소설과 외국 가족사소설의 비교" 149-169, 1988

      34 "가족관행의식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영남대학교 자원문제연구소 자원문제연구 10" 163-176, 1991

      35 여성한국사회연구회 엮음, "가족과 한국사회" 경문사 1995

      36 김안나, "가족과 사회연결망: 독일과 한국의 개인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37 (37): 67-99, 2003

      37 히사시 히라야마., "가족개인집단의 정체성: 동양과 서양의 비교" 9-13, 2002

      38 이문호, "‘비사회인’: 충효가 남긴 근대적 한국인" 한국사회학회 40 (40): 59-92, 2006

      39 KOTRA, "http:// www.kotra.or.kr/ main/ trade/ economy/ view_n.jsp? lsmcd= 0040001& inpt_no= 1203817" 2006

      40 Yanagisako, Sylvia Junko, "Producing Culture and Capital: Family Firms i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41 Sandel, "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42 Russell,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1984

      43 최선희, "<삼대>와 <부르텐부르크 일가>의 비교: 작중인물의 가족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연구 11 : 305-332,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9-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사회사상 -> 사회사상과 문화
      외국어명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3-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nrnal of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3 1.56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