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 2단계 연구를 통해 러시아ㆍCIS 지역과 동유럽 국가들의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이문화관리 유형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차원에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6157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1, 2단계 연구를 통해 러시아ㆍCIS 지역과 동유럽 국가들의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이문화관리 유형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차원에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 연...
지난 1, 2단계 연구를 통해 러시아ㆍCIS 지역과 동유럽 국가들의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이문화관리 유형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차원에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러시아ㆍCIS 지역과 동유럽 각 국의 의사소통 방식의 현재적 특성과 현황을 추적하고, 해당 지역의 의사소통 방식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문화코드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2단계 연구에서는 러시아 및 동유럽 국가들의 지식인, 엘리트 계층의 의식구조변화를 세계화와 연관 지어 연구하였다. 특히 동유럽국가들 가운데 개혁과 개방, 세계화 경향의 선도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러시아, 구 유고슬라비아, 체코, 헝가리의 지식인, 엘리트 그룹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세계화가 그들의 의식구조의 변화에 미친 영향과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의식구조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기제(mechanism)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이들 국가들의 특징적인 문화적 코드를 규명하고, 이를 응용한 이문화관리 방법론을 정립할 수 있었다. 중점연구과제의 마지막 단계인 본 3단계 연구에서는 이전의 1, 2단계 연구 과제의 결과물들을 바탕으로 러시아ㆍCIS 지역과 동유럽 국가들에서의 한국 이문화관리의 사례들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사례중심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존의 1, 2단계 연구가 이문화의 해석과 관리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토대를 세우기 위한 연구방향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면, 본 3단계 연구는 한국 이문화관리의 구체적인 사례와 응용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러시아ㆍCIS 지역과 동유럽 국가들의 체제변동 전후의 문화 변동 양상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