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경은, "흑찰미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주 동정 및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443-451, 2015
2 김동국, "홍삼 농축액과 쌀막걸리의 동시 발효를 통한 홍삼 식초의 제조 및 품질평가" 한국식품과학회 44 (44): 179-184, 2012
3 강경명, "추출 방법에 따른 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249-1254, 2013
4 최명효, "채취시기 및 가공방법에 따른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399-407, 2015
5 강재란,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섬애약쑥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생명과학회 27 (27): 23-31, 2017
6 이상현, "자연발효 감식초의 제조과정 중 지표성분변화 비교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372-376, 2009
7 서경순,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및 total polyphenol함량"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10-16, 2011
8 이수원, "알코올 발효조건 및 효모를 달리한 현미식초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66-1372, 2010
9 이재철, "쌀과 해당화를 이용한 식초제조 및 품질평가" 한국식품과학회 44 (44): 202-206, 2012
10 나환식, "시판 발효식초의 원료에 따른 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482-487, 2013
1 이경은, "흑찰미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주 동정 및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443-451, 2015
2 김동국, "홍삼 농축액과 쌀막걸리의 동시 발효를 통한 홍삼 식초의 제조 및 품질평가" 한국식품과학회 44 (44): 179-184, 2012
3 강경명, "추출 방법에 따른 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249-1254, 2013
4 최명효, "채취시기 및 가공방법에 따른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399-407, 2015
5 강재란,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섬애약쑥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생명과학회 27 (27): 23-31, 2017
6 이상현, "자연발효 감식초의 제조과정 중 지표성분변화 비교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372-376, 2009
7 서경순,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및 total polyphenol함량"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10-16, 2011
8 이수원, "알코올 발효조건 및 효모를 달리한 현미식초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66-1372, 2010
9 이재철, "쌀과 해당화를 이용한 식초제조 및 품질평가" 한국식품과학회 44 (44): 202-206, 2012
10 나환식, "시판 발효식초의 원료에 따른 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482-487, 2013
11 김경오, "시판 과일식초의 발효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736-742, 2013
12 황초롱,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4 (24): 377-385, 2014
13 하기정, "섬애쑥 추출물의 뇌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의한 학습 및 기억능력 개선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7 (47): 380-387, 2015
14 이경환,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298-303, 2006
15 홍성민, "복분자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 및 그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594-603, 2012
16 주경호, "발효 현미식초의 발효방법 및 원료함량에 따른 품질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33-39, 2009
17 백성열, "무독화 옻 추출물로 제조한 발효식초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674-682, 2015
18 박찬성, "동충하초, 쑥 및 솔잎 추출물의 항균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102-108, 2002
19 장세영, "교반 및 정치배양에 따른 사과식초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08-312, 2010
20 신언환, "고추냉이 잎으로 제조한 식초의 품질 특성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21 (21): 255-263, 2015
21 황초롱, "건조 및 침출 조건에 따른 섬애약쑥 침출물의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546-553, 2013
22 안중배, "강화지역의 기후특성 분석을 통한 ‘강화약쑥’의 생육 환경 연구" 한국농림기상학회 14 (14): 71-78, 2012
23 이미란, "감귤 미숙과 식초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250-257, 2014
24 Ryu SN, "Variation of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ent of mugwort" 50 : 204-207, 2005
25 Furukawa S, "Studies on non-volatile organic acid in vinegar (I):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commercial vinegars" 41 : 14-19, 1963
26 Kwon SH,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5 : 18-24, 2000
27 KFDA, "Korea Food Standard Code"
28 박은교, "Jaceosidin이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쥐의 혈당강하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7 (47): 313-320, 2014
29 Min-Jung Kim,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Jaceosidin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v. Sajabal" 대한약학회 31 (31): 429-437, 2008
30 Seo JH,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vinegars produced from two-stage fermentation" 8 : 40-44, 2003
31 Moon SY,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ic tastes" 29 : 663-670, 1997
32 Jeong YJ,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persimmon vinegars by two stages fermentation(1)" 6 : 228-232, 1999
33 Lee SD,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13 : 490-505, 2000
34 Park SK,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coumaric acid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9 : 506-511,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