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에서의 현대음악 수업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현대음악 학습 실태를 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403502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9-71(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에서의 현대음악 수업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현대음악 학습 실태를 살...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에서의 현대음악 수업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현대음악 학습 실태를 살펴보고, 현재 음악교과 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음악 수업의 빈도, 현대음악 수업의 내용, 학습영역별 수업양상, 학생의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현대음악의 정확한 개념을 모르고 있으며 관심이 적은 편이었고, 이해 와 감상영역을 통하여 현대음악을 학습하고 있으며 20세기 초 소수의 작곡가와 사조를 알고 있었다. 현대 음악 교육이 현재 수업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점차적으로 해소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와 창의력을 증 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음악수업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ecture of contemporary music within high school’s music learning methods and to suggest the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For this,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gh school 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ecture of contemporary music within high school’s music learning methods and to suggest the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For this,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gh school students’ actual condition of contemporary music. This also analyzes how the frequency of contemporary music lesson is formed in current curriculum, the contents of lesson, the aspects of lesson, and the cognition of contemporary music from students. The samples were collected via surveying 500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 From among these, data of 499 students’ surveys were analyzed. A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ly, the frequent analysis of concept intelligibility and the level of interest have taken a place to examine the students’ cognizance to contemporary music. In consequence, a number of students’ with inaccurate notion was greater than those who knew accurately. As a consequence of measuring the level of concern in students whos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music is comprehensive, it indicated an insignificant level of concern. None the less, significant concerns were proved by students who fallibly identified a contemporary music as a pop or an applied music. Dissimilarly to the insignificant degree of concern for contemporary music, the aspect of interestwas above the mediocrity. Secondly, through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contemporary music lecture, including its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it indicates that the learning methods rely principally on understanding and impression. As an inevitable consequence more than 70 percent of the students have rarely experienced the composition, the song, and the instrumental music.Even in the contents aspects, the centre figure of minority composers and trends such as Debussy, Stravinsky and impressionism and jazz educated the students through the lectures. I anticipate that contemporary music, as a part of the music program,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itiative and thoughts while making gradual progress toward the issues in the current contemporary music field.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19세기 후반 스페인 피아노 조곡 알베니스의 스페인의 노래 (Chants d`Espagne) Op. 232 연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활동중심의 음악수업 지도방안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미학 이론 기반 초등학교 음악감상 수업방안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Horace Silver의 “Doodlin’”: 후기 중급 및 초기고급 레벨의 피아니스트를 위한 편곡 작품 및 페다고지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