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의 학문성 분석 : 종교론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chleiermacher's Theology : Focused on <On Religion: Speeches to its Cultured Despis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19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chleiermacher’s academic characteristic and academic methods, and to evaluate his theology through his major work, On Religion: Speeches to Its Cultured Despisers (1799).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the Enlightenment finds its roots in reason.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practical philosophy of Immanuel Kant is rooted in the praxis-moral. In On Religion, Schleiermacher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the methods, that is the reason rooted in the Enlightenment and the praxis-moral by Kant. In his opinion, on the premise that religion is to approach the Infinite, he suggests that only a single method such as reason or practice alone cannot approach the Infinite. Therefore, to discuss religion, he states that his academic characteristic is based on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not an independent method such as enlightenment according to Kant. Hence, his method is assessed as the best humanistic approach, inherited from the Enlightenment, because it not only overcame the limitation of reason or practice, but also included even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ctice.
      Schleiermacher’s academic methods consist of religious intuition (Anschauung) and religious feeling (Gefühl). He says that religious intuition and religious feeling are inseparable. Religious feeling does not exist alone and is dependent on religious intuition, and intuition is based on human nature and does not deny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xis-moral. Rather, because religious intuition comes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 or 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it includes methods of reason or practice. Hence, his academic methods, intuition and feeling, come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and include all of the Enlightenment methods and Kant’s method.
      Regarding Schleiermacher’s theology, it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enlightenment theology and its groundwork is not revelation but human nature. In On Religion, he defined the Bible not as the Word of God and special revelation, but as document reflecting the fruit of human nature and the age. Hence, he argued that the Bible is not an invaluable record for those who do not develop human nature. This is understandable that he inherited the ideas of the Enlightenment concerning the Bible. However, a difference is the standard of biblical understanding that is not rooted in the reason of the Enlightenment, but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Regarding Christology, Schleiermacher identified Christ not as God but as a perfect human being having God-consciousness (Gottesbewußtsei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od-consciousness, Christ was able to be an intercessor and was approved as God’s son. In addition, by defining Christ’s intercession as an awakening of an incomplete human nature, he excluded redemptive work from Christ’s work. Hence, his Christology is located in the flow of the historical Jesus studies and it reveals that the standard of judgment about Christ shifted from human reason to human nature.
      In conclusion, how can Schleiermacher’s approach of human nature contribute to Reformed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Reformed theology viewed religion as “the right manner of knowing and serving the true God” which consists of objective religion and subjective religion. In particular, given that subjective religion is a response of a man who was changed by the Holy Spirit, Schleiermacher’s concept of human nature is not appropriate. From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human nature is totally depraved, corrupt and not dependent upon God’s revelation. However, we can partly accept his suggestions of the human nature approach, including practice and reason, under the premise of human nature changed by the Holy Spirit. It is appropriate for theologians to seek for a viewpoint not only depending on practice and reason but hav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s approach to Go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chleiermacher’s academic characteristic and academic methods, and to evaluate his theology through his major work, On Religion: Speeches to Its Cultured Despisers (1799).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the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chleiermacher’s academic characteristic and academic methods, and to evaluate his theology through his major work, On Religion: Speeches to Its Cultured Despisers (1799).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the Enlightenment finds its roots in reason.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practical philosophy of Immanuel Kant is rooted in the praxis-moral. In On Religion, Schleiermacher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the methods, that is the reason rooted in the Enlightenment and the praxis-moral by Kant. In his opinion, on the premise that religion is to approach the Infinite, he suggests that only a single method such as reason or practice alone cannot approach the Infinite. Therefore, to discuss religion, he states that his academic characteristic is based on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not an independent method such as enlightenment according to Kant. Hence, his method is assessed as the best humanistic approach, inherited from the Enlightenment, because it not only overcame the limitation of reason or practice, but also included even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ctice.
      Schleiermacher’s academic methods consist of religious intuition (Anschauung) and religious feeling (Gefühl). He says that religious intuition and religious feeling are inseparable. Religious feeling does not exist alone and is dependent on religious intuition, and intuition is based on human nature and does not deny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xis-moral. Rather, because religious intuition comes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 or 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it includes methods of reason or practice. Hence, his academic methods, intuition and feeling, come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and include all of the Enlightenment methods and Kant’s method.
      Regarding Schleiermacher’s theology, it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enlightenment theology and its groundwork is not revelation but human nature. In On Religion, he defined the Bible not as the Word of God and special revelation, but as document reflecting the fruit of human nature and the age. Hence, he argued that the Bible is not an invaluable record for those who do not develop human nature. This is understandable that he inherited the ideas of the Enlightenment concerning the Bible. However, a difference is the standard of biblical understanding that is not rooted in the reason of the Enlightenment, but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Regarding Christology, Schleiermacher identified Christ not as God but as a perfect human being having God-consciousness (Gottesbewußtsei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od-consciousness, Christ was able to be an intercessor and was approved as God’s son. In addition, by defining Christ’s intercession as an awakening of an incomplete human nature, he excluded redemptive work from Christ’s work. Hence, his Christology is located in the flow of the historical Jesus studies and it reveals that the standard of judgment about Christ shifted from human reason to human nature.
      In conclusion, how can Schleiermacher’s approach of human nature contribute to Reformed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Reformed theology viewed religion as “the right manner of knowing and serving the true God” which consists of objective religion and subjective religion. In particular, given that subjective religion is a response of a man who was changed by the Holy Spirit, Schleiermacher’s concept of human nature is not appropriate. From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human nature is totally depraved, corrupt and not dependent upon God’s revelation. However, we can partly accept his suggestions of the human nature approach, including practice and reason, under the premise of human nature changed by the Holy Spirit. It is appropriate for theologians to seek for a viewpoint not only depending on practice and reason but hav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s approach to G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종교론을 통해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성과 그 수단을 연구하고, 그리고 그로 말미암은 그의 신학을 진단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계몽주의의 학문성은 이성에 근거하고, 칸트의 실천철학의 학문성은 실천-도덕-에 근거한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이성과 실천의 방법의 한계를 지적한다. 종교는 무한자에게 나아가는 것인데,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만으로는 무한자에게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종교를 논의할 수 있는 것은 이성, 실천의 개별적인 수단이 아닌,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근거해야 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방법은 그의 학문성이 이성이나 실천의 한계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이성과 실천의 방법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서, 계몽주의의 방법을 계승하는 ‘인본주의적인 수단’의 최고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은 종교적 ‘직관(Anschauung)’과 종교적 ‘감정(Gefühl)’이다. 그는 먼저 종교적 ‘직관’과 종교적 ‘감정’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종교적 ‘감정’은 홀로 존재할 수 없으며, 그것은 ‘직관’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직관’은 인간 내면의 ‘인간성(Menschheit)’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계몽주의의 ‘이성’이나 칸트의 ‘도덕-실천-’의 방법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종교적 ‘직관’은 이성, 실천-도덕-,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全人)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이성적 수단이나 실천적 수단을 모두 수용한다. 따라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인 직관(Anschauung)과 감정(Gefühl)은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계몽주의와 칸트의 방법론들을 모두 포괄하는 수단인 것이다.
      종교론에서의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은 계몽주의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계시가 아니라 인간성(Menschheit)에 기반을 두고 있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성경이 특별계시인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 종교에 대한 단순한 기록이면서, 인간성의 산물이고, 시대를 반영한 단순한 기록에 불과한 것이라고 정리한다. 따라서 그는 인간성을 꽃피우지 못하는 사람에게, 성경은 가치없는 ‘기록물’에 불과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는 계몽주의의 성경관을 계승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경관에 있어서 그가 계몽주의와 다른 점은, 성경이해의 잣대를 계몽주의의 인간 ‘이성’이 아니라, ‘이성’을 포함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둔다는 점이다.
      종교론에서 슐라이어마허는 그리스도를 하나님(神)이 아니라, 신의식(Gottesbewußtsein)을 가진 완전한 인간으로 규정하고, 그리스도가 신의식의 능력으로 중보자(Mittler)가 될 수 있었으며,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을 불완전한 ‘인간성(Menschheit)’을 일깨우는 사역이라고 규정함으로서,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속죄를 제외시켰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기독론은 ‘역사적 예수 연구’의 흐름 속에 있는 것이면서, 그리스도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인간의 ‘이성’에서 ‘인간성’으로 옮겨놓은 특징을 잘 보여준다.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Menschheit)’의 수단이 21세기 개혁교회에 공헌할 수 있는가? 개혁신학의 통례를 따라 ‘하나님을 알고 예배하는 올바른 방법’인 ‘종교’를 분류하면,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객관적 종교’와, 계시에 대한 인간의 반응으로서의 ‘주관적 종교’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관적 종교는 성령에 의해서 변화된 사람의 ‘계시에 의존적인 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슐라이어마허의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법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의 인간성은 전적으로 타락하고 부패해버린 것이며, 하나님의 계시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슐라이어마허가 제안한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을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식은, 성령에 의하여 변화된 인간 ‘성품’을 전제로 하는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학하는 자가 ‘이성’이나 ‘실천-행위-’적인 방법들에만 의존하기보다, 하나님의 은혜로 변화된 전인(全人)으로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이 마땅한 것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종교론을 통해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성과 그 수단을 연구하고, 그리고 그로 말미암은 그의 신학을 진단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계몽주의의 학문성은 이성에 근거하고,...

      본 논문은 종교론을 통해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성과 그 수단을 연구하고, 그리고 그로 말미암은 그의 신학을 진단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계몽주의의 학문성은 이성에 근거하고, 칸트의 실천철학의 학문성은 실천-도덕-에 근거한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이성과 실천의 방법의 한계를 지적한다. 종교는 무한자에게 나아가는 것인데,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만으로는 무한자에게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종교를 논의할 수 있는 것은 이성, 실천의 개별적인 수단이 아닌,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근거해야 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방법은 그의 학문성이 이성이나 실천의 한계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이성과 실천의 방법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서, 계몽주의의 방법을 계승하는 ‘인본주의적인 수단’의 최고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은 종교적 ‘직관(Anschauung)’과 종교적 ‘감정(Gefühl)’이다. 그는 먼저 종교적 ‘직관’과 종교적 ‘감정’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종교적 ‘감정’은 홀로 존재할 수 없으며, 그것은 ‘직관’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직관’은 인간 내면의 ‘인간성(Menschheit)’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계몽주의의 ‘이성’이나 칸트의 ‘도덕-실천-’의 방법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종교적 ‘직관’은 이성, 실천-도덕-,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全人)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이성적 수단이나 실천적 수단을 모두 수용한다. 따라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인 직관(Anschauung)과 감정(Gefühl)은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계몽주의와 칸트의 방법론들을 모두 포괄하는 수단인 것이다.
      종교론에서의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은 계몽주의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계시가 아니라 인간성(Menschheit)에 기반을 두고 있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성경이 특별계시인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 종교에 대한 단순한 기록이면서, 인간성의 산물이고, 시대를 반영한 단순한 기록에 불과한 것이라고 정리한다. 따라서 그는 인간성을 꽃피우지 못하는 사람에게, 성경은 가치없는 ‘기록물’에 불과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는 계몽주의의 성경관을 계승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경관에 있어서 그가 계몽주의와 다른 점은, 성경이해의 잣대를 계몽주의의 인간 ‘이성’이 아니라, ‘이성’을 포함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둔다는 점이다.
      종교론에서 슐라이어마허는 그리스도를 하나님(神)이 아니라, 신의식(Gottesbewußtsein)을 가진 완전한 인간으로 규정하고, 그리스도가 신의식의 능력으로 중보자(Mittler)가 될 수 있었으며,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을 불완전한 ‘인간성(Menschheit)’을 일깨우는 사역이라고 규정함으로서,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속죄를 제외시켰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기독론은 ‘역사적 예수 연구’의 흐름 속에 있는 것이면서, 그리스도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인간의 ‘이성’에서 ‘인간성’으로 옮겨놓은 특징을 잘 보여준다.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Menschheit)’의 수단이 21세기 개혁교회에 공헌할 수 있는가? 개혁신학의 통례를 따라 ‘하나님을 알고 예배하는 올바른 방법’인 ‘종교’를 분류하면,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객관적 종교’와, 계시에 대한 인간의 반응으로서의 ‘주관적 종교’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관적 종교는 성령에 의해서 변화된 사람의 ‘계시에 의존적인 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슐라이어마허의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법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의 인간성은 전적으로 타락하고 부패해버린 것이며, 하나님의 계시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슐라이어마허가 제안한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을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식은, 성령에 의하여 변화된 인간 ‘성품’을 전제로 하는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학하는 자가 ‘이성’이나 ‘실천-행위-’적인 방법들에만 의존하기보다, 하나님의 은혜로 변화된 전인(全人)으로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이 마땅한 것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iv
      • Abstract vi
      • 헌사(Dedication) ix
      • 감사의 글(Acknowledgement) x
      • 제 1 장 서론 1
      • 논문개요 iv
      • Abstract vi
      • 헌사(Dedication) ix
      • 감사의 글(Acknowledgement) x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동기와 의의 1
      •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 제 3 절 연구사 8
      • 제 2 장 18세기 배경사 23
      • 제 1 절 정치적 배경 25
      • 1.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의 독일 25
      • 2. 프랑스혁명 이후 독일 27
      • 제 2 절 사상적 배경 30
      • 1. 르네 데카르트 30
      • 2. 바뤼흐 스피노자 40
      • 3. 고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49
      • 4. 임마누엘 칸트와 독일 관념론 55
      • 제 3 절 종교적 배경 66
      • 1. 계몽주의적 기독교 - 자연신론과 계몽주의 신학 67
      • 2. 독일 경건주의 73
      • 제 3 장 종교론 분석 80
      • 제 1 절 슐라이어마허의 생애 80
      • 1. 어린시절과 학문적 배경(1768-1796) 80
      • 2. 베를린 샤리테 병원 시절 - 낭만주의 모임(1796-1802) 83
      • 3. 슈톨프 사역과 할레 대학 교수(1802-1807) 85
      • 4. 베를린에서의 활동과 말년(1807-1834) 86
      • 제 2 절 종교론 분석 88
      • 1. 제 1 강연 변증 88
      • 2. 제 2 강연 종교의 본질에 관하여 92
      • 3. 제 3 강연 종교 교육에 관하여 102
      • 4. 제 4 강연 종교 교제, 혹은 교회와 성직에 관하여 106
      • 5. 제 5 강연 종교들에 관하여 112
      • 제 3 절 종교론과 학문성, 그리고 신학적 문제들 121
      • 1. 종교의 학문성에 관한 논의 121
      • 2. 종교론에 나타난 신학적 문제들 122
      • 제 4 장 종교론과 학문성에 관한 논의 124
      • 제 1 절 슐라이어마허 학문성에 관한 논의 125
      • 제 2 절 18세기의 학문성에 관한 논의 130
      • 1. 영국의 경험론과 학문성 130
      • 2. 프랑스의 사상과 학문성 134
      • 3. 독일의 사상과 학문성 138
      • 제 3 절 종교론의 학문성에 관한 논의 145
      • 1. 종교에 대한 잘못된 학문적 접근 145
      • 2. 종교에 대한 학문적 논의 151
      • 제 4 절 종교적 직관과 감정이 기초한 인간성 162
      • 1. 슐라이어마허 이전, 근대철학자들의 직관과 감정에 관한 논의 162
      • 2.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적 직관과 종교적 감정 171
      • 3. 학문성의 기초인 인간성 182
      • 제 5 장 종교론의 신학적 진단 188
      • 제 1 절 종교론의 성경관 188
      • 1. 18세기 계몽주의 성경관 189
      • 2. 종교와 성경과의 관계 193
      • 3. 성경은 시대적 산물이며 종교는 아니다 195
      • 4. 성경의 범위 197
      • 5. 종교론의 성경관 비판 199
      • 제 2 절 종교론에 나타난 기독론 204
      • 1. 18세기 기독론의 흐름 204
      • 2. 예수의 인격에 관한 이해 206
      • 3. 중보자의 의미 209
      • 4. 예수의 유일성에 관한 이해 213
      • 5. 종교론의 기독론 비판 214
      • 제 6 장 결론 219
      • 부록 234
      • 참고문헌 2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