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교육에서의 호모루덴스 = Homo Ludens in Mo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1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성중심 사상사 속에서 놀이는 부차적 차원의 행위 양식이었다. 그러나 놀이를 인간 문화 형성의 핵심으로 이해한 호이징아의 견해는 새로운 관점에서 놀이를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놀이의 특성을 증명한 호이징아와 놀이를 객관적이며 실증적으로 분석한 카이와, 그리고 놀이 속에서 인간 실존을 언급한 핑크의 주장은 인간과 놀이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파악해 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인간 행위를 이해하기 위한 도덕교육은 이들의 주장을 통해 놀이의 의미를 되새겨볼 필요성을 갖는다. 특히, 도덕과 수업에서 놀이는 수단적 역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놀이의 특성을 통해 수업 자체와 관계하며, 놀이하는 인간을 통해 실존의 영역으로 들어서게 한다. 놀이하는 인간은 더 이상 수준 낮은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며, 도덕과 교육에서 놀이는 더 이상 수단적 지위에 머무르지 않는다. 놀이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도덕교육적 놀이에 대한 의미를 내포한다. 더 나아가 놀이와 도덕적 행위의 연관은 인간 행위의 다각적 이해를 통해 도덕과 교육에 새로운 역할을 요청한다.
      번역하기

      이성중심 사상사 속에서 놀이는 부차적 차원의 행위 양식이었다. 그러나 놀이를 인간 문화 형성의 핵심으로 이해한 호이징아의 견해는 새로운 관점에서 놀이를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놀이...

      이성중심 사상사 속에서 놀이는 부차적 차원의 행위 양식이었다. 그러나 놀이를 인간 문화 형성의 핵심으로 이해한 호이징아의 견해는 새로운 관점에서 놀이를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놀이의 특성을 증명한 호이징아와 놀이를 객관적이며 실증적으로 분석한 카이와, 그리고 놀이 속에서 인간 실존을 언급한 핑크의 주장은 인간과 놀이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파악해 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인간 행위를 이해하기 위한 도덕교육은 이들의 주장을 통해 놀이의 의미를 되새겨볼 필요성을 갖는다. 특히, 도덕과 수업에서 놀이는 수단적 역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놀이의 특성을 통해 수업 자체와 관계하며, 놀이하는 인간을 통해 실존의 영역으로 들어서게 한다. 놀이하는 인간은 더 이상 수준 낮은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며, 도덕과 교육에서 놀이는 더 이상 수단적 지위에 머무르지 않는다. 놀이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도덕교육적 놀이에 대한 의미를 내포한다. 더 나아가 놀이와 도덕적 행위의 연관은 인간 행위의 다각적 이해를 통해 도덕과 교육에 새로운 역할을 요청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lay in history of reason-oriented ideas is a secondary act style. However, opinion of Huizinga understanding play as the heart of formation of human culture made people see play in a new perspective. Opinions of Huizinga proving characteristics of play, Kai analyzing play objectively and empirically, and Pink referring to human existence in play offered the beginning to understand relation between person and play in various fields. Moral education to understand a human act needs to mediate a meaning of play through their opinions. Especially, play in moral class not is limited to an instrumental role but is related to class itself through characteristics of play, and enters an existential field through person who is playing. Person who is playing does not act of low standard anymore, and play in moral education does not remain in an instrumental position anymore. New understanding of play and person includes a meaning of moral educational play. Furthermore, relation between play and moral act asks moral education for a new role through multilateral understandings of human act.
      번역하기

      Play in history of reason-oriented ideas is a secondary act style. However, opinion of Huizinga understanding play as the heart of formation of human culture made people see play in a new perspective. Opinions of Huizinga proving characteristics of pl...

      Play in history of reason-oriented ideas is a secondary act style. However, opinion of Huizinga understanding play as the heart of formation of human culture made people see play in a new perspective. Opinions of Huizinga proving characteristics of play, Kai analyzing play objectively and empirically, and Pink referring to human existence in play offered the beginning to understand relation between person and play in various fields. Moral education to understand a human act needs to mediate a meaning of play through their opinions. Especially, play in moral class not is limited to an instrumental role but is related to class itself through characteristics of play, and enters an existential field through person who is playing. Person who is playing does not act of low standard anymore, and play in moral education does not remain in an instrumental position anymore. New understanding of play and person includes a meaning of moral educational play. Furthermore, relation between play and moral act asks moral education for a new role through multilateral understandings of human 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izinga J.,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3

      2 배상식, "하이데거의 ‘놀이’개념" 대한철학회 123 : 135-164, 2012

      3 김기정, "요한 호이징아의 놀이와 문화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63) : 323-352, 2011

      4 곽영근, "블로흐 희망철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14

      5 Caillois R.,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2014

      6 김겸섭, "‘놀이학’의 선구자, 호이징하와 까이와의 놀이담론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14 (14): 145-190, 2008

      7 Fink E., "Spiel als Weltsymbol" 1960

      8 Fink E., "Oase des Glücks. Gedanken zu einer Ontologie des Spiels" Freiburg 1957

      9 김재철, "E. 핑크의 놀이존재론(II)-세계상징으로서의 놀이" 한국하이데거학회 3 (3): 33-64, 2013

      10 김재철, "E. 핑크의 놀이존재론(I)-실존범주로서의 놀이" 한국하이데거학회 18 (18): 189-216, 2013

      1 Huizinga J.,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3

      2 배상식, "하이데거의 ‘놀이’개념" 대한철학회 123 : 135-164, 2012

      3 김기정, "요한 호이징아의 놀이와 문화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63) : 323-352, 2011

      4 곽영근, "블로흐 희망철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14

      5 Caillois R.,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2014

      6 김겸섭, "‘놀이학’의 선구자, 호이징하와 까이와의 놀이담론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14 (14): 145-190, 2008

      7 Fink E., "Spiel als Weltsymbol" 1960

      8 Fink E., "Oase des Glücks. Gedanken zu einer Ontologie des Spiels" Freiburg 1957

      9 김재철, "E. 핑크의 놀이존재론(II)-세계상징으로서의 놀이" 한국하이데거학회 3 (3): 33-64, 2013

      10 김재철, "E. 핑크의 놀이존재론(I)-실존범주로서의 놀이" 한국하이데거학회 18 (18): 189-216, 2013

      11 Bloch E., "Das Prinzip Hoffnung 1" 19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