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재호, "전통 민속주의 생리기능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4 (34): 118-122, 2002
2 정희경,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Saccharomyces cerevisiae HA3을이용한 하향주의 제조 및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8 (38): 659-667, 2006
3 소명환, "쌀 입국 제조시 Rhizopus sp.ZB9의 배양 조건이 프로테아제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399-404, 2010
4 유대식, "신종 누룩사상균, Aspergillus coreanus NR 15-1의 α-Amylase의 효소학적 특성" 한국생물공학회 19 (19): 301-307, 2004
5 유주현, "식품공학실험 제2권" 탐구당 474-479, 1989
6 정은주, "벼 도정 부산물을 이용한 탁주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17 (17): 199-205, 2004
7 박창숙, "밀가루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4 (34): 296-302, 2002
8 우승미, "누룩 종류에 따른 현미 탁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01-307, 2010
9 김아람, "감초 첨가에 의한 탁주의 저장성 및 품질증진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0 (40): 194-200, 2008
10 이상선, "각종 누룩 균을 이용한 실험실조건에서의 막걸리 제조" 한국균학회 30 (30): 61-65, 2002
1 김재호, "전통 민속주의 생리기능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4 (34): 118-122, 2002
2 정희경,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Saccharomyces cerevisiae HA3을이용한 하향주의 제조 및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8 (38): 659-667, 2006
3 소명환, "쌀 입국 제조시 Rhizopus sp.ZB9의 배양 조건이 프로테아제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399-404, 2010
4 유대식, "신종 누룩사상균, Aspergillus coreanus NR 15-1의 α-Amylase의 효소학적 특성" 한국생물공학회 19 (19): 301-307, 2004
5 유주현, "식품공학실험 제2권" 탐구당 474-479, 1989
6 정은주, "벼 도정 부산물을 이용한 탁주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17 (17): 199-205, 2004
7 박창숙, "밀가루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4 (34): 296-302, 2002
8 우승미, "누룩 종류에 따른 현미 탁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01-307, 2010
9 김아람, "감초 첨가에 의한 탁주의 저장성 및 품질증진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0 (40): 194-200, 2008
10 이상선, "각종 누룩 균을 이용한 실험실조건에서의 막걸리 제조" 한국균학회 30 (30): 61-65, 2002
11 Lee T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29 : 691-698, 2000
12 Han EH,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29 : 563-570, 1997
13 Kim MJ, "The study about traditional Nuruk" 9 : 324-329, 2002
14 Lee MK, "The quality of yakju brewed from many kind of nuruk" 1 : 99-111, 1991
15 Lee MK,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nuruk" 4 : 19-29, 1994
16 Lee MK, "Quality assessment of yakju brewed with conventional nuruk" 23 : 78-89, 1994
17 Somogyi M, "Notes on sugar determination" 195 : 19-23, 1952
18 Jo GY,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from nuruk" 26 : 759-766, 1997
19 So MH,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the combined use of Aspergillus kawachii and Aspergillus oryzae" 4 : 115-124, 1991
20 Lee JH,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nuruk" 15 : 359-365, 2000
21 Lee SR, "Hankuk eui balhyo sikpum (Fermented foods of Korea)" Ewha Press 142-155, 1986
22 Lee JS,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28 : 316-323, 1996
23 Kim CJ, "Fermentation technology" Sunjinmunhasa 79-103, 1990
24 Kim HS,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26 : 767-774, 1997
25 Chung HK, "Characteristics and present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4 : 311-318, 1989
26 Brewing society of Japan, "Analysis of alcoholic beverages" 211-228, 1993
27 Ahn BH, "A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