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VIE 프로그램의 교육성과를 바탕으로 텍스트와 이미지와의 언어와 문학적 관계를 연구한 결과다. 디지털 영상 시대를 맞아 올바른 이미지 리터러시 교육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VIE 프로그램의 교육성과를 바탕으로 텍스트와 이미지와의 언어와 문학적 관계를 연구한 결과다. 디지털 영상 시대를 맞아 올바른 이미지 리터러시 교육이 ...
본 논문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VIE 프로그램의 교육성과를 바탕으로 텍스트와 이미지와의 언어와 문학적 관계를 연구한 결과다. 디지털 영상 시대를 맞아 올바른 이미지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시점에서 텍스트와 이미지를 활용한 VIE 프로그램의 결과는 양자간의 기호학과 문학적인 관계와 기능을 보여준다.
텍스트와 이미지의 통합으로 메시지가 창출되는데 이 때 퍼스(Peirce)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 관계를 정의한 세 분류인 도상, 지표, 상징이 등장한다.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간의 우선권에 따라 결정되는 이 3가지 종류의 분류는 학생들의 작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학생들의 영상 이미지와 연결된 시를 보면 이미지에 직설적으로 연결된 도상과 같은 작품에서부터 이미지와 시어가 전혀 동 떨어져 보이지만 1차 의미작용을 넘어 은유적 연결 접점을 찾아 상징으로 발전한 작품까지 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할 수 있는 영상활용교육(VIE)의 발전적 지향점은 영상 이미지의 도상성 속에 내재된 지표적 특성을 활성화시키고, 시어는 이미지와의 연결성을 위해 상징적 특성을 지표적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교육적 전략이다.
여기서 핵심 사항은 사진의 도상성과 시의 상징성을 어떻게 적절히 유지하면서 은유적 긴장미를 지속시켜 나가느냐에 있다. 이점이 VIE 교육에서 이미지 리터러시가 뒷받침되어야 하는 이유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작품을 기호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텍스트와 이미지를 활용한 청소년들의 언어적 창의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이미지 리터러시 측면에서 의미를 전환시키려 한다.
결과적으로 이미지는 일상의 실제 대상물을 담아내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기호학적으로 구체적 내용과 함축된 의미를 가진 표현물이며 문자와 언어가 가지는 차이를 초월해 감성적이고 문학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해준다. VIE 리터러시 교육은 이미지의 상상력과 문학적 텍스트의 건강한 언어적 기능까지 포괄하는 통합적 영상 미디어 교육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태희, "현대미술의 또다른 지평" 시공사 2000
2 김은영, "한국의 영상문학" 문예마당 1998
3 강길호,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한나래 1995
4 롤랑 바르뜨, "이미지와 글쓰기" 세계사 1993
5 루돌프 아른하임, "시각적 사고" 이화여대 출판부 2004
6 김세리, "시각과 이미지" 이담 2001
7 김완하, "시 창작의 이해와 실제" 한남대 출판사 2014
8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 2005
9 주형일, "사진:매체의 윤리학, 기호의 미학" 도서출판 인영 2006
10 이경률, "사진적 행위" 사진마실 2005
1 강태희, "현대미술의 또다른 지평" 시공사 2000
2 김은영, "한국의 영상문학" 문예마당 1998
3 강길호,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한나래 1995
4 롤랑 바르뜨, "이미지와 글쓰기" 세계사 1993
5 루돌프 아른하임, "시각적 사고" 이화여대 출판부 2004
6 김세리, "시각과 이미지" 이담 2001
7 김완하, "시 창작의 이해와 실제" 한남대 출판사 2014
8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 2005
9 주형일, "사진:매체의 윤리학, 기호의 미학" 도서출판 인영 2006
10 이경률, "사진적 행위" 사진마실 2005
11 조윤경, "보는 텍스트 읽는 이미지" 그린비 2012
12 롤랑 바르뜨, "밝은 방" 동문선 2006
13 안혁, "리터러시를 위한 이미지와 내러티브 관계 분석" 언어연구소 (63) : 107-132, 2014
14 주형일, "내가 아는 영상 기호 분석" 도서출판 인영 2007
15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16 이미선, "Visual Literacy 향상을 위한 초등미술과 LTP 활용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영화도시’에서 ‘유네스코 영화창조도시’로: 부산의 여정과 과제
세계-몸을 쓰는 영상-증언으로서의 다큐-매체성:<쓰나미 후에 오는 것들>과 '겨울의 눈빛': 장 뤽 낭시 '영화의 증거'의 관점에서
실험영화 <안더스, 몰루시아>(2001)의 반미적 표상: 무리수적 몽타주와 알레고리의 해체주의적 관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후보1차)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Visual Art Society -> Association of Image & Film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29 | 0.85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