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水平으로 位置한 은단풍(Acer saccharinim L.) 幼植物의 第1節間에 있어서 反應組織의 分化 = Differentiation of Reaction Tissues in the First Internode of Acer saccharinum L. Seedling Positioned Horizontal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251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력자극에 대하여 식물체의 一期生長으로부터 이어지는 二期生長 중에 일어나는 생장 반응과 관련지어 維管束組織의 발생상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은단풍 幼植物의 第 1節間이 수평 위치에서 생장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反應組織의 發生過程을 연구하였다.
      수평 위치에서 생장한 은단풍 幼植物의 第 1節間에서 張力材(??質織維)의 發生過程은 漸進的인 과정으로 나타났다. 수평으로 위치한 第 1節間의 上部에서 장력재의 발생과정은 基部에서 頂端部를 향해 求頂的으로 일어났다. 장력재의 해부학적 특성 중 일부는 一期管束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하여, 二期生長 중에 전형적인 張力材가 나타나게 되므로 전형성층도 유관속형성층과 마찬가지로 중력에 대하여 반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점으로 보아 전형성층은 유관속형성층과 동일 분열조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導管要素의 길이는 上部에서 길게 나타났고, 導管의 측벽무늬에 있어서는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互生으로 차이가 없었다 放射組織의 幅은 二列射組織을 이루는 上部가 單列放射組織을 이루는 하부에 비하여 넓고, 높이도 上部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력자극에 대하여 식물체의 一期生長으로부터 이어지는 二期生長 중에 일어나는 생장 반응과 관련지어 維管束組織의 발생상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은단풍 幼植物의 第 1節...

      본 연구는 중력자극에 대하여 식물체의 一期生長으로부터 이어지는 二期生長 중에 일어나는 생장 반응과 관련지어 維管束組織의 발생상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은단풍 幼植物의 第 1節間이 수평 위치에서 생장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反應組織의 發生過程을 연구하였다.
      수평 위치에서 생장한 은단풍 幼植物의 第 1節間에서 張力材(??質織維)의 發生過程은 漸進的인 과정으로 나타났다. 수평으로 위치한 第 1節間의 上部에서 장력재의 발생과정은 基部에서 頂端部를 향해 求頂的으로 일어났다. 장력재의 해부학적 특성 중 일부는 一期管束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하여, 二期生長 중에 전형적인 張力材가 나타나게 되므로 전형성층도 유관속형성층과 마찬가지로 중력에 대하여 반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점으로 보아 전형성층은 유관속형성층과 동일 분열조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導管要素의 길이는 上部에서 길게 나타났고, 導管의 측벽무늬에 있어서는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互生으로 차이가 없었다 放射組織의 幅은 二列射組織을 이루는 上部가 單列放射組織을 이루는 하부에 비하여 넓고, 높이도 上部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reaction tissu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he developmental anatomy was conducted in the first internode of Acer saccharinum seeding in horizontal posi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ension wood(gelatinous fiber) was gradually developed on the upper side only. And the tension wood formation i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proceeds acropetally from base to apical portion. Some of the anatomical features of tension wood start to be in the primary vascular tissue and a typical tension wood show during the secondary growth. Therefore, the procambium seems to respond to the gravity as well as vascular cambium. For this reason, both procambium and vascular cambium has to regard as the same meristem.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vessels were longer than those of the lower side in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The lateral-wall pitting of vessel elements, however,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upper and lower sides which have alternate type. The width and height of ray on the upper side of horizontal first internode was larger as compared with the lower side.
      번역하기

      In order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reaction tissu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he developmental anatomy was conducted in the first internode of Acer saccharinum seeding in horizontal position. During the transition fr...

      In order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reaction tissu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he developmental anatomy was conducted in the first internode of Acer saccharinum seeding in horizontal posi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ension wood(gelatinous fiber) was gradually developed on the upper side only. And the tension wood formation i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proceeds acropetally from base to apical portion. Some of the anatomical features of tension wood start to be in the primary vascular tissue and a typical tension wood show during the secondary growth. Therefore, the procambium seems to respond to the gravity as well as vascular cambium. For this reason, both procambium and vascular cambium has to regard as the same meristem.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vessels were longer than those of the lower side in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The lateral-wall pitting of vessel elements, however,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upper and lower sides which have alternate type. The width and height of ray on the upper side of horizontal first internode was larger as compared with the lower sid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