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바른생활 교과용도서의 개발 방향 =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바른생활』 Textbooks In The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2007 Reformed N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792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현행 「바른생활」 교과서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2007년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바른생활」 교과서의 개발원칙, 특징과 내용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7년개정...

      이 연구에서는 현행 「바른생활」 교과서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2007년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바른생활」 교과서의 개발원칙, 특징과 내용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7년개정교육과정`에서 바른생활 교과는 현행의 간학문적 접근과 심리사회적 접근과의 `절충형`을 취하고 있다. 즉, 이는 「바른생활」 교과가 통합 교과이기 때문에 학생 생활중심의 심리사회적 접근을 기본으로 해야 하지만, 「바른생활」 교과의 성격과 내용이 「도덕」 교과와 관련이 깊기 때문에 모교과로서 매우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 바른생활 교과용도서 개발 시 주요 특징으로는 세 통합교과 간의 통합과 연계, 공통단원의 설정, 모든 차시에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의 포함, 교수-학습 과정개요(학습문제 인지하기→바른 행동 알아보기→바른 행동 실천해보기→실천동기 부여) 제시, 제재를 단원으로 수정, 단원 교수에 도움이 될 인터넷 사이트(Internet Sites) 소개, 단원의 학습경험 목록 제시 등을 들 수 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바른생활(Right Life)」 in `2007 Reformed National Curriculum` makes a compromise between interdisciplinary and psychological-social approach. 「바른생활」 is regarded as the mother of 「도덕(Moral Education)」 primally, but it is pur...

      「바른생활(Right Life)」 in `2007 Reformed National Curriculum` makes a compromise between interdisciplinary and psychological-social approach. 「바른생활」 is regarded as the mother of 「도덕(Moral Education)」 primally, but it is pursuit to the emphasis of psychological-social approach with because of integrated subject. The main features in developing 「바른생활」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tegration and connection among three integrated subjects, the establishment of hour common units, inclusion of th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elementary, presenting the outline of teaching-learning process(cognition of learning problems→knowing the right behavior→knowing the merits of right behavior→endowing practice motivation), introducing the internet site helped to ones in teaching, and list of quality learning experi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 대한교과서 1999

      2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3 강충열, "초등 학교교육과정 개발의 질 향상을 위한 학습 경험 선정과 조직의 원리"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61-85, 2006

      4 강충열,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12 (12): 5-29, 1998

      5 Blenkin, G. M., "The primary curriculum" Harper & Row, Publishers 1981

      6 Dewey, J., "Learning as problem solving, In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4-31, 1969

      7 Glatthorn, A. A.,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urriculum" Pergamon Press, Inc 160-162, 1991

      8 Katz, L. G.,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 1992

      9 Glatthorn, A. A., "Curriculum Leadership" Sage Publications, Inc 2006

      10 차우규, "2007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용 국정도서 개발(연구진 협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1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 대한교과서 1999

      2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3 강충열, "초등 학교교육과정 개발의 질 향상을 위한 학습 경험 선정과 조직의 원리"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61-85, 2006

      4 강충열,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12 (12): 5-29, 1998

      5 Blenkin, G. M., "The primary curriculum" Harper & Row, Publishers 1981

      6 Dewey, J., "Learning as problem solving, In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4-31, 1969

      7 Glatthorn, A. A.,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urriculum" Pergamon Press, Inc 160-162, 1991

      8 Katz, L. G.,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 1992

      9 Glatthorn, A. A., "Curriculum Leadership" Sage Publications, Inc 2006

      10 차우규, "2007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용 국정도서 개발(연구진 협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11 강충열, "2007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용 국정도서 개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55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