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동반자의 상담사례를 통한 위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질적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11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동반자(YC) 4명이 실시한 상담사례의 초기 3회기를 녹음한 축어록을 바탕으로 질적분석(TAM)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동반자(YC) 4명이 실시한 상담사례의 초기 3회기를 녹음한 축어록을 바탕으로 질적분석(TAM)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위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요인은 개인적, 가족, 또래, 학교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개인적 요인은 충동성, 낮은 자존감, 음주, 흡연, 정신건강(불안, 우울), 가출충동, 학업중단, 성문제, 낮은 학업성취의 9개 영역으로 분류되었고, 가족 요인은 부정적 양육태도, 가정불화, 부부간 갈등, 낮은 경제적 지위의 4개 영역으로 분류되었고, 또래요인에는 일탈적인 또래와의 어울림, 신뢰부족, 시간낭비, 집단따돌림, 학교폭력의 5개 영역으로 분류되었고, 학교요인은 교칙위반, 교사의 무관심/부적절한 태도의 2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상담 및 교육지원체계의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o find psychosocial factors of the youth in crisis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with the early three sessions were recorded among counseling cases that the four Youth Companion conducte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

      This article examined to find psychosocial factors of the youth in crisis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with the early three sessions were recorded among counseling cases that the four Youth Companion conducte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sychosocial factors of the youth in crisis were classified into personal, family, peer group, and school factor. Personal factors are classified with impulsivity, low self-esteem, drinking, smoking, mental health(anxiety, depression), runaway impulsiveness, school drop-out, sexual problem, and low academic achievement(9 categories). Family factors are classified with negative parenting attitude, family discord, marital discord, and low economic level(4 categories). Peer factors are classified with relationship with illegal peer, trust tribe, waste of time, bullying, and school violence(5 categories). School factors are classified with School regulation violation and teacher’s indifferent/inappropriate attitude (2 categories). This study w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many different support systems and counseling for the youth in cri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복, "학업중퇴자 연구-실태와 대책"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1996

      2 고기홍, "학업중단 청소년 문제와 상담적 개입방안" 제주대 학생생활연구소 23 : 117-136, 2003

      3 이자영,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험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법의 활용"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8 (18): 225-241, 2010

      4 김범수,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17 : 1-22, 2008

      5 박영숙, "초기 청소년의 위기측정도구 개발" 12 (12): 425-432, 2003

      6 지승희, "청소년자살 예방프로그램 및 개입방안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7 김형수, "청소년의 위기 중복 유형 탐색: 서울, 인천지역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위기지원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521-536, 2009

      8 구자경,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교자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0 (10): 309-330, 2003

      9 이민수, "청소년의 반복가출과 가출전환 경험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87-119, 2013

      10 유성경, "청소년비행예방 및 개입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1 송복, "학업중퇴자 연구-실태와 대책"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1996

      2 고기홍, "학업중단 청소년 문제와 상담적 개입방안" 제주대 학생생활연구소 23 : 117-136, 2003

      3 이자영,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험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법의 활용"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8 (18): 225-241, 2010

      4 김범수,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17 : 1-22, 2008

      5 박영숙, "초기 청소년의 위기측정도구 개발" 12 (12): 425-432, 2003

      6 지승희, "청소년자살 예방프로그램 및 개입방안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7 김형수, "청소년의 위기 중복 유형 탐색: 서울, 인천지역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위기지원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521-536, 2009

      8 구자경,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교자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0 (10): 309-330, 2003

      9 이민수, "청소년의 반복가출과 가출전환 경험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87-119, 2013

      10 유성경, "청소년비행예방 및 개입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11 이은희,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상담학회 3 (3): 185-202, 2002

      12 유성경, "청소년 탈비행화 조력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전략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1999

      13 이해경, "청소년 자기보고형 문제행동평가척도의 개발: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47-170, 2004

      14 지승희, "청소년 비행예방 및 개업전략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I : 청소년 비행 보호요소 / 위험요소척도 타당화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1

      15 임영식, "청소년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77-93, 2008

      16 여성가족부, "청소년 백서" 여성가족부 2012

      17 오경자, "청소년 동반자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18 권현용, "질적분석을 통한 위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요인" 인문과학연구소 26 : 209-240, 2011

      19 이상희, "중학교 사회과 수준별 심화·보충학습의 시행유형이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0 박연수, "작업동맹 형성과 상담자 언어행동간의 상관연구" 영남대학교 1993

      21 이명숙, "위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환경진단 및 긍정적 발달을 향한 전망" 아시아교정포럼 5 (5): 167-194, 2011

      22 류진아, "위기청소년의 문제상황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0 (10): 59-71, 2007

      23 황유진, "위기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7

      24 윤철경, "위기청소년 지원시설과 지원정책 현황 및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청소년위원회 2005

      25 구본용, "위기(가능)청소년 지원모델 개발연구" 청소년위원회 2005

      26 김동일, "위기 청소년을 위한 통합적 상담지원서비스효과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279-295, 2009

      27 금명자,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299-317, 2008

      28 이배근,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7 (7): 357-379, 1998

      29 정혜원, "아동용 교우관계 문제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0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 백서" 보건복지가족부 2008

      31 홍봉선, "시·도 단위의 위기 청소년종합지원의 현황과 과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8 (8): 117-141, 2006

      32 안귀여루, "성남시청소년 자원간 효과적인 연계방안 연구"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 2009

      33 김은이, "빈곤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1년간 추적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381-396, 2006

      34 이세경,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이 숨은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45-266, 2011

      35 손병덕, "범죄청소년 재범예방 개입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과 함의" 대한범죄학회 4 (4): 3-30, 2010

      36 이정자, "놀이중심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위기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7 (17): 57-68, 2013

      37 교육과학기술부, "교육통계연보"

      38 양혜진, "교내 위기 청소년 대상 역할극의 활용"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16 (16): 17-31, 2013

      39 유상진, "고위험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의 효과" 교과교육연구소 17 (17): 415-439, 2013

      40 정기원,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3 (13): 165-190, 2006

      41 한상철, "가출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행동에 대한 상담학적 개입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13-165, 2003

      42 Erikson, E, H., "The problem of ego identity" 4 : 56-121, 1956

      43 Combs, S. E., "The evaluation of adventure based counseling with at risk youth" Boston College 2001

      44 Williamson, D. E., "Stressful life events and EEG sleep in depressed and normal control adolescents" 37 : 859-865, 1995

      45 Abrams, L. S., "Social context, gender, and youth development: An exploratory study of sociocultural variations among "at-risk" adolescent girls" University of california 2000

      46 Strauss, C. C., "Psychosocial impairment associated with anxiety in children" 16 : 235-239, 1987

      47 Henggeler, S. W., "Multisystemic Treatment of Antisocial Be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Guilford Press 1998

      48 Moody, K. A., "Intervening with at-risk youth: Evaluation of the youth empowerment and support program" 29 (29): 263-270, 2003

      49 Athey, J. L., "HIV Infection homeless adolescent" 70 (70): 517-528, 1991

      50 Hammen, C., "Generation of stress in the course of unipolar affective disorder" 47 : 1112-1117, 1990

      51 Crabtree, B. F., "Doing qualitative research" Sage 1999

      52 Allen, J. P., "Development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adolescent deviance,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8-567, 1996

      53 Gilliard, B. E., "Crisis intervention strategies" Wadsworth 1993

      54 Evans, P., "Community-based approaches and cross-sectoral partnerships for youths at risk in OECD countries, In Building a community-based safety net for youths at risk: Imternational trends of youth policies and the policy tasks in Korea" 10-16, 2005

      55 McWhirter., J. J, "At-Risk Youth: A Comprehensive Response" Thomson 2004

      56 Rueter, M., "Antecedents of parent-adolescentdisagreements" 57 (57): 435-448, 1995

      57 Dryfoos, J. G., "Adolescents at risk: Prevalence and preven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58 Dryfoos, J. G., "Adolescents at risk: A summation of work in the field programs and policies" 12 (12): 630-637, 1991

      59 Arnett, J.J.,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Prentice-Hall, Inc 2000

      60 Fishbein, D. H., "A Regional study of risk factors for drug abuse and delinquency: Sex and racial differences" 9 (9): 461-479, 2000

      61 Anda, D., "A Qualitative evaluation of a mentor program for atrisk youth: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18 (18): 97-117,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 for Humanities ->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86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