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습지에 대한 인식과 이용 = Awareness and exploitation of wet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14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습지에 대한 인식 정도는 습지를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인식은 단순히 한 시 대의 사회·경제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역사, 종교, 문화 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

      습지에 대한 인식 정도는 습지를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인식은 단순히 한 시 대의 사회·경제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역사, 종교, 문화 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습지에 대해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조선시대의 사료들을 분석하였다. 조선시대의 사료들에서 습지를 지칭하는 용어를 찾고 습지를 어떻게 이용하고 관리하였는가를 파악하였다. 약 20여 개의 단어가 습지 또는 습한 환경을 지칭하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경우 습 지는 부정적인 장소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일부 농지로 전환이 가능하여 소출을 얻을 수 있는 곳이나 수경재배에 필요한 물을 댈 수 있는 수리시설로 이용이 가능한 곳은 중요시 여겨 특별히 관리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습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농업생산을 회복하고 증진하는 국가적인 목표를 위해 많은 습 지가 농경지로 개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3.1. 습지(濕地)를 나타내는 용어
      • 3.2. 고지도(古地圖)에 표기된 습지의 모습
      • 3.3. 개간(開墾)으로 인한 습지의 소실
      • 3.4. 습지에 대한 인식
      • 사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덕, "한국어 어원연구3"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28-, 1998

      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4권" 국사편찬위원회 1994

      3 이기철, "한국과 미국의 습지 갈등 비교 연구" 한국습지학회 10 (10): 77-87, 2008

      4 최덕경, "중국고대산림수택의 실태와 파괴 요인" 28 : 121-159, 1995

      5 이경식, "조선초기의 농지개간과 대농경영" 75 : 49-88, 1991

      6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7 양선아, "조선 후기 서해연안 간척의 기술적 과정과 개간의 정치" 4 : 49-74, 2010

      8 염정섭, "조선 초기의 水利 정책과 김제 벽골제" 한국농업사학회 6 (6): 79-105, 2007

      9 최덕경, "전국 진한시대의 산림수택에 대한 보호책" 49 : 155-207, 1995

      10 이상돈, "우리나라 습지 보전 현황과 향후 관리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5 (5): 1-13, 2003

      1 이남덕, "한국어 어원연구3"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28-, 1998

      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4권" 국사편찬위원회 1994

      3 이기철, "한국과 미국의 습지 갈등 비교 연구" 한국습지학회 10 (10): 77-87, 2008

      4 최덕경, "중국고대산림수택의 실태와 파괴 요인" 28 : 121-159, 1995

      5 이경식, "조선초기의 농지개간과 대농경영" 75 : 49-88, 1991

      6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7 양선아, "조선 후기 서해연안 간척의 기술적 과정과 개간의 정치" 4 : 49-74, 2010

      8 염정섭, "조선 초기의 水利 정책과 김제 벽골제" 한국농업사학회 6 (6): 79-105, 2007

      9 최덕경, "전국 진한시대의 산림수택에 대한 보호책" 49 : 155-207, 1995

      10 이상돈, "우리나라 습지 보전 현황과 향후 관리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5 (5): 1-13, 2003

      1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홈페이지"

      12 주기재, "람사르총회 이후의 지속가능 발전 방안" 93 : 11-21, 2008

      13 "동아일보 홈페이지"

      14 김영진, "농사직설 역문" 6 : 91-101, 1983

      15 손명원, "낙동강 하류 연안 자연습지의 자연지리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 9 (9): 66-76, 2003

      16 이평래, "고려후기 수리시설의 확충과 수전 개발. 역사와 현실" 5 : 158-188, 1991

      17 도윤호, "경상남도 내 습지의 공간 분포 및 사회적 특성" 한국하천호수학회 45 (45): 252-260, 2012

      18 노사신, "경국대전" 여강출판사 2001

      19 Dahl, TE, "Wetlands- -Status and trends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mid-1970's to mid-1980'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30-, 1991

      20 Dahl, Thomas E, "Wetlands losses in the United States 1780's to 1980'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13-, 1990

      21 Maltby E, "Wetland management goals, wise use and conservation" 20 (20): 9-18, 1991

      22 Amezaga J, "Wetland connectedness and policy fragmentation: steps towards a sustainable European wetland policy" 25 (25): 635-640, 2000

      23 Kindt R, "Tree diversity analysis, In A manual and software for common statistical methods for ecological and biodiversity studies" World Agroforestry Centre(ICRAF), Nairobi 2005

      24 Davis TJ, "Towards the Wise Use of Wetlands" 1993

      25 Wilen BO, "Status and trends of US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33 : 181-192, 1990

      26 Joo GJ, "Riverine wetlands in the lower NakdongRiver basin in Korea: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Nakdong River Watershed Environment Office, Nakdong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20-58, 2008

      27 R Development Core Team,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28 Convention on Wetlands, "Culture and wetlands a Ramsar guidance document" 10-38, 2008

      29 Amezaga J, "Biotic wetland connectivity-supporting a new approach for wetland policy" 23 (23): 213-222, 2002

      30 Kinkin KK, "Basic Japanese-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1993

      31 이우연, "18·19世紀 山林荒廢化와 農業生産性" 경제사학회 34 : 31-57, 2003

      32 염정섭, "15-16세기 수전농법의 전개" 31 : 73-144,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