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초 · 중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 A Study o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eachers’ Perception on Monitoring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49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order to do this,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ubject of survey was 26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39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nd 5 teacher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due to the empha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ositive changes were seen in science classes, and science core competencies were being developed through the science classes. In addition, the inquiry activities were faithfully conducted in the science classes, and positive responses were given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gration unit. It was generally perceived to be useful for the presentation of ‘Teaching Methods and Notes’ and ‘Assessment Methods and Not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many difficulties doing experimental classes, and there are many request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cienc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related to experimental classes and the various materia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order to do this,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ubject of survey was 265 elementary s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order to do this,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ubject of survey was 26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39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nd 5 teacher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due to the empha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ositive changes were seen in science classes, and science core competencies were being developed through the science classes. In addition, the inquiry activities were faithfully conducted in the science classes, and positive responses were given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gration unit. It was generally perceived to be useful for the presentation of ‘Teaching Methods and Notes’ and ‘Assessment Methods and Not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many difficulties doing experimental classes, and there are many request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cienc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related to experimental classes and the various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육과정 실행 실태와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265명, 중학교 과학 교사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강조 사항으로 인해 과학 수업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과학 수업을 통해 과학 교과 역량이 길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과 탐구 활동이 적절하고, 과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을 충실하게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신설된 통합 단원 구성의 적절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단원마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제시한 것이 과학과 교육과정 이해, 과학 수업 및 평가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초․중학교 교사들은 실험 수업과 관련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고, 교수․학습과 관련된 자료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 실험 수업과 관련된 지원을 하고,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육과정 실행 실태와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265명, 중학교 ...

      이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육과정 실행 실태와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265명, 중학교 과학 교사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강조 사항으로 인해 과학 수업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과학 수업을 통해 과학 교과 역량이 길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과 탐구 활동이 적절하고, 과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을 충실하게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신설된 통합 단원 구성의 적절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단원마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제시한 것이 과학과 교육과정 이해, 과학 수업 및 평가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초․중학교 교사들은 실험 수업과 관련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고, 교수․학습과 관련된 자료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 실험 수업과 관련된 지원을 하고,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 Kim, "Searching Reform Directions to Revise the Subject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ICE 2010

      2 E. Park, "How to apply 2015 National Curriculum to School Subjects: Focusing on the General Highschool" KICE 2017

      3 Y. Min, "Application and Quality-Management Plan for Subject Curriculums of Elementary and Middle-school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KICE 2012

      4 J. Kwon, "Application Plans of Subject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school" KICE 2016

      5 J. Sim,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of Implementation of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School Education Competency" KICE 2009

      6 E. Jeong, "A Study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Science" KICE 2004

      7 K. Sung, "A Study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Differentiated Curriculum Subjects" KICE 2003

      8 J. Pae, "A Study on Monitoring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ubject Curriculum (Ⅱ): Monitoring and Its Results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ICE 2019

      9 H. Kim, "A Study on Monitoring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ubject Curriculum (I): Monitoring System Design" KICE 2018

      10 M. Lee, "A Study of Effective Application Plans for the General High-school Subject Curriculum an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KICE 2013

      1 K. Kim, "Searching Reform Directions to Revise the Subject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ICE 2010

      2 E. Park, "How to apply 2015 National Curriculum to School Subjects: Focusing on the General Highschool" KICE 2017

      3 Y. Min, "Application and Quality-Management Plan for Subject Curriculums of Elementary and Middle-school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KICE 2012

      4 J. Kwon, "Application Plans of Subject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school" KICE 2016

      5 J. Sim,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of Implementation of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School Education Competency" KICE 2009

      6 E. Jeong, "A Study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Science" KICE 2004

      7 K. Sung, "A Study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Differentiated Curriculum Subjects" KICE 2003

      8 J. Pae, "A Study on Monitoring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ubject Curriculum (Ⅱ): Monitoring and Its Results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ICE 2019

      9 H. Kim, "A Study on Monitoring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ubject Curriculum (I): Monitoring System Design" KICE 2018

      10 M. Lee, "A Study of Effective Application Plans for the General High-school Subject Curriculum an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KICE 2013

      11 김현경,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103-112, 2017

      12 이현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의 현장 적용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교육과학연구소 22 (22): 1-23, 2020

      13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14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