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양환, "효과적인 수업 관찰" 아카데미프레스 2005
2 노은희, "화법수업능력 개선을 위한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203-228, 2007
3 이혁규, "한국의 수업 문화와 수업 비평의 필요성"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6
4 김정효, "초등교육이란 무엇인가 -현상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5
5 박태호, "초등 학교 과정중심의 쓰기 수업 평가- 단일 교사의 단일 수업 동영상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143-170, 2007
6 김병수, "참여 관찰을 통한 국어수업의 문화적 해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7 김정원, "질적 수업평가의 시도"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65-84, 2002
8 이재승, "좋은 국어수업 어떻게 할 것인가?" 교학사 2005
9 서현석, "인격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국어수업" 청람어문교육연구학회 33 : 1-27, 2005b
10 이수진, "쓰기 수업 현상의 이해" 박이정 2007
1 설양환, "효과적인 수업 관찰" 아카데미프레스 2005
2 노은희, "화법수업능력 개선을 위한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203-228, 2007
3 이혁규, "한국의 수업 문화와 수업 비평의 필요성"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6
4 김정효, "초등교육이란 무엇인가 -현상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5
5 박태호, "초등 학교 과정중심의 쓰기 수업 평가- 단일 교사의 단일 수업 동영상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143-170, 2007
6 김병수, "참여 관찰을 통한 국어수업의 문화적 해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7 김정원, "질적 수업평가의 시도"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65-84, 2002
8 이재승, "좋은 국어수업 어떻게 할 것인가?" 교학사 2005
9 서현석, "인격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국어수업" 청람어문교육연구학회 33 : 1-27, 2005b
10 이수진, "쓰기 수업 현상의 이해" 박이정 2007
11 임찬빈, "수업평가기준 개발연구(Ⅲ)"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2 임찬빈, "수업평가기준 개발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3 임찬빈, "수업평가기준 개발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4 노은희, "수업평가 매뉴얼 국어과 수업평가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2006
15 주삼환, "수업관찰과 분석" 원미사 1998
16 서현석, "말하기·듣기 수업 과정 연구" 박이정 2005a
17 강현석,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교육과정연구학회 24 (24): 153-180, 2006
18 신헌재, "국어수업 관찰과 비평의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7 : 5-20, 2005
19 이주섭, "국어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20 홍성희, "국민학교 교실수업과정의 문화기술적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4
21 NPEAT, "NCTE/NCATE Research Project on the Assessment of the preparation of Teachers English language Arts. (NPEAT project 1, 4, 5)"
22 Flinders, D.J., "Educational criticism as a form of qualitative inquiry" 28 (28): 341-357, 1994
23 NBPTS, "Early Adolescence/ English Language Arts Standards(for teacher of students ages 11-15) second edition"
24 Schram, T., "Conceptualizing qualitative inquiry:Mindwork for fieldwork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Merrill Prentice Hall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