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전ㆍ후에 따른 어린이집 기타교직원 이미지 인식 연구: 어린이집 조리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war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bout the Images of Other Childcare Center Staff Members before and after Childcare Practicum: with Priority given to Childcare Center C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67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 전ㆍ후에 따른 어린이집 조리사 이미지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M대학에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 전ㆍ후에 따른 어린이집 조리사 이미지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M대학에 재학 중인 24명의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림 그리기, 그림에 대한 설명 및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 이전의 예비보육교사들은 어린이집 조리사에 대하여 ‘요리하는 엄마’와 ‘영양 관리 전문가’ 이미지로, 보육실습 이후의 예비보육교사들은 ‘제 3의 보육교사’와 ‘실습생들을 위한 쉼터’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보육실습 이전의 예비보육교사들은 여러 전공 교과목 수업에서 습득한 보육교직원들 각각의 직무에 대한 기초적 이해에 근거한 조리사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면, 보육실습 이후에는 조리사와의 직접적인 경험에 따라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보다 입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조리사를 중심으로 한 보육실습 전ㆍ후에 따른 기타교직원 이미지 탐색은,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있어 어린이집 내에서 다양한 직무를 맡은 타 교직원들의 역할에 대한 재개념화가 이루어지도록 돕고, 어린이집 내 조직문화와 인적환경 관련 이해를 심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리라 본다. 이러한 이해는 예비보육교사들이 향후 전반적인 어린이집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형성하는 데에도 기여할 뿐 아니라, 이들이 어린이집의 일원으로서 자리매김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n the images of childcare center cooks before and after their experience of childcare practicum, and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their awareness. M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n the images of childcare center cooks before and after their experience of childcare practicum, and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their awareness. Method: Data were gathered from 24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in a college by asking them to draw pictures and explain their pictures and by having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m,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regarded cooking mothers and nutrition management expert as the images of daycare center cooks before they engaged in childcare practicum, and they looked upon third childcare teachers and shelters for student teachers as their images after that. In other words,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built the images of cooks before experiencing childcare practicum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duties of childcare center staff members that they had in various major classes. After that, they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uties of cooks as they had direct experience of contacting cooks, and their images of them became more three- dimensional. Discussion and Conclusion: Exploring the images of other childcare center staff members, especially cooks, before and after childcare practicum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reconceptualization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n the roles of other staff members in charge of different duties, and to help enrich their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uman environments in daycare centers. This kind of profound understanding will not only make a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overall childcare center image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but als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ttlement as members of childcare cent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기완, "호텔 조리사의 직업전문성,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24 (24): 197-209, 2018

      2 오서경, "풀 서비스 레스토랑 종사자의 체면민감성이 직무열의,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61-81, 2014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4 Glesne, C., "질적 연구자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17

      5 송경섭,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6 남기원, "은유와 이미지를 통해 본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7) : 149-180, 2018

      7 전윤숙,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이미지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45-359, 2013

      8 좌승화, "유아교육과 신입생이 인식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이미지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59-179, 2013

      9 고영지, "유아교사의 교직부합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교사의 조직몰입 및 역할수행"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10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09

      1 권기완, "호텔 조리사의 직업전문성,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24 (24): 197-209, 2018

      2 오서경, "풀 서비스 레스토랑 종사자의 체면민감성이 직무열의,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61-81, 2014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4 Glesne, C., "질적 연구자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17

      5 송경섭,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6 남기원, "은유와 이미지를 통해 본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7) : 149-180, 2018

      7 전윤숙,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이미지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45-359, 2013

      8 좌승화, "유아교육과 신입생이 인식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이미지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59-179, 2013

      9 고영지, "유아교사의 교직부합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교사의 조직몰입 및 역할수행"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10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09

      11 염지숙, "유아교사론" 정민사 2011

      12 김진아, "위생순회방문지도를 통한 어린이 급식소 조리원 대상 위생 지식의 변화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20 (20): 36-49, 2014

      13 김진실, "용인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어린이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만족도 평가" 2015 (2015): 225-225, 2015

      14 최애경,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에 따른 교사이미지 변화"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291-302, 2007

      15 박은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225-246, 2007

      16 김나림,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이미지와 갈등의 변화 분석" 한국보육학회 13 (13): 277-304, 2013

      1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별표 8"

      18 강은진,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근무 실태 및 만족도" 육아정책연구소 12 (12): 3-27, 2018

      19 이효진,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영양 및 위생교육 지식과 교육효과 현황"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0 정혜규, "어린이집 급식소 조리사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위생관리수준" 27 : 37-49, 2015

      21 김미현,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와 보육시설의 유아 당류 섭취 줄이기 영양교육 실태 및 요구도"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539-551, 2017

      22 천정민,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위생순회방문지도에 따른 어린이 집단급식소의 위생개선효과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7

      23 신세니, "신입생 예비보육교사들이 인식한 보육교사와 원장의 이미지" 교육발전연구소 26 (26): 109-131, 2016

      24 김소양, "보육학개론" 지식공동체 2018

      25 문수영, "보육학개론" 어가 2018

      26 이서영, "보육실습을 통한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아동, 부모에 대한 이미지 변화 및 진로선택" 한국가정관리학회 35 (35): 53-66, 2017

      27 김정원, "보육실습 전․후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 교사-자화상 그리기와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1-19, 2012

      28 하지영,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보육교사직에 대한인식 변화" 한국보육학회 16 (16): 01-26, 2016

      29 김정희, "보육교직원의 지지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99-219, 2015

      30 서영숙, "보육교직원"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5-28, 2014

      31 이부미, "보육교사 되어 가기: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95-135, 2013

      32 조인숙, "보육 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3 박기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과 이미지" 4 : 53-68, 1996

      34 장정윤, "그림그리기를 통해 살펴본 예비유아교사들의 어릴 적 재미있었던 놀이경험에 대한 이미지"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51-78, 2018

      35 문상화, "그리기 방법을 이용한 예비과학 교사의 자기 이미지 분석 : 교육실습 전·후 비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6 백지희, "경험표집법을 이용한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의 주된 활동 및 직무와 정서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01-222, 2016

      37 박미경, "경상남도 지역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여부에 따른 어린이 급식소의 영양ㆍ위생ㆍ급식관리 비교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7

      38 신세니, "‘숲교사’라는 호칭을 통해 본 P 어린이집 보조교사가 겪는 경험의 의미"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79-109, 2015

      39 Butler, R. W., "The influence of the media in shaping international tourism patterns" 15 (15): 46-53, 1990

      40 Connelly, M.,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2000

      41 Kotler, P.,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Prentice-Hall 1991

      42 Einardottir, J., "Making meaning : Children's perspectives expressed through drawings" 179 (179): 217-232, 2009

      43 Maxson, M., "Image revisited : Pre-service teachers’ idea about teaching" 25 (25): 5-25, 1998

      44 보건복지부, "2017 행복한 보육을 위한 발걸음 부모모니터링"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Pusa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