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王力, "중국시율학 1" 소명출판 2007
2 김만원, "정본완역 두보전집 제7권 두보2차성도시기시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3 김만원, "정본완역 두보전집 제5권 두보성도시기시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4 이영주, "두시의 장법과 격률" 명문당 2019
5 한성무, "두보평전" 호미 2007
6 강민호, "두보 오칠언절구" 문학과지성사 2018
7 이영주, "두보 연작시의 장법 연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아문화연구소 49 : 2011
8 임도현, "두보 시의 제목과 시상 전개 방식" 중국어문학회 (53) : 115-142, 2015
9 冀勤, "金元明人論杜甫" 商務印書館 2014
10 浦起龍, "讀杜心解" 中華書局 2010
1 王力, "중국시율학 1" 소명출판 2007
2 김만원, "정본완역 두보전집 제7권 두보2차성도시기시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3 김만원, "정본완역 두보전집 제5권 두보성도시기시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4 이영주, "두시의 장법과 격률" 명문당 2019
5 한성무, "두보평전" 호미 2007
6 강민호, "두보 오칠언절구" 문학과지성사 2018
7 이영주, "두보 연작시의 장법 연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아문화연구소 49 : 2011
8 임도현, "두보 시의 제목과 시상 전개 방식" 중국어문학회 (53) : 115-142, 2015
9 冀勤, "金元明人論杜甫" 商務印書館 2014
10 浦起龍, "讀杜心解" 中華書局 2010
11 胡永杰, "論蜀中生活對杜甫絶句創作的影響" 4 : 2012
12 朱光潛, "詩論" 江蘇文藝出版社 2008
13 郁沅, "絶句的發展流變與藝術特色" (10) : 1992
14 丁成泉, "略論杜甫對絶句的改造" (4) : 1990
15 歐陽敏, "漫議杜甫的絶句" 13 (13): 2000
16 王樂爲, "淺談杜甫對七言絶句題材的開拓和風格的新變" 26 (26): 2005
17 杜甫, "杜詩趙次公先後解輯校" 上海古籍出版社 2012
18 杜甫, "杜詩詳注" 中華書局 1999
19 崔南圭, "杜詩的音樂世界" 遼海出版社 2001
20 王嗣奭, "杜臆" 上海古籍出版社 1983
21 정호준, "杜甫의 成都時期 詠物詩 考" 중국연구소 76 : 135-162, 2018
22 金啓華, "杜甫詩論叢" 上海古籍出版社 1985
23 葉木堂, "杜甫解悶絶句-杜甫自述創作經驗的一首詩" (1) : 1998
24 葛景春, "杜甫與地域文化"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6
25 魏耕原, "杜甫絶句變革的得失及意義" (2) : 2015
26 黃震雲, "杜甫絶句的詩學藝術" (2) : 2005
27 김의정, "杜甫夔州時期詩小考" 중국어문학회 3 : 1996
28 蕭滌非, "杜甫全集校注" 人民文學出版社 2013
29 이영주, "杜甫五言絶句硏究" 한국중국어문학회 26 : 1996
30 莊文龍, "杜甫七絶別體在淸代的確立, 傾賞與呼應" (1) : 2023
31 김준연, "杜甫 秦州·同谷 時期 詩에 나타난 공간의 이중성" 중국어문학회 (51) : 49-85, 2015
32 朱鶴齡, "杜工部詩集輯注" 河北大學出版社 2009
33 劉靑海, "對杜甫變體七絶的再認識-兼論與初唐七絶之關係" (4) : 2011
34 沈德潛, "唐詩別裁集" 上海古籍出版社 2013
35 莫礪鋒, "唐宋詩歌論集" 鳳凰出版社 2007
36 이종진, "唐七絶의 審美특성과 그 演變" 한국중국어문학회 30 : 1998
37 華文軒, "古典文學硏究資料彙編杜甫卷" 中華書局 2001
38 김수연, "<취유부벽정기>의 ‘경계성’에 대하여"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217-25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