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자의 사상채 비판은 정당한가? — 지각설을 넘어 내재적 맥락에서 상채 읽기 = Is Zhuxi’s Criticism of Xieshangcai’s Philosophy Right?:Reading the Embodied Sensory of Xieshangcai beyond Theory of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58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philosophy of Xieshangcai(謝上蔡), one of the important disciples of the Cheng brothers(二程兄弟). Previous research generally accepts Zhu Xi’s criticisms of Xieshangcai’s philosophy. In other words, critics evaluate Xieshangcai’s philosophy as heavily influenced by Zen Buddhism(禪佛敎) and mistakenly consider sensory perception as benevolence(仁). However, by referring to Shangcai’s quotations(上蔡語錄) or exploring his understanding of the Analects, there is room for reconsidering the existing criticisms. Neo-Confucian scholars Liyanping(李延平) and Huangzongxi(黃宗羲) have presented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Xieshangcai, different from Zhu Xi’s perspective. Liyanping affirmed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eachings of Yanggusan and Xieshangcai’s philosophy, while Huangzongxi directly challenged Zhu Xi’s viewpoint. Moreover, Shangcai’s cultivation theory emphasizes the internalization of virtue through the gradual process of “self-control and the “restoration of ritual(克己復禮)”, highlighting the concept of “embodied sensibility” rather than solely focusing on the sensitivity and immediacy of perception. Additionally, Xieshangcai’s explanation of perception through the virtue of Confucius(孔子) goes beyond sensory perception and encompasses moral sensibility, empathy, and sincerity.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his cultivation theory, which takes into account both “inspecting carefully(察識)” and “developing personality(涵養)”, or “the recognition of benevolence(識仁)” and its internalization, it is necessary to refrain from narrowly defining his philosophy as solely the theory of “prior inspecting carefully and developing personality(先察識後涵養)”.
      번역하기

      This paper discusses the philosophy of Xieshangcai(謝上蔡), one of the important disciples of the Cheng brothers(二程兄弟). Previous research generally accepts Zhu Xi’s criticisms of Xieshangcai’s philosophy. In other words, critics evaluat...

      This paper discusses the philosophy of Xieshangcai(謝上蔡), one of the important disciples of the Cheng brothers(二程兄弟). Previous research generally accepts Zhu Xi’s criticisms of Xieshangcai’s philosophy. In other words, critics evaluate Xieshangcai’s philosophy as heavily influenced by Zen Buddhism(禪佛敎) and mistakenly consider sensory perception as benevolence(仁). However, by referring to Shangcai’s quotations(上蔡語錄) or exploring his understanding of the Analects, there is room for reconsidering the existing criticisms. Neo-Confucian scholars Liyanping(李延平) and Huangzongxi(黃宗羲) have presented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Xieshangcai, different from Zhu Xi’s perspective. Liyanping affirmed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eachings of Yanggusan and Xieshangcai’s philosophy, while Huangzongxi directly challenged Zhu Xi’s viewpoint. Moreover, Shangcai’s cultivation theory emphasizes the internalization of virtue through the gradual process of “self-control and the “restoration of ritual(克己復禮)”, highlighting the concept of “embodied sensibility” rather than solely focusing on the sensitivity and immediacy of perception. Additionally, Xieshangcai’s explanation of perception through the virtue of Confucius(孔子) goes beyond sensory perception and encompasses moral sensibility, empathy, and sincerity.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his cultivation theory, which takes into account both “inspecting carefully(察識)” and “developing personality(涵養)”, or “the recognition of benevolence(識仁)” and its internalization, it is necessary to refrain from narrowly defining his philosophy as solely the theory of “prior inspecting carefully and developing personality(先察識後涵養)”.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이정(二程) 형제 문하의 중요 제자 가운데 한 명인 사상채(謝上蔡)의 철학을 논의한다. 기존의 여러 연구는 주자의 상채 비판을 기본적으로 수용한다. 다시 말해 상채의 철학이 선불교적 경향을 농후하게 띠고 있으며, 그가 감각적 지각을 인(仁)으로 간주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상채어록󰡕이나 그의 󰡔논어󰡕 이해에 착안할 때, 기존의 평가를 다시금 반성해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먼저 역사적으로 이연평(李延平)이나 황종희(黃宗羲)는 주자와는 다른 상채 이해의 가능성을 제공해 주었다. 이연평은 양구산과 사상채 철학의 회통 가능성을 긍정했으며, 황종희는 보다 직접적으로 주자의 관점에 반론을 제기했다. 한편, 상채의 공부론은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점진적 과정을 통한 ‘덕성의 내면화’를 강조하며, 그런 점에서 그가 말하는 지각 또한 단순히 지각의 민감성과 즉발성에 중점이 놓여 있기보다는 ‘체화된 감성’으로서의 지각을 강조하는 측면이 크다. 한편, 상채가 공자(孔子)의 덕성을 통해 설명한 지각 또한 감각적 지각을 넘어서 도덕적 감수성과 공감 능력, 진정성을 가리킨 것이다. 그의 공부론의 구조는 찰식과 함양, 또는 식인(識仁)과 그것의 내면화를 모두 고려하여 건립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의 철학을 단순히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 이론으로 협소하게 규정하는 것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이정(二程) 형제 문하의 중요 제자 가운데 한 명인 사상채(謝上蔡)의 철학을 논의한다. 기존의 여러 연구는 주자의 상채 비판을 기본적으로 수용한다. 다시 말해 상채의 철학...

      본 논문에서는 이정(二程) 형제 문하의 중요 제자 가운데 한 명인 사상채(謝上蔡)의 철학을 논의한다. 기존의 여러 연구는 주자의 상채 비판을 기본적으로 수용한다. 다시 말해 상채의 철학이 선불교적 경향을 농후하게 띠고 있으며, 그가 감각적 지각을 인(仁)으로 간주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상채어록󰡕이나 그의 󰡔논어󰡕 이해에 착안할 때, 기존의 평가를 다시금 반성해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먼저 역사적으로 이연평(李延平)이나 황종희(黃宗羲)는 주자와는 다른 상채 이해의 가능성을 제공해 주었다. 이연평은 양구산과 사상채 철학의 회통 가능성을 긍정했으며, 황종희는 보다 직접적으로 주자의 관점에 반론을 제기했다. 한편, 상채의 공부론은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점진적 과정을 통한 ‘덕성의 내면화’를 강조하며, 그런 점에서 그가 말하는 지각 또한 단순히 지각의 민감성과 즉발성에 중점이 놓여 있기보다는 ‘체화된 감성’으로서의 지각을 강조하는 측면이 크다. 한편, 상채가 공자(孔子)의 덕성을 통해 설명한 지각 또한 감각적 지각을 넘어서 도덕적 감수성과 공감 능력, 진정성을 가리킨 것이다. 그의 공부론의 구조는 찰식과 함양, 또는 식인(識仁)과 그것의 내면화를 모두 고려하여 건립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의 철학을 단순히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 이론으로 협소하게 규정하는 것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환, "찰식(察識)에서 함양(涵養)으로-호상학의 이발찰식 수행법에 대한 주자(朱子)의 비판-" 철학연구소 (37) : 37-77, 2009

      2 김우형, "주희철학의 인식론" 심산 2005

      3 정상봉, "주희의 仁論" 40 : 1999

      4 이규성, "주희와 이연평 : 사유의 전환과 구조" 퇴계학연구원 (124) : 225-266, 2008

      5 束景南, "주자평전(상)" 역사비평사 2016

      6 박상수, "주자, 스승 이통과 학문을 논하다: 延平答問" 수류화개 2019

      7 주광호, "정문(程門) 『중용』 주석의 내면화 경향에 대한 주자의 비판" 유학연구소 58 : 251-277, 2022

      8 牟宗三, "심체와 성체(6)" 소명출판 2012

      9 성광동, "스승 이통과의 만남과 대화 : 延平答問" 이학사 2006

      10 陳來,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1997

      1 이승환, "찰식(察識)에서 함양(涵養)으로-호상학의 이발찰식 수행법에 대한 주자(朱子)의 비판-" 철학연구소 (37) : 37-77, 2009

      2 김우형, "주희철학의 인식론" 심산 2005

      3 정상봉, "주희의 仁論" 40 : 1999

      4 이규성, "주희와 이연평 : 사유의 전환과 구조" 퇴계학연구원 (124) : 225-266, 2008

      5 束景南, "주자평전(상)" 역사비평사 2016

      6 박상수, "주자, 스승 이통과 학문을 논하다: 延平答問" 수류화개 2019

      7 주광호, "정문(程門) 『중용』 주석의 내면화 경향에 대한 주자의 비판" 유학연구소 58 : 251-277, 2022

      8 牟宗三, "심체와 성체(6)" 소명출판 2012

      9 성광동, "스승 이통과의 만남과 대화 : 延平答問" 이학사 2006

      10 陳來,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1997

      11 이현선, "사량좌의 심성론 연구 – 선불교와 관계와 ‘지각’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52) : 3-26, 2014

      12 游薏雙, "謝良佐『論語說』思想硏究" 臺灣師範大學 2009

      13 胡宏, "胡宏集" 中華書局 2012

      14 이정환, "程學 전통에서의 格物·致知·窮理 ‒ 二程 4대 初傳弟子들의 해석과 주자 재해석의 의의 ‒" 동양학연구원 (60) : 177-193, 2015

      15 楊時, "楊時集" 中華書局 2017

      16 束景南, "朱熹年譜長編"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1

      17 朱熹, "朱子語類" 中華書局 2011

      18 朱熹, "朱子文集" 德福文敎基金會 2000

      19 謝良佐, "朱子全書外編"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10

      20 朱熹, "朱子全書" 上海古籍出版社 2002

      21 陳來, "早期道學話語的形成與演變" 安徽敎育出版社 2007

      22 張栻, "張栻集" 岳麓書社 2009

      23 黃宗羲, "宋元學案" 中華書局 2007

      24 顧宏義, "宋代四書文獻論考" 上海古籍出版社 2014

      25 李明輝, "四端與七情" 臺灣大學出版中心 2005

      26 "四書集註"

      27 "四庫全書總目提要"

      28 程顥, "二程集" 中華書局 2004

      29 楊周靖, "上蔡先生語錄譯注" 中州古籍出版社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