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어 증거성 표지 ‘起來’와 ‘着’에 관한 試論 = Study on the Evidential Markers ‘Qilai’ and ‘Zh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5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evidential markers ‘起来' and ‘着'. While ‘起来' and ‘着' have mainly been explored from an aspectual perspective, various research outcome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ddle construction'. However,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middle construction' in Chinese is gradually expanding without considering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relying on simple comparisons with English or similarities in meaning and syntax with other languages.
      This article suggests that ‘middle voice' and ‘middle construction' can be identified in languages with a clear morphological ‘active-passive' distinction. All varieties present within the so-called ‘middle construction' in Chinese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ubject structures’, a form that has been in use since ancient times and continues to be prevalent to this day. Moreover, following Wu Huaicheng's perspective(2020), it distinguishes ‘patient-subject constructions' into ‘eventive’ and ‘non-eventive’ ones, emphasizing that non-eventive patient-subject constructions are adjectival predicates, and the speaker's judgment originates from these predicates.
      This article follows the definition of evidentiality as a semantic category that primarily serves as a grammatical function in aspect, tense, modality, etc. (Park Jinho, 2011). It confirms that ‘起来' and ‘着' are primarily used as evidential markers indicating the ‘source of information' when mainly used with perception verbs like ‘看' (see) and ‘聽' (hear), representing ‘direct knowledge'. However, ‘起来' and ‘着' cannot be considered equivalent evidential markers because ‘起来' exhibits a polysemous phenomenon of evidentiality(direct and indirect knowledge), whereas ‘着' can only represent direct knowledge. This article analyzes why ‘起来' can also convey indirect knowledge, originating from the generic reference noun phrase of the subject. Additionally, it illuminated the subjectivity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rker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positioning at the beginning of a sentence possibilities and contrasts of ‘起来' and ‘着'[着<起来].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evidential markers ‘起来' and ‘着'. While ‘起来' and ‘着' have mainly been explored from an aspectual perspective, various research outcome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ddle...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evidential markers ‘起来' and ‘着'. While ‘起来' and ‘着' have mainly been explored from an aspectual perspective, various research outcome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ddle construction'. However,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middle construction' in Chinese is gradually expanding without considering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relying on simple comparisons with English or similarities in meaning and syntax with other languages.
      This article suggests that ‘middle voice' and ‘middle construction' can be identified in languages with a clear morphological ‘active-passive' distinction. All varieties present within the so-called ‘middle construction' in Chinese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ubject structures’, a form that has been in use since ancient times and continues to be prevalent to this day. Moreover, following Wu Huaicheng's perspective(2020), it distinguishes ‘patient-subject constructions' into ‘eventive’ and ‘non-eventive’ ones, emphasizing that non-eventive patient-subject constructions are adjectival predicates, and the speaker's judgment originates from these predicates.
      This article follows the definition of evidentiality as a semantic category that primarily serves as a grammatical function in aspect, tense, modality, etc. (Park Jinho, 2011). It confirms that ‘起来' and ‘着' are primarily used as evidential markers indicating the ‘source of information' when mainly used with perception verbs like ‘看' (see) and ‘聽' (hear), representing ‘direct knowledge'. However, ‘起来' and ‘着' cannot be considered equivalent evidential markers because ‘起来' exhibits a polysemous phenomenon of evidentiality(direct and indirect knowledge), whereas ‘着' can only represent direct knowledge. This article analyzes why ‘起来' can also convey indirect knowledge, originating from the generic reference noun phrase of the subject. Additionally, it illuminated the subjectivity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rker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positioning at the beginning of a sentence possibilities and contrasts of ‘起来' and ‘着'[着<起来].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증거성 표지 ‘起来’와 ‘着’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起来’와 ‘着’는 주로 상(aspect)적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중간문(middle construction)’의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 성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어의 유형론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영어와의 단순 대조 또는 기타 언어와의 의미나 통사적 유사성을 근거로 중국어의 ‘소위 중간문’의 외연이 점차 확장되는 실정이다. 본고는 ‘중간태’와 ‘중간문’에 관한 범언어적인 고찰을 통해, 형태론적 ‘능동-수동’의 대립이 명확한 언어에서 ‘중간태’와 ‘중간문’을 상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중국어의 ‘소위 중간문’에 속하는 모든 유형은 ‘대상자 주어문’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 보편적으로 쓰이는 형식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吴懷成(2020)의 관점에 따라 대상자 주어문을 사건성과 비사건성으로 양분하고, 비사건성 대상자 주어문은 형용사술어이며, 화자의 판단은 이 술어에서 비롯됨을 강조하였다. 본고는 증거성이란, 相, 시제, 양태 등을 주된 문법 기능으로 하면서 부차적으로 가질 수 있는 의미 범주임을 따랐으며(박진호 2011), ‘起来’와 ‘着’는 주로 지각류(看, 聽 등)와 함께 쓰여 ‘정보의 출처’를 나타내는 ‘직접지식’의 증거성 표지로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起来’와 ‘着’는 동등한 지위의 증거성 표지로 볼 수는 없었는데, 그 이유는 ‘起来’는 증거성의 중의적 현상(직접지식과 간접지식)이 발생하는 반면, ‘着’는 직접지식만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起来’가 간접지식도 나타내는 이유를 주어의 총칭 지시 명사구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 밖에도, ‘起来’와 ‘着’의 문두 이동과 대조를 통해 두 표지의 주관성 차이를 밝혔다[着<起来].
      번역하기

      본고는 증거성 표지 ‘起来’와 ‘着’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起来’와 ‘着’는 주로 상(aspect)적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중간문(middle construction)’의 관점에서 다양...

      본고는 증거성 표지 ‘起来’와 ‘着’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起来’와 ‘着’는 주로 상(aspect)적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중간문(middle construction)’의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 성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어의 유형론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영어와의 단순 대조 또는 기타 언어와의 의미나 통사적 유사성을 근거로 중국어의 ‘소위 중간문’의 외연이 점차 확장되는 실정이다. 본고는 ‘중간태’와 ‘중간문’에 관한 범언어적인 고찰을 통해, 형태론적 ‘능동-수동’의 대립이 명확한 언어에서 ‘중간태’와 ‘중간문’을 상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중국어의 ‘소위 중간문’에 속하는 모든 유형은 ‘대상자 주어문’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 보편적으로 쓰이는 형식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吴懷成(2020)의 관점에 따라 대상자 주어문을 사건성과 비사건성으로 양분하고, 비사건성 대상자 주어문은 형용사술어이며, 화자의 판단은 이 술어에서 비롯됨을 강조하였다. 본고는 증거성이란, 相, 시제, 양태 등을 주된 문법 기능으로 하면서 부차적으로 가질 수 있는 의미 범주임을 따랐으며(박진호 2011), ‘起来’와 ‘着’는 주로 지각류(看, 聽 등)와 함께 쓰여 ‘정보의 출처’를 나타내는 ‘직접지식’의 증거성 표지로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起来’와 ‘着’는 동등한 지위의 증거성 표지로 볼 수는 없었는데, 그 이유는 ‘起来’는 증거성의 중의적 현상(직접지식과 간접지식)이 발생하는 반면, ‘着’는 직접지식만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起来’가 간접지식도 나타내는 이유를 주어의 총칭 지시 명사구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 밖에도, ‘起来’와 ‘着’의 문두 이동과 대조를 통해 두 표지의 주관성 차이를 밝혔다[着<起来].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菜淑美, "類型學視野下的中動範疇和漢語中動句式群" (2) : 2015

      2 菜淑美, "論構式用變和構式演變" (2) : 2022

      3 曹宏, "論中動句的語義表達特點" (3) : 2005

      4 최규발, "현대중국어 상 표지로의 문법화 조건 - 존재동사와 이동동사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소 (31) : 67-86, 2011

      5 김인순, "현대중국어 비대격구문과 피동구문의 목적어 출현현상에 대한 소고 ― “王冕死了父親”과 “張三被殺了父親”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소 (27) : 137-159, 2010

      6 최규발, "현대중국어 결과보어의 결과성, 타동성과 사동성" 중국어문학연구회 (109) : 35-62, 2018

      7 김재민, "한국어의 Non-Active Voice와 중간태 설정" 9 : 2013

      8 정해권, "한국어 태 범주의 연속체" 언어과학회 (67) : 267-278, 2013

      9 김진웅, "한국어 증거성의 체계: 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9 : 101-124, 2012

      10 김영일, "한국어 문법론에서 중동태의 설정을 위하여" 한말연구학회 (55) : 35-78, 2020

      1 菜淑美, "類型學視野下的中動範疇和漢語中動句式群" (2) : 2015

      2 菜淑美, "論構式用變和構式演變" (2) : 2022

      3 曹宏, "論中動句的語義表達特點" (3) : 2005

      4 최규발, "현대중국어 상 표지로의 문법화 조건 - 존재동사와 이동동사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소 (31) : 67-86, 2011

      5 김인순, "현대중국어 비대격구문과 피동구문의 목적어 출현현상에 대한 소고 ― “王冕死了父親”과 “張三被殺了父親”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소 (27) : 137-159, 2010

      6 최규발, "현대중국어 결과보어의 결과성, 타동성과 사동성" 중국어문학연구회 (109) : 35-62, 2018

      7 김재민, "한국어의 Non-Active Voice와 중간태 설정" 9 : 2013

      8 정해권, "한국어 태 범주의 연속체" 언어과학회 (67) : 267-278, 2013

      9 김진웅, "한국어 증거성의 체계: 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9 : 101-124, 2012

      10 김영일, "한국어 문법론에서 중동태의 설정을 위하여" 한말연구학회 (55) : 35-78, 2020

      11 Li, Charles N., "표준중국어문법" 한울 2015

      12 연재훈, "타동성의 정의를 위한 원형이론적 접근" (1) : 1997

      13 송재목, "증거성(evidentiality)과 주어제약의 유형론-한국어, 몽골어, 티벳어를 예로 들어-" 형태론 9 (9): 1-23, 2007

      14 박진호, "중세국어에서 형용사와 결합하는 ‘-어 잇-’의 상적 의미" 구결학회 (17) : 227-242, 2006

      15 이지현, "중국어?영어?한국어의 소유자 인상 비교 분석" 중국어문학연구회 (37) : 193-217, 2006

      16 최규발 ; 조경환, "중국어의 PVC에 관한 소고" 중국어문연구회 (45) : 1-18, 2010

      17 조경환, "중국어 상의 객관성과 주관성" 중국학연구소 (27) : 117-135, 2010

      18 Kemmer, S., "중간태" 한국문화사 1985

      19 천호재, "중간 구문의 개별 언어 분석 및 범언어적 분석" 한국문화사 2009

      20 김지혜, "자연발생적 사건을 나타내는피동문의 형태·통사·의미적 특성" 한민족문화학회 66 (66): 211-240, 2019

      21 송재목, "인식양태와 증거성" 한국어학회 44 : 27-53, 2009

      22 우인혜, "우리말 피동 연구" 한국문화사 1997

      23 송경안, "언어유형론3" 월인 2008

      24 연재훈, "언어유형론 강의" 한국문화사 2021

      25 劉月華, "실용현대한어어법(下)" 송산출판사 2005

      26 박진호, "시제, 상, 양태" 국어학회 (60) : 289-322, 2011

      27 김지혜, "속성의 의미를 나타내는 피동문의 특성 연구" 반교어문학회 (52) : 57-85, 2019

      28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2016

      29 오유정, "동결식과 진행상의 공기: 상 윤곽 및 상적 해석의 개념을 바탕으로" 중국학연구소 (57) : 57-80, 2017

      30 조경화, "독일어, 영어, 한국어 수동태에 관한 유형론적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59 (59): 145-174, 2014

      31 김윤신, "국어 총칭 피동문의 유형과 의미"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8) : 197-217, 2014

      32 劉丹青, "類指成分的話題化功能及其成因" (1) : 2023

      33 박진호, "韓國語에서 證據性이나 意外性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언어정보연구소 15 : 1-25, 2011

      34 허빈, "韓⋅中⋅日 時相 체계의 대조와 고찰 -‘-고 있-’, ‘-어 있-’, ‘在’, ‘着’, ‘-ている’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회 (103) : 81-129, 2023

      35 古川裕, "現代漢語的“中動語态句式”─語态變換的句法實現和詞法實現" (2) : 2005

      36 何元建, "現代漢語生成語法" 北京大學出版社 2011

      37 何元建, "現代漢語中間句的句法結構" (1) : 2010

      38 劉丹青, "漢語類指成分的語義屬性和句法屬性" (5) : 2002

      39 吳懷成, "漢語需要中動範疇嗎" (3) : 2020

      40 嚴辰松, "漢語沒有“中動结構”" (5) : 2011

      41 王力, "漢語史稿" 中華書局 1980

      42 趙元任, "漢語口語語法" 商務印書館 2001

      43 黃正德, "漢語動詞的題元結構與其句法表現" (4) : 2007

      44 余光武, "漢語中間结構的界定─兼論“NP+V-起來+AP”句式的分化" (1) : 2008

      45 菜淑美, "漢語中動句的語法化历程和演變機制" (4) : 2015

      46 菜淑美, "漢語中動句的硏究現狀和發展空間" (5) : 2013

      47 沈家煊, "比附“主謂結構”引起的問題" (6) : 2018

      48 吕叔湘, "新現代漢語八百詞" 동양문고 2008

      49 陸儉明, "對“鷄不吃了”歧義現象再解釋" (3) : 2011

      50 宋國明, "句法理論槪要" 中國社会科學出版社 1997

      51 蔣紹愚, "動態助詞“着”的形成過程" (1) : 1994

      52 徐傑, "兩種保留賓語句式及相關句法理論問題" (1) : 1999

      53 吳福祥, "也談持續體標記“着”的來源" 4 : 2004

      54 何文忠, "中動構句選擇限制的認知闡釋" (1) : 2007

      55 曹宏, "中動句的語用特點及敎學建議" (5) : 2005

      56 曹宏, "中動句的句法構造特點" (3) : 2004

      57 曹宏, "中動句對動詞, 形容词的選擇限制及其理據" (1) : 2004

      58 劉探宙, "一元非作格動詞帶賓語現象" (2) : 2009

      59 蔣紹愚, "『左傳』『莊子』的無標記被動" (3) : 2023

      60 吳爲善, "“V起來”構式的多義性及其話語功能─兼論英語中中動句的構式特徵" (4) : 2012

      61 張德歲, "“VP+AP”結構與中動句關係考察" (5) : 2011

      62 조경환, "‘起來’ 중간문에 관한 소고" 중국어문연구회 (94) : 1-23, 2019

      63 남수경, "‘-히-’계 접미사 구문의 한 유형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가능 피동의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37 : 77-102, 2012

      64 Alexiadou, A., "The syntactic construction of two non-active Voices : Passive and middle" 48 (48): 2012

      65 Smith, C., "The parameter of aspec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7

      66 Haspelmath, M., "The Grammaticalization of Passive Morphology" 14 (14): 1990

      67 Hopper, Paul J., "The Discourse Basis for Lexical Categories in Universal Grammar" 60 : 1980

      68 Shibatani, M., "Passives and Related Constructions" 61 : 1985

      69 Keyser, S. J., "On the Middle and Ergative Constructions in English" 15 (15): 1984

      70 Plungian, V. A., "Linguistic Realization of Evidentiality in European Languages" De Gruyter Mouton 2010

      71 Lyons, J., "Introduction To Theoretical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72 Tenny, C., "Grammaticalizing Aspect and Affectedness" MIT 1987

      73 Mushin, I., "Evidentiality and Espistemological Stance : Narrative retellin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1

      74 Aikhenvald, A. Y., "Evidenti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75 Comrie, B., "Asp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76 Hale, K., "A View form the Middle" Center for Cognitive Science, MIT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