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stern Han legal code excavated in Hujia Caochang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 which recently revealed the main contents of the law, is a code that falls after “The Law Reform of HanWenTi漢文帝刑制改革”. Although “Western Han leg...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stern Han legal code excavated in Hujia Caochang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 which recently revealed the main contents of the law, is a code that falls after “The Law Reform of HanWenTi漢文帝刑制改革”. Although “Western Han leg...
“Western Han legal code excavated in Hujia Caochang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 which recently revealed the main contents of the law, is a code that falls after “The Law Reform of HanWenTi漢文帝刑制改革”. Although “Western Han legal code excavated in Hujia Caochang” is only a part of the whole, it contains extremely important provisions in the History of Qin Han Law. I published two papers in connection with “Western Hanlegal Code Excavated in Hujia Caochang” published in 2021. “Si Kou寇司” is a paper related to “Western Hanlegal code explored in Hujia Caochang” and was not covered in the previous thesis. Before checking “Western Hanlegal code explored in Hujia Caochang”, I tried to consider “Si Kou” and “Zuo Ru Si Kou作如司寇” before. In the paper, a negative opinion was presented on the view that “ZuoRuSiKou” was viewed as “Women Si Kou” sex. According to the data confirmed in “Western Hangal Code Excavated in Hujia Caochang,” I think it was not appropriate. And According to the data confirmed in “Western Hangal Code Excavated in Hujia Caochang,” I think “Si Kou” was a term used by a man and a woman. It was not separated into “Man SiKou” and “Women Si Kou” by “Criminal Reform of HanWenTi”.
“Si Kou” comes in parallel with “Shuren(庶人)” and “Li Chen Qie(隸臣妾)” in “a term used by a man and a woman”. “Si Kou” was also understood as “a term used by a man and a woman” because all the lower status between “Cheng Dan Chung(城旦舂)” and “Shuren” consists of “a term used by a man and a woman”. It was also emphasized that there are no cases in which only male sentences are marked in the case of reduced sentences that lead to “Cheng Dan Chung”, “Li Chen Qie”, and “Si Kou”.
“Western Han legal code excavated in Hujia Caochang” was emphasized that the terms of prison were decided to be 6, 5, 4, 3, and 2 years. Since it is confirmed that the six-year, five-year, four-year, and three-year sentences of “Western Hanlegal code explored in Hujia Caochang” are all “the terms of prison” applied to both men and wome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wo-year “Si Kou” is also “a term of prison constructed man and woman.” At least in Western Hangal code explored in Hujia Caochang, there are punishment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ney, and the punishment regulations for the escape of, and the “Si Kou”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legal text of your year 2二年律令”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2021년도에 출간된 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釋粹과 관련하여 두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胡家草場西漢簡과 관련된 논문으로 전고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이 ‘司寇’이다. ...
필자는 2021년도에 출간된 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釋粹과 관련하여 두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胡家草場西漢簡과 관련된 논문으로 전고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이 ‘司寇’이다. 필자는 胡家草場西漢簡을 확인하기 전에 司寇⋅作如司寇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그 논고에서 作如司寇를 女性司寇라고 보는 견해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제시하였다. 필자의 주장은 胡家草場西漢簡의 사료에 근거할 때 적절한 판단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司寇와 관련하여 현재 제기된 학설로는 漢文帝 刑制改革 이전의 司寇는 남녀 모두 포함된 용어였으나 漢文帝 刑制改革 이후 男性司寇와 女性司寇로 분리되었다는 설, 文帝의 형제 개혁 이전까지 司寇는 남성에게만 科刑되었고 여성에게는 科刑되지 않았는데, 文帝의 개혁 이후 비로소 여성에게 司寇가 생겨났다는 설이 있다. 城旦舂~庶人 사이의 모든 하층신분이 男女通稱으로 이뤄지고 있으므로 司寇도 남녀통칭이라 생각한다. 또한 城旦舂→隸臣妾→司寇로 이어지는 감형의 경우는 남성형 형명만 표기하고 있는 사례가 없다는 점도 司寇를 남녀통칭의 근거의 하나로 제시하였다. 또한 胡家草場西漢簡의 6년형, 5년형, 4년형, 3년형이 모두 남녀모두에게 적용되는 유기형도임이 확인되고 있으므로 2년형인 司寇도 남녀통칭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하였다. 요컨대, 필자는 司寇는 漢文帝 刑制改革 이전이나 이후에나 남녀통칭이었다고 이해하였다. 적어도 荊州胡家草場漢簡에는 각각 盜臧의 액수에 따른 처벌규정과 以律減罪의 刑罰遞減의 규정 및 도망에 대한 처벌규정이 있는데, 여기에 나오는 司寇는 二年律令에 나오는 無期刑徒이자 신분형인 司寇와 완전히 다른 형기 2년의 유기형도이고 남녀통칭임이 확실하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윤미, "진한(秦漢) 형벌체계 형성과정의 일고찰-사구(司寇)의 기원과 ‘정형’(正刑)화 과정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80 (80): 99-146, 2023
2 도미야 이따루, "유골의 증언 ―고대중국의 형벌―" 서경문화사 1999
3 윤재석, "수호지진묘죽간역주" 소명출판 2010
4 任仲爀, "고대 중국의 통치메커니즘과 그 설계자들4" 경인문화사 2021
5 曹旅寧, "讀≪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選粹≫漢律令簡劄記" (6) : 2022
6 內田智雄, "譯註中國歷代刑法志" 創文社 1964
7 內田智雄, "譯注中國歷代刑法志(補)" 創文社 2005
8 張新超, "試論秦漢刑罰中的司寇刑" 44 (44): 2018
9 張建國, "西漢刑制改革試探" 8 : 1996
10 荊州博物館, "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釋粹" 文物出版社 2021
1 방윤미, "진한(秦漢) 형벌체계 형성과정의 일고찰-사구(司寇)의 기원과 ‘정형’(正刑)화 과정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80 (80): 99-146, 2023
2 도미야 이따루, "유골의 증언 ―고대중국의 형벌―" 서경문화사 1999
3 윤재석, "수호지진묘죽간역주" 소명출판 2010
4 任仲爀, "고대 중국의 통치메커니즘과 그 설계자들4" 경인문화사 2021
5 曹旅寧, "讀≪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選粹≫漢律令簡劄記" (6) : 2022
6 內田智雄, "譯註中國歷代刑法志" 創文社 1964
7 內田智雄, "譯注中國歷代刑法志(補)" 創文社 2005
8 張新超, "試論秦漢刑罰中的司寇刑" 44 (44): 2018
9 張建國, "西漢刑制改革試探" 8 : 1996
10 荊州博物館, "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釋粹" 文物出版社 2021
11 蔣魯敬, "荊州胡家草場西漢墓M12出土的簡牘" 18 : 2019
12 蔣魯敬, "荊州胡家草場西漢墓M12出土的簡牘" 18 : 2019
13 楊彥鵬, "胡家草場漢簡所見漢初蠻夷葬俗的幾個問題" (2) : 2020
14 陳偉, "胡家草場漢簡律典與漢文帝刑制改革" 75 : 2022
15 魯家亮, "胡家草場漢簡≪治水律≫初識" 23 : 2021
16 紀婷婷, "胡家草場漢簡≪少府令≫≪衛官令≫試析" 23 : 2021
17 水間大輔, "胡家草場漢看「律令」と文帝刑制改革" 36 (36): 2022
18 水間大輔, "胡家草場漢看「律令」と張家山漢簡「二年律令」對照表" 36 (36): 2022
19 방윤미, "秦・漢初 司寇 再考 ― 女性司寇 문제를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67) : 1-44, 2023
20 陳偉, "秦簡牘合集" 武漢大學出版社 2014
21 濱口重國, "秦漢隋唐史の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66
22 陳偉, "秦漢簡牘所見的律典體系" (1) : 2021
23 水間大輔, "秦漢法制硏究" 知泉書館 2007
24 임중혁, "秦漢律의 耐刑 ― 士伍로의 수렴 시스템과 관련하여 ―" 중국고중세사학회 (19) : 103-178, 2008
25 若江賢三, "秦漢律と文帝の刑法改革の硏究" 汲古書院 2015
26 冨谷至, "秦漢刑罰制度の硏究" 同朋舍 1998
27 임병덕, "秦‧漢律의 耐刑과 司寇" 중국사학회 (134) : 1-32, 2021
28 이성규, "秦·漢의 형벌체계의 再檢討―雲夢秦簡과 <二年律令>의 司寇를 중심으로―" 동양사학회 85 : 1-74, 2003
29 睡虎地秦墓竹簡整理小組, "睡虎地秦墓竹簡" 文物出版社 1978
30 衛宏, "漢舊儀 권下 漢官六種" 北京中華書局 1990
31 "漢書" 中華書局 1984
32 李天虹, "漢文帝刑期改革——≪漢書⋅刑法志≫所載規定刑期文本與胡家草場漢律對讀" (185) : 2023
33 임병덕, "漢文帝 刑制改革과 刑罰制度의 變化 - 『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자료를 중심으로" 인문학술원 (18) : 79-109, 2022
34 張春龍, "湖南益陽兔子山遺址九號井出土簡牘概述" (4) : 2015
35 湖南省文物考古研究所, "湖南益陽兔子山遺址七號井發掘簡報" (6) : 2021
36 湖南省文物考古研究所, "湖南益陽兔子山遺址七號井出土簡牘述略" (6) : 2021
37 熊北生, "湖北雲夢睡虎地77號西漢墓出土簡牘概述" (3) : 2018
38 李志芳, "湖北荊州市胡家草場西漢墓M12出土簡牘槪述" (2) : 2020
39 李志芳, "湖北荊州市胡家草場西漢墓M12出土簡牘槪述" (2) : 2020
40 荊州博物館, "湖北荊州市胡家草場墓地M12發掘簡報" (2) : 2020
41 藤井律之, "江陵張家山二四七號墓出土漢律令の硏究(論考篇)" 朋友書店 2006
42 冨谷至, "江陵張家山二四七號墓出土漢律令の硏究(譯注篇)" 朋友書店 2006
43 唐俊峰, "新見荊州胡家草場12號漢墓≪外樂律≫≪蠻夷律≫條文讀記與校釋" (8) : 2020
44 張忠煒, "新見漢律律名疏證" (3) : 2020
45 胡平生, "敦煌懸泉置漢簡釋粹" 上海古蹟出版社 2001
46 陳中龍, "從秦代官府年度律令校讎的制度論漢初≪二年律令≫的“二年”"
47 "後漢書" 中華書局 1984
48 何有祖, "張家山漢簡≪二年律令⋅賜律≫簡序新探— 以胡家草場漢簡爲線索" (8) : 2020
49 張家山二四七號漢墓竹簡整理小組, "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 文物出版社 2001
50 荊州博物館, "張家山漢墓竹簡[三三六號墓]" 文物出版社 2022
51 張建國, "帝制時代的中國法" 法律出版社 1999
52 朱漢民, "嶽麓書院秦簡(肆)" 上海辭書出版社 2015
53 石岡浩, "北宋景祐刊』漢書』刑法志第十四葉の復元―前漢文帝刑法改革詔の문자の증감をめぐって―" 111 : 2005
54 張建國, "前漢文帝刑法改革とその展開の再検討" 48 (48): 1996
55 孫家洲, "兔子山遺址出土≪秦二世元年文書≫與≪史記≫紀事抵牾釋解" 29 (29): 2015
56 彭浩, "二年律令與奏讞書―張家山二四七號漢墓出土法律文獻釋讀" 上海古籍出版社 2007
57 高潮, "中國歷代刑法志注釋" 吉林人民出版社 1994
58 冨谷至, "中國貴族制社會の硏究" 京都 1987
59 滋賀秀三, "中國法制史論集―法典と刑罰―" 創文社 2003
60 滋賀秀三, "中國法制史論集" 創文社 2003
61 滋賀秀三, "中國法制史論集" 創文社 2003
62 籾山明, "中國古代訴訟制度の硏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6
63 宮宅潔, "中國古代刑制史の硏究" 京都大學出版會 2010
64 임병덕, "『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과 漢文帝의 刑制改革" 중국사학회 (143) : 31-58, 2023
65 何有祖, "≪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選粹≫讀後記" 23 : 2021
주자의 사상채 비판은 정당한가? — 지각설을 넘어 내재적 맥락에서 상채 읽기
공자 활동장소의 의미와 작동 — 『史記』 「孔子世家」의 ‘큰 나무 아래’와 ‘蒲’ 지역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