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東醫寶鑑』〈內景篇 身形門〉의 醫療氣功學的 意義에 關한 考察 = A Study on the Medical Kigong with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57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醫療氣功은 『黃帝內經』의 五大 治療法중의 하나로서 韓醫學의 중요한 醫療領域이다. 최근 醫療氣功에 대한 觀心이 고조되고 연구도 활성화 되고 있지만 의료기공으로서의 개념정립이 부...

      醫療氣功은 『黃帝內經』의 五大 治療法중의 하나로서 韓醫學의 중요한 醫療領域이다. 최근 醫療氣功에 대한 觀心이 고조되고 연구도 활성화 되고 있지만 의료기공으로서의 개념정립이 부족하여 여러 가지 問題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醫療氣功의 과학적인 理論體系와 臨床的 연구가 요청된다고 思料되어, 氣功의 槪要와 『東醫寶鑑』의 思想的 背景을 알아보고, 『東醫寶鑑』〈內景篇 身形門〉에 대한 醫療氣功學的인 硏究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東醫寶鑑』〈內景篇 身形門〉에서는 道敎思想과 醫學을 하나로 결합하여 養生醫學體系를 구축하고, 醫療氣功의 氣功原理, 氣功方法, 藥餌療法, 禁忌 等에 대한 內容을 서술하여, 醫療氣功養生書로서 構成要件을 具備하고 있다.
      氣功原理는 道敎 內丹思想에 바탕을 두고 人身의 構成要素(三寶)인 精, 氣, 神을 保養함에 있으며, 氣功方法은 意識修練法(調心), 呼吸修練法(調息), 身體修練法(調身)의 氣功修鍊法(氣功三調)을 受容하여, 周天功과 導引法, 藥餌療法등을 기술 하였다.
      따라서 『東醫寶鑑』〈內景篇 身形門〉은 道敎思想을 바탕으로 醫療氣功의 諸 分野를 체계적으로 敍述하여 당시의 醫療氣功 理論體系를 定立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현대 醫療氣功의 理論 體系化를 위해서는 이를 바탕으로 『東醫寶鑑』全篇에 散在되어있는 氣功養生 理論과 現代 醫療氣功의 다양한 氣功診斷, 氣功治療法등의 내용을 補完하는 硏究가 필요할 것으로 思料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dical Kigong is one of five noted methods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is an important part of Oriental medicine. Recently many people are getting interested in Medical Kigong and studying it with several problems resulting. So it is nece...

      Medical Kigong is one of five noted methods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is an important part of Oriental medicine. Recently many people are getting interested in Medical Kigong and studying it with several problems resulting. So it is necessary to get a theory of Medical Kigong which is scientifically well-organized. For this purpose we study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in terms of the theory of Medical Kigong and draw conclusions as follows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can be said to have all the necessary factors to be a separate book itself on Medical Kigong. It is focused on the preventive medicine through various methods of Medical Kigong used from the ancient times in China, and consists of the basic theory on Medical Kigong, the principle of Kigong, treatment results, patients to treat, specific Kigong methods, general methods on improving health, herbal diets, and etc.

      The principle of Medical Kigong in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is to preserve and cultivate jeong(精;essence), ki(氣;breath), sin(神;spirit) which are three treasures of humanbody and it is achieved through health improving methods based on kigongsamjo(氣功三調), that is, josin(調身), josik(調息), josim(調心) and daesojucheonbeop(大小周天法) of naedanbeop(內丹法) in Taoism.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accepted Kigong health improvement methods in Taoism as a practical Medical Kigong and emphasized that preventing diseases through health improvement by Kigong is better than treating diseases. It also suggested that seasonal changes and ways of life are very important for health.
      In short, Dongeuibogam Naegyeong Sinhyeong(東醫寶鑑 內景 身形) established the system of Medical Kigong by discribing almost all parts of it, and can be used as one of the basic materials for the study of Korean Korean Medical Kigo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抄錄
      • Ⅰ. 緖論
      • Ⅱ. 本論
      • 1. 氣功學의 槪要
      • ABSTRACT
      • 抄錄
      • Ⅰ. 緖論
      • Ⅱ. 本論
      • 1. 氣功學의 槪要
      • 1) 氣功의 定義
      • 2) 氣功의 分類
      • 3) 氣功과 豫防醫學의 關係
      • 4) 氣功과 治療醫學의 關係
      • 5) 氣功의 歷史
      • 2. 『東醫寶鑑』의 思想的 背景
      • 3. 『東醫寶鑑』〈內景篇 身形門〉의 醫療氣功學的 分析
      • 1) 本體論
      • 2) 人間觀과 精氣神論
      • 3) 氣功 三要素의 修練原理
      • 4) 氣功 方法論
      • 5) 氣功 禁忌
      • 6) 現代 醫療氣功과의 關係
      • Ⅲ. 結論
      • Ⅳ. 參考文獻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