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연구 = Chinese L2 Acquisition of Korean Particle i/ka and eun/n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93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has investigated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particle i/ka and eun/nun which had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linguistic contexts. Meanings of i/ka include exclusiveness, information focus, specificity, selectional listing. eu...

      The study has investigated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particle i/ka and eun/nun which had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linguistic contexts. Meanings of i/ka include exclusiveness, information focus, specificity, selectional listing. eun/nun has meanings of topic and contrast; topic was sub-categorized into aboutness, genericity, givenness, and contrast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explicitness of counterpart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5 native speakers of Korean(NKs) and 40 Chinese learners of Korean(CKs), and C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high CKs and low CK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They were asked to select a Korean particle appropriate to a given sentence among 4 choices. ANOVA on the scores of i/ka and eun/nun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different linguistic context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cores of three groups. The results of additional analyses are as follows: (1) In four meanings of i/ka, which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ores of NKs and high CKs. Scores of low C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Ks and high CKs. (2) In three meanings of eun/nun, genericity, givenness and contrast, scores of low CKs and high C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K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ubgroups of CKs. However, in eun/nun which has meaning of `about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ores of NKs and high CKs, while scores of low C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석주, "한국어 조사의 연구 : '-가'와 '-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 정해권, "한국어 문장의 주제와 초점 구조 습득 -‘은/는’과 ‘이/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285-304, 2011

      3 홍사만, "한·일어 의존형태소의 대조 연구 – 특수조사 ‘는/은’과 부조사 ‘wa (は)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14 : 91-121, 1980

      4 남기심, "주제어와 주어" 26 : 128-131, 1972

      5 김지은, "조사 ‘이/가’와 ‘은/는’의 대치오류 분석" 언어과학회 (48) : 1-40, 2009

      6 채완, "조사 ‘는’의 의미" 4 : 93-113, 1976

      7 김선희, "조사 ‘가’의 의미와 주제" 16 : 28-41, 1983

      8 이필영, "조사 ‘가/이’의 의미분석" 7 : 417-431, 1982

      9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1" 교보문고 2008

      10 김정은, "일본어권 학습자의 조사 오용 양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31, 2004

      1 고석주, "한국어 조사의 연구 : '-가'와 '-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 정해권, "한국어 문장의 주제와 초점 구조 습득 -‘은/는’과 ‘이/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285-304, 2011

      3 홍사만, "한·일어 의존형태소의 대조 연구 – 특수조사 ‘는/은’과 부조사 ‘wa (は)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14 : 91-121, 1980

      4 남기심, "주제어와 주어" 26 : 128-131, 1972

      5 김지은, "조사 ‘이/가’와 ‘은/는’의 대치오류 분석" 언어과학회 (48) : 1-40, 2009

      6 채완, "조사 ‘는’의 의미" 4 : 93-113, 1976

      7 김선희, "조사 ‘가’의 의미와 주제" 16 : 28-41, 1983

      8 이필영, "조사 ‘가/이’의 의미분석" 7 : 417-431, 1982

      9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1" 교보문고 2008

      10 김정은, "일본어권 학습자의 조사 오용 양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31, 2004

      11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1-1"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12 金源卿,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조사 “은/는”과 “이/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13 김정숙,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분석과 교육 방법 -‘-이/가’와 ‘-은/는’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2-46, 2002

      14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1-1"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3

      15 유동석, "양태조사의 통보기능에 대한 연구 : {이},{을},{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16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1A" 문진미디어 2013

      17 서강대학교한국어교육원, "서강 한국어 1A" 서강대학교국제문화교육원출판부 2008

      18 이종성,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통계 방법" 박영사 2000

      19 신창순, "국어의 주제 문제 연구" 2 : 131-170, 1975

      20 성기철, "국어의 주제 문제" 188 : 65-90, 1985

      21 김기화, "국어의 격 연구" 한국문화사 1994

      22 홍사만,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역락 2002

      23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태학사 1998

      24 김중섭, "경희 한국어 문법 1" 도서출판 하우 2014

      25 김한곤, "A Semantic Analysis of the Topic Particles in Korean and Japanese" 3 (3): 106-117,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언어정보개발연구원 -> 언어정보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Development -> 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8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