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의 에너지시스템을 다층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전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전환연구 및 전환의 지리학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다양한 전환 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61631
2020
-
300
KCI등재
학술저널
214-246(3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의 에너지시스템을 다층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전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전환연구 및 전환의 지리학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다양한 전환 경...
이 글은 한국의 에너지시스템을 다층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전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전환연구 및 전환의 지리학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다양한 전환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사회기술 시나리오’ 방법론과 네덜란드 에너지전환의 시나리오를 검토한다. 이어 한국의 에너지시스템을 거시환경, 레짐 그리고 틈새라는 다층적 관점을 통해서 분석한 후, 한국의 에너지전환을 위한 세 가지 전환 경로 - 중앙집권적 점진적 전환 경로, 에너지 분권과 자립의 경로, 그리고 동북아 슈퍼그리드 경로 -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토론할 것이다. 이 각 전환 경로는 국가적, 지역적, 국제적 스케일의 전환 경로를 보여준다. 이는 한국의 에너지전환 담론이 국가적 스케일에 갇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다양한 스케일 사이에서의 경합과 이에 대한 분석과 토론은 에너지전환의 달성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Korea’s energy system from a multi-level perspective( MLP) and explore various transition pathways. First of all,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ranstion studies and the geography of transition, and examines the ‘...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Korea’s energy system from a multi-level perspective( MLP) and explore various transition pathways. First of all,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ranstion studies and the geography of transition, and examines the ‘socio-technical Scenario’ methodology and the scenario of Dutch energy transition to explore the various pathways. After analyzing Korea’s energy system through the MLP of landscape, regime and niche, I will develop and discuss three transition pathways for energy transition in Korea: centralized and gradual pathway, energy decentralization and independence pathway, and Northeast Asia Super Grid pathway. Each of these transition pathways represents a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scale. This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discourse on energy conversion in Korea is confined to the national scale, and competition between the various scales and its analysis and discussion will help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energy transi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필, "한반도 에너지전환의 비전과 가능성 모색" 2018
2 박배균,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 47 (47): 37-59, 2012
3 한재각, "한국의 에너지 시나리오와 전문성의 정치" 한국과학기술학회 12 (12): 107-144, 2012
4 건설경제, "한-중 전력망 연계 사업 가사화... 동북아 수퍼그리드 속도 붙나"
5 박진희,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과 재생가능 에너지, In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6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 5년 밑그림 나왔다"
7 산업통상자원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 2017
8 산업통상자원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19
9 김병윤, "전환 및 전환관리: 배경과 논의, In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10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 2017
1 이정필, "한반도 에너지전환의 비전과 가능성 모색" 2018
2 박배균,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 47 (47): 37-59, 2012
3 한재각, "한국의 에너지 시나리오와 전문성의 정치" 한국과학기술학회 12 (12): 107-144, 2012
4 건설경제, "한-중 전력망 연계 사업 가사화... 동북아 수퍼그리드 속도 붙나"
5 박진희,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과 재생가능 에너지, In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6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 5년 밑그림 나왔다"
7 산업통상자원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 2017
8 산업통상자원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19
9 김병윤, "전환 및 전환관리: 배경과 논의, In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10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 2017
11 한재각, "유럽의 지역에너지 발전 과정과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원 (겨울) : 39-60, 2017
12 이성규, "유럽 전력망 연계의 확대 과정과 장애 요인: 동북아 전력 계통 연계에대한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원 2018
13 김종달, "에너지체제 전환정책, In 새천년을 향한 환경·보건복지 정책" 대통령 자문정책기획위원회 1999
14 한재각, "에너지산업 구조개편과 에너지민주주의 대안: 지역화/공유화접근을 제안하며"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75) : 2017
15 이보아, "에너지 전환의 지리에 아상블라주 사유 더하기" 한국도시지리학회 21 (21): 93-106, 2018
16 이필렬, "에너지 대안을 찾아서" 창작과비평사 1999
17 이은희, "신기후체제하의 CCS 도입 전망" (재)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 8-11, 2016
18 장영배, "시민참여적 과학기술정책 형성 발전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19 송위진, "사회·기술시스템전환 : 이론과 실천"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17
20 이영석, "사회-기술 전환이론 비교 연구 - 전환정책 설계와 운영을 위한 통합적 접근 -" 한국정책학회 23 (23): 179-210, 2014
21 한국에너지, "두산중공업,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 세계 5번째 독자모델보유 ‘눈앞’"
22 윤재영, "동북아 에너지협력의 미래: 동북아 슈퍼그리드를 중심으로" 2018
23 이성규,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사업 관련 해외 사례분석과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24 한재각, "당진 시장은 왜 단식 농성을 했을까?"
25 윤재영, "남북한 전력분야 협력방안과 과제" (313) : 26-29, 2018
26 김형수, "가상발전소와 전력중개시장: 시민참여 가능성의 검토"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91) : 2019
27 STRN, "“A mission statement and research agenda for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 Research Network"
28 Geels, F. W., "Typology of sociotechnical transition pathways" 36 (36): 399-417, 2007
29 Rotmans, J., "Transition to Sustainble Development: New Directiopn in the Study of Long Term Transformative Change" Routledge 126-139, 2010
30 Schwanen, T., "Thinking complex interconnection : Transition, nexus and Geography" 43 (43): 262-283, 2018
31 Geels, F. W., "The enactment of socio-technical transition pathways : a reformulated typology and a comparative multi-level analysis of the German and UK low-carbon electricity transitions(1990–2014)" 45 (45): 896-913, 2016
32 Turnheim, B., "The Destabilisation of Existing Regimes : Confronting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with a Case Study of the British Coal Industry(1931-1967)" 42 (42): 1749-1767, 2013
33 IRENA, "Renewable Capacity Statistics 2019"
34 Geels, F. W., "Reconceptualising the co-evolution of firms-in-industries and their environments.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Triple Embeddedness Framework" 43 (43): 261-277, 2014
35 Verbong, G, "Governing the Energy Transition:Reality, Illusion or Necessity?" Routledge 203-219, 2012
36 Vertgart, P, "Governing the Energy Transition: Reality, Illusion or Necessity?" Routledge 101-124, 2012
37 Bridge, G., "Geography of energy transition : Space, place and the low-carbon economy" 53 : 331-340, 2013
38 Hofman, P., "Exploring system innovation in the electricity system through sociotechnical scenarios" 22 (22): 653-760, 2010
39 Verbong, G., "Exploring sustainability transitions in the electricity sector with socio-technical pathways" 77 (77): 1214-1221, 2010
40 Hall, D., "Energy Liberalisation, privatisation and public ownership" PSIRU 2013
41 Penna, C. C., "Climate Change and the Slow Reorientation of the American Car Industry(1979-2012): An Applications and Extension of the Dialectic Issue LifeCycle(DILC) Model" 44 (44): 1029-1048, 2015
42 STRN, "A mission statement and research agenda for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 Research Network. Updated version(2019)"
43 관계부처 합동,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 로드맵 수정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6 | 1.32 | 1.495 | 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