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침묵 깨기 - Brother’s Keeper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3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에서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쟁으로 꼬리표가 붙어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 아동문학에서도 반영되어 미국 그림책 분야에서 한국전쟁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범위를 넓혀 그림책은 물론 고학년용 소설까지 한국전쟁을 소개한 책을 살펴보고 지난 삼십 년간 얼마나 많은 미국 아동문학이 한국전쟁을 소개하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또 미국에서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는 한국전쟁을 독자와의 거리감을 두고 소개하였다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분석기준으로 삼아 최근에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에서도 여전히 그러한 결과를 찾을 수 있는지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2020년에 출판된 Brother’s Keeper는 그 동안 한국전쟁을 소개한 미국아동문학과는 달리 시간, 장소, 초점의 관점에서 볼 때 독자와 한국전쟁 사이에 거리감을 두지 않고 오히려 독자가 주인공과 함께 한국전쟁을 경험하도록 문학적 요소를 구성하였음 발견하였다. Brother Keeper는 미국 어린이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인 사건인 한국전쟁을 생동감 있게 그려냈고,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뜻깊은 변화 또한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미국에서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쟁으로 꼬리표가 붙어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 아동문학에서도 반영되어 미국 그림책 분야에서 한국전쟁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

      미국에서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쟁으로 꼬리표가 붙어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 아동문학에서도 반영되어 미국 그림책 분야에서 한국전쟁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범위를 넓혀 그림책은 물론 고학년용 소설까지 한국전쟁을 소개한 책을 살펴보고 지난 삼십 년간 얼마나 많은 미국 아동문학이 한국전쟁을 소개하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또 미국에서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는 한국전쟁을 독자와의 거리감을 두고 소개하였다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분석기준으로 삼아 최근에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에서도 여전히 그러한 결과를 찾을 수 있는지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2020년에 출판된 Brother’s Keeper는 그 동안 한국전쟁을 소개한 미국아동문학과는 달리 시간, 장소, 초점의 관점에서 볼 때 독자와 한국전쟁 사이에 거리감을 두지 않고 오히려 독자가 주인공과 함께 한국전쟁을 경험하도록 문학적 요소를 구성하였음 발견하였다. Brother Keeper는 미국 어린이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인 사건인 한국전쟁을 생동감 있게 그려냈고,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뜻깊은 변화 또한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War has a nickname as a forgotten war, or an unknown war in the United States (U.S.). As this fact is reflected in children’s literature, the Korean War could rarely be found in the picture books in the U.S. Expand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War in the picture books published in the U.S., the present study surveyed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from picture books to middle-grade novels and summarized how many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depicted the Korean War in the last thirty years.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the most recently published children’s book about the Korean War in the U.S. to examine if the book introduces the Korean war to readers with a sense of dist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rother’s Keeper published in 2020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books about the Korean War. In terms of time, place, and focus, Brother’s Keeper did not create a distance between readers and the Korean War. Rather, it used literary elements to help readers experience the war with the protagonist. Brother’s Keeper vividly depicted the Korean War, which is not a well-known historic event for American children. It also shows a meaningful change in the Korean War story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U.S.
      번역하기

      The Korean War has a nickname as a forgotten war, or an unknown war in the United States (U.S.). As this fact is reflected in children’s literature, the Korean War could rarely be found in the picture books in the U.S. Expanding from the previous st...

      The Korean War has a nickname as a forgotten war, or an unknown war in the United States (U.S.). As this fact is reflected in children’s literature, the Korean War could rarely be found in the picture books in the U.S. Expand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War in the picture books published in the U.S., the present study surveyed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from picture books to middle-grade novels and summarized how many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depicted the Korean War in the last thirty years.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the most recently published children’s book about the Korean War in the U.S. to examine if the book introduces the Korean war to readers with a sense of dist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rother’s Keeper published in 2020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books about the Korean War. In terms of time, place, and focus, Brother’s Keeper did not create a distance between readers and the Korean War. Rather, it used literary elements to help readers experience the war with the protagonist. Brother’s Keeper vividly depicted the Korean War, which is not a well-known historic event for American children. It also shows a meaningful change in the Korean War story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U.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선행연구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국문초록
      • 1. 서론
      • 2. 선행연구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위종선, "잊힌 전쟁: 외국 전쟁 그림책에서 한국전쟁 찾기" 4 : 59-75, 2020

      2 옐라 레프만, "어린이 책의 다리: 책으로 희망을 노래한 옐라 레프만의 삶" 나미북스 2014

      3 위종선, "미국 교포 어린이들의 『엄마마중』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6) : 355-383, 2020

      4 박원기, "北→美→다시 고국으로…한국군 147명 유해 휴전 67년만에 귀향"

      5 "[이산가족]미국을 울린 동화책 ‘피난열차’ The children’s storybook that brought America to tears – Peacebound Trains"

      6 Choi, Sook Nyul, "Year of Impossible Goodbyes" Houghton Mifflin 1991

      7 Zur, Dafna, "Whose War Were We Fighting? Constructing Memory and Managing Trauma in South Korean Children’s Fiction" 2 (2): 192-209, 2009

      8 Simon, Lisa, "Weaving colors into a white landscape: Unpacking the silences in Karen Hesse’s children’s novel Out of the dust" (Winter) : 22-30, 2008

      9 Watler, Virginia A., "War & Peace: A Guide to Literature and New Media, Grades 4-8" Libraries Unlimited 2007

      10 United States Census Bureau, "The Asian population: 2010: 2010 Census brief" United Census Bureau

      1 위종선, "잊힌 전쟁: 외국 전쟁 그림책에서 한국전쟁 찾기" 4 : 59-75, 2020

      2 옐라 레프만, "어린이 책의 다리: 책으로 희망을 노래한 옐라 레프만의 삶" 나미북스 2014

      3 위종선, "미국 교포 어린이들의 『엄마마중』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6) : 355-383, 2020

      4 박원기, "北→美→다시 고국으로…한국군 147명 유해 휴전 67년만에 귀향"

      5 "[이산가족]미국을 울린 동화책 ‘피난열차’ The children’s storybook that brought America to tears – Peacebound Trains"

      6 Choi, Sook Nyul, "Year of Impossible Goodbyes" Houghton Mifflin 1991

      7 Zur, Dafna, "Whose War Were We Fighting? Constructing Memory and Managing Trauma in South Korean Children’s Fiction" 2 (2): 192-209, 2009

      8 Simon, Lisa, "Weaving colors into a white landscape: Unpacking the silences in Karen Hesse’s children’s novel Out of the dust" (Winter) : 22-30, 2008

      9 Watler, Virginia A., "War & Peace: A Guide to Literature and New Media, Grades 4-8" Libraries Unlimited 2007

      10 United States Census Bureau, "The Asian population: 2010: 2010 Census brief" United Census Bureau

      11 McCormick, Patricia, "Sergeant Reckless: The True Story of the Little Horse who Became a Hero" Balzer + Bray 2017

      12 White House, "Proclamation on National Korean War veterans armistice day"

      13 Balgassi, Haemi, "Peacebound Trains" Houghton Mifflin 1996

      14 Park, Frances, "My Rreedom trip: A Child’s Escape from North Korea" Boyds Mill Press 1998

      15 Bishop, Rudine Sims, "Mirrors, Windows, and Sliding Glass Doors" 6 (6): 9-11, 1990

      16 Park, Linda Sue, "Keeping Score" Clarion Books 2008

      17 Park, Sarah, "Illustrating the Unspeakable: The Korean War and Children’s Picture Books, 9" Society for the History of Children and Youth 2007

      18 Bercaw, Edna Coe, "Halmoni’s Day" Dial Book 2000

      19 Huyck, David, "Diversity in Children’s Books 2018"

      20 McDaniel, Cynthia, "Critical Literacy: A Questioning Stance and the Possibility for Change" 57 (57): 472-481, 2004

      21 Huck, Charlotte S.,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lementary School"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7

      22 IRSCL, "Call for Papers. Silence and Silencing in Children’s Literature IRSCL Congress 2019 Stockholm"

      23 "Brother’s Keeper behind-the-book with author Julie Lee"

      24 Lee, Julie, "Brother’s Keeper" Holiday House 2020

      25 "6·25전쟁 70주년 사업추진위원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7 1.00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