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NA 바코드를 이용한 마디풀과 잡초의 동정 = Molecular Identification of Korean Polygonaceae: Weed Spe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0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NA barcode is a powerful tool for species identification. It is especially useful when identification is difficult due to lack of taxonomic knowledge. Plant DNA barcode employs two markers, rbcL + matK. There were 619 taxa, 81 families in agricultural fields in Korea and Polygonaceae is the fifth dominant among them and usually seven to eight species are commonly found. In this study, we tried to catalog 30 individuals of 7 species in Polygonaceae occurring in Korean agricultural fields using partial sequences of rbcL and matK. Both the barcode markers revealed a good PCR and sequencing success with 100%. Barcoding gap and resolving power were 100% as well. Interspecific variations were 3.23% and 7.87% in rbcL and matK, respectively. No intraspecific variations were found in Persicaria vulgaris and Rumex japonicus in both markers. Both standard markers were found to be useful for identification of Polygonaceae weeds in Korea. The barcode data were deposited in Genbank for public use.
      번역하기

      DNA barcode is a powerful tool for species identification. It is especially useful when identification is difficult due to lack of taxonomic knowledge. Plant DNA barcode employs two markers, rbcL + matK. There were 619 taxa, 81 families in agricultura...

      DNA barcode is a powerful tool for species identification. It is especially useful when identification is difficult due to lack of taxonomic knowledge. Plant DNA barcode employs two markers, rbcL + matK. There were 619 taxa, 81 families in agricultural fields in Korea and Polygonaceae is the fifth dominant among them and usually seven to eight species are commonly found. In this study, we tried to catalog 30 individuals of 7 species in Polygonaceae occurring in Korean agricultural fields using partial sequences of rbcL and matK. Both the barcode markers revealed a good PCR and sequencing success with 100%. Barcoding gap and resolving power were 100% as well. Interspecific variations were 3.23% and 7.87% in rbcL and matK, respectively. No intraspecific variations were found in Persicaria vulgaris and Rumex japonicus in both markers. Both standard markers were found to be useful for identification of Polygonaceae weeds in Korea. The barcode data were deposited in Genbank for public u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DNA 바코드는 게놈 DNA의 단편을 이용해 종들 간의 DNA 변이를 발견하여 형태적 지식이 없어도 정확하게 종을 동정하고 분류하는 방법이다. 고등 식물에서는 단일마커로 바코드 조건을 충족할 수 없어 엽록체 DNA의 rbcL과 mat K 유전자를 표준마커로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식물 바코드마커를 이용하여 국내 마디풀과 잡초 7종 30생태형의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바코드 결과 PCR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 성공률은 rbcL과matK에서 모두 100%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바코드 갭과 종 식별해상력 또한 단일 마커와 마커들의 조합 모두 100%의성공률을 보였다. 단일마커 rbcL과 mat K, 이 두 마커의 조합은 마디풀과의 바코드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었다. 봄여뀌와 참소리쟁이는 두 마커에서 모두 종내변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종간변이는 rbcL에서 3.23%, matK에서 7.87%이었다. 여뀌속이나 소리쟁이속은 DNA 바코드를 분석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마디풀과의 바코드데이터는 미국의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에 기탁하여 Genbank 번호를 받아 공개하였다.
      번역하기

      DNA 바코드는 게놈 DNA의 단편을 이용해 종들 간의 DNA 변이를 발견하여 형태적 지식이 없어도 정확하게 종을 동정하고 분류하는 방법이다. 고등 식물에서는 단일마커로 바코드 조건을 충족할 ...

      DNA 바코드는 게놈 DNA의 단편을 이용해 종들 간의 DNA 변이를 발견하여 형태적 지식이 없어도 정확하게 종을 동정하고 분류하는 방법이다. 고등 식물에서는 단일마커로 바코드 조건을 충족할 수 없어 엽록체 DNA의 rbcL과 mat K 유전자를 표준마커로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식물 바코드마커를 이용하여 국내 마디풀과 잡초 7종 30생태형의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바코드 결과 PCR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 성공률은 rbcL과matK에서 모두 100%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바코드 갭과 종 식별해상력 또한 단일 마커와 마커들의 조합 모두 100%의성공률을 보였다. 단일마커 rbcL과 mat K, 이 두 마커의 조합은 마디풀과의 바코드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었다. 봄여뀌와 참소리쟁이는 두 마커에서 모두 종내변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종간변이는 rbcL에서 3.23%, matK에서 7.87%이었다. 여뀌속이나 소리쟁이속은 DNA 바코드를 분석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마디풀과의 바코드데이터는 미국의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에 기탁하여 Genbank 번호를 받아 공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석, "여뀌속(마디풀과) 잡초의 생육초기 분류동정 연구" 한국잡초학회 28 (28): 374-382, 2008

      2 이정란, "국내 농경지에 발생하는 포아풀아과 잡초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한국잔디학회 4 (4): 18-25, 2015

      3 朴載邑, "最近 韓國의 밭雜草 發生 特性" 한국잡초학회 23 (23): 277-284, 2003

      4 Park, C.W.,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ing Co 334-360, 2007

      5 Chen, S., "Validation of the ITS2 region as a novel DNA barcode for identifying medicinal plant species" 5 (5): e8613-, 2010

      6 Heckenhauer, J., "Universal multiplexable mat K primers for DNA barcoding of angiosperms" 4 (4): 1500137-, 2016

      7 Park, J. E.,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rice paddy field of Korea" 21 (21): 327-334, 2001

      8 Saitou, N.,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evolutionary trees" 4 : 406-425, 1987

      9 Thorne, R.F., "The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of the class Angiospermae" 66 : 441-647, 2000

      10 Brandbyge, J.,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2" Springer 531-544, 1993

      1 김창석, "여뀌속(마디풀과) 잡초의 생육초기 분류동정 연구" 한국잡초학회 28 (28): 374-382, 2008

      2 이정란, "국내 농경지에 발생하는 포아풀아과 잡초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한국잔디학회 4 (4): 18-25, 2015

      3 朴載邑, "最近 韓國의 밭雜草 發生 特性" 한국잡초학회 23 (23): 277-284, 2003

      4 Park, C.W.,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ing Co 334-360, 2007

      5 Chen, S., "Validation of the ITS2 region as a novel DNA barcode for identifying medicinal plant species" 5 (5): e8613-, 2010

      6 Heckenhauer, J., "Universal multiplexable mat K primers for DNA barcoding of angiosperms" 4 (4): 1500137-, 2016

      7 Park, J. E.,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rice paddy field of Korea" 21 (21): 327-334, 2001

      8 Saitou, N.,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evolutionary trees" 4 : 406-425, 1987

      9 Thorne, R.F., "The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of the class Angiospermae" 66 : 441-647, 2000

      10 Brandbyge, J.,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2" Springer 531-544, 1993

      11 In-Yong Le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Arable Fields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Weed Science 6 (6): 86-108, 2017

      12 Tamura, K.,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30 : 2725-2729, 2013

      13 Reveal, J.L., "Eriogonoid flora of California (Polygonaceae: Eriogonoideae)" 66 : 295-414, 1989

      14 Dong, W., "Discriminating plants using the DNA barcode rbclb:An appraisal based on a large data set" 14 : 336-343, 2014

      15 이정란, "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벼과 잡초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한국잔디학회 4 (4): 26-34, 2015

      16 Theodoridis, S., "DNA barcoding in native plants of the Labiatae (Lamiaceae) family from Chios Island (Greece) and the adjacent Çeşme-Karaburun Peninsula (Turkey)" 12 : 620-633, 2012

      17 Hebert, P. D. N., "Biological identifications through DNA barcodes" 270 : 313-321, 2003

      18 Guo, X., "Application of DNA barcodes in Hedyotis L. (Spermacoceae, Rubiaceae)" 49 (49): 203-212, 2011

      19 Kress, W.J., "A two-locus global DNA barcode for land plants: The coding rbcL gene complements the non-coding trnH-psbA spacer region" 2 (2): e508-, 2007

      20 Song, J.S., "A systematic study on the genus Rumex (Polygonaceae) in Korea" Seoul National Univ 2001

      21 CBOL Plant Working Group, "A DNA barcode for land plants" 106 : 12794-12797,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1-06-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잔디학회지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4 0.59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