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혼합 완효성 질소 비료의 처리 후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질소 흡수 및 지상부 생육 = Nitrogen Uptake and Shoot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after Application of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 Blen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0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slow release nitrogen (N) fertilizer (SRF) blending isobutylidene diurea (IBDU), crotonylidene diurea (CDU) and methylene urea (MU) on growth, quality and N uptake of creeping bentgrass.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 non-fertilizer (NF), control fertilizer (CF), SRF-1 (IBDU 12%, CDU 12%, MU 36%), and SRF-2 (IBDU 5%, CDU 5%, MU 15%). As applied SRF, visual quality, shoot length, clipping yield, T/R ratio, N content and N uptake of creeping bentgrass was not significant to CF.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SRF-2 increased by17 % than that of CF. Amount of N up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visual quality, total chlorophyll content, clipping yield, and uptake of phosphorus and potassium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 blending with IBDU, CDU and MU improved chlorophyll content of creeping bentgrass by prompting N uptak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slow release nitrogen (N) fertilizer (SRF) blending isobutylidene diurea (IBDU), crotonylidene diurea (CDU) and methylene urea (MU) on growth, quality and N uptake of creeping bentgrass. Treatments wer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slow release nitrogen (N) fertilizer (SRF) blending isobutylidene diurea (IBDU), crotonylidene diurea (CDU) and methylene urea (MU) on growth, quality and N uptake of creeping bentgrass.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 non-fertilizer (NF), control fertilizer (CF), SRF-1 (IBDU 12%, CDU 12%, MU 36%), and SRF-2 (IBDU 5%, CDU 5%, MU 15%). As applied SRF, visual quality, shoot length, clipping yield, T/R ratio, N content and N uptake of creeping bentgrass was not significant to CF.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SRF-2 increased by17 % than that of CF. Amount of N up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visual quality, total chlorophyll content, clipping yield, and uptake of phosphorus and potassium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 blending with IBDU, CDU and MU improved chlorophyll content of creeping bentgrass by prompting N uptak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IBDU, CDU 및 MU가 혼합된 완효성 질소 비료(SRF)의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품질 및 초장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무비구(NF), 대조구(CF), 완효성 질소 비료 처리구 1 (SRF-1; IBDU 12%, CDU 12%, MU 36%) 및 처리구 2 (SRF-2; IBDU 5%, CDU 5%, MU 15%)로 설정되었다. CF와 비교하였을 때, SRF의처리 시 잔디의 가시적 품질, 초장, 예지물량, T/R율, 질소 함량 및 흡수량 등은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RF-2의 총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보다 약 17% 증가하였다. 질소 흡수량과의 상관관계 조사에서 잔디의가시적 품질, 총 엽록소 함량, 예지물량 및 인과 칼륨의 흡수량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 <0.01).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IBDU, CDU 및 MU를 혼합하여 제형화한 완효성 질소 비료의 시비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질소 흡수를 촉진하여 잔디 잎의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IBDU, CDU 및 MU가 혼합된 완효성 질소 비료(SRF)의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품질 및 초장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무비구(NF), 대조구(CF), 완효...

      본 연구는 IBDU, CDU 및 MU가 혼합된 완효성 질소 비료(SRF)의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품질 및 초장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무비구(NF), 대조구(CF), 완효성 질소 비료 처리구 1 (SRF-1; IBDU 12%, CDU 12%, MU 36%) 및 처리구 2 (SRF-2; IBDU 5%, CDU 5%, MU 15%)로 설정되었다. CF와 비교하였을 때, SRF의처리 시 잔디의 가시적 품질, 초장, 예지물량, T/R율, 질소 함량 및 흡수량 등은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RF-2의 총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보다 약 17% 증가하였다. 질소 흡수량과의 상관관계 조사에서 잔디의가시적 품질, 총 엽록소 함량, 예지물량 및 인과 칼륨의 흡수량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 <0.01).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IBDU, CDU 및 MU를 혼합하여 제형화한 완효성 질소 비료의 시비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질소 흡수를 촉진하여 잔디 잎의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수, "총각무와 옥수수 재배시 SCB액비 시용수준이 토양화학성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4 (44): 1306-1313, 2011

      2 이창훈,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의 고추에 대한 시비효과 평가" 한국환경농학회 26 (26): 228-232, 2007

      3 김영선, "완효성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토양 중 질소함량 변화 및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3 (23): 101-110, 2009

      4 이경보, "완효성비료 시용 논 토양중의 질소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 38 (38): 157-163, 2005

      5 김영선, "완효성 질소 비료의 시비가 크리핑 벤트그래스 생장과 토양 중 질소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3 (23): 111-122, 2009

      6 김영선, "사포닌과 아미노산 함유비료의 살포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잔디학회 26 (26): 54-59, 2012

      7 김영선, "골프장에 사용되는 4가지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한국잔디학회 24 (24): 205-210, 2010

      8 유민준, "골프 코스관리 비용 분석" 한국잔디학회 23 (23): 61-76, 2009

      9 이종진, "Trichoderma 종 미생물비료 시비에 따른 Creeping bentgrass 생육 및 품질 향상" 한국잔디학회 4 (4): 249-255, 2015

      10 Park, K.W.,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low releasing fertilizer using Korean nature clay minerals" 5 (5): 135-140, 1986

      1 강성수, "총각무와 옥수수 재배시 SCB액비 시용수준이 토양화학성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4 (44): 1306-1313, 2011

      2 이창훈,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의 고추에 대한 시비효과 평가" 한국환경농학회 26 (26): 228-232, 2007

      3 김영선, "완효성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토양 중 질소함량 변화 및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3 (23): 101-110, 2009

      4 이경보, "완효성비료 시용 논 토양중의 질소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 38 (38): 157-163, 2005

      5 김영선, "완효성 질소 비료의 시비가 크리핑 벤트그래스 생장과 토양 중 질소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3 (23): 111-122, 2009

      6 김영선, "사포닌과 아미노산 함유비료의 살포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잔디학회 26 (26): 54-59, 2012

      7 김영선, "골프장에 사용되는 4가지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한국잔디학회 24 (24): 205-210, 2010

      8 유민준, "골프 코스관리 비용 분석" 한국잔디학회 23 (23): 61-76, 2009

      9 이종진, "Trichoderma 종 미생물비료 시비에 따른 Creeping bentgrass 생육 및 품질 향상" 한국잔디학회 4 (4): 249-255, 2015

      10 Park, K.W.,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low releasing fertilizer using Korean nature clay minerals" 5 (5): 135-140, 1986

      11 Ahn, Y. T., "Standard and practice for management in golf course"

      12 Guillard, K., "Nitrogen fertilizer from and associated nitrate leaching from cool-season lawn turf" 33 : 1822-1827, 2004

      13 NIAST(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IAST, RDA 1998

      14 Kussow, W. R., "Evidence, Regulation, and Consequences of Nitrogen-Driven Nutrient Demand by Turfgrass" 10 : 1-9, 2012

      15 이상국, "Evaluation of Various Slow-release Nitrogen Sources for Growth and Establishment of Poa pratensis L. on Sand-based Systems" 한국잔디학회 24 (24): 145-148, 2010

      16 Cheong, J.I., "Effects of slow 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on rice grain at different culture methods" 41 (41): 286-294, 1996

      17 Lee, E. T., "Effects of a slow-release fertilizer on onion (Allium cepa L.) cultivation in south western area" 19 (19): 476-482, 2001

      18 Arnon, D.I.,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a vulgaris" 24 (24): 1-15, 1949

      19 Kim, J. W., "An introduction to soil and fertilizer" Sunjin Press 240-258,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1-06-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잔디학회지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4 0.59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