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속도로 노선별 사업효과 분석 (Ⅰ)  :  (Highway Impact Analysis by Each Expresswa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4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otal length of freeway networks reaches 1,900km at present since Kyung-In line was constructed in 1968 In this study we are trying to construct optimal alternative-selecting system on expressway construction plans in future through total and systematic estimation and analysis on regional & nationwide derect & indirect effects in past. The effects on expressway construction are divided into direct ones which include operation cost-down, trip time shortening, traffic accident variation, the change of fuel consumption and air-pollution emmission and indirect ones which include the socio-economic effect like land-using change, regional development. With that past, analysis, construction effect estimation models can be built and could be used effect forcasting on construction in future. In addition, objective validation obtainment on expressway constructions contributes to lift up public-thinking on Korea Highway Corporation. In case of direct effect analysis, the study-period is considered for 10-years from present. In case of indirect analysis it's study-period is for 18 years from 1970 to1998. In relation to direct effect analysis, freeway traffic analysis models including networks and O/D etc. was built for effect estimation. And for effect estimation, items were selected and unit & models for effect calculation was constructed. For indirect effect analysis we collected all data inside freeway-affecting areas and accomplished input & analysis in use of digital map and GIS. In base of analysing methods and survey in this year, we will accomplish direct and indirect analysis in next year.
      번역하기

      The total length of freeway networks reaches 1,900km at present since Kyung-In line was constructed in 1968 In this study we are trying to construct optimal alternative-selecting system on expressway construction plans in future through total and syst...

      The total length of freeway networks reaches 1,900km at present since Kyung-In line was constructed in 1968 In this study we are trying to construct optimal alternative-selecting system on expressway construction plans in future through total and systematic estimation and analysis on regional & nationwide derect & indirect effects in past. The effects on expressway construction are divided into direct ones which include operation cost-down, trip time shortening, traffic accident variation, the change of fuel consumption and air-pollution emmission and indirect ones which include the socio-economic effect like land-using change, regional development. With that past, analysis, construction effect estimation models can be built and could be used effect forcasting on construction in future. In addition, objective validation obtainment on expressway constructions contributes to lift up public-thinking on Korea Highway Corporation. In case of direct effect analysis, the study-period is considered for 10-years from present. In case of indirect analysis it's study-period is for 18 years from 1970 to1998. In relation to direct effect analysis, freeway traffic analysis models including networks and O/D etc. was built for effect estimation. And for effect estimation, items were selected and unit & models for effect calculation was constructed. For indirect effect analysis we collected all data inside freeway-affecting areas and accomplished input & analysis in use of digital map and GIS. In base of analysing methods and survey in this year, we will accomplish direct and indirect analysis in next ye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30여년간 건설된 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1998년 1월 현재 약 1,900km에 달한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가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친 직, 간접적인 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정 및 분석함으로써 고속도로 건설시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효과는 직접효과부분과 그에 수반되어서 나타나는 토지이용변화나 지역개발의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등의 간접효과로 크게 나뉜다. 이를 토대로 고속도로 건설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계량모형을 개발하여 향후 건설되는 고속도로 건설효과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코자 한다. 아울러 이처럼 직, 간접적으로 국가 및 지역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고속도로 건설에 대한 객관적인 타당성을 확보하게 되며, 아울러 우리공사에 대한 대국민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직접효과의 경우 과거 10년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여 그 기간동안의 주요 고속도로 개통후 1년후를 분석년도로 설정하였다. 간접효과의 경우에는 고속도로의 개통년도(1970년)부터 1998년까지를 분석년도로 설정하였다. 직접효과연구와 관련해서는 직접효과 산정을 위한 Network 및 O/D 등을 포함하는 고속도로교통분석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직접효과항목을 선정하고 이를 산정하기 위한 원단위 및 계량모형을 구축하였다. 간접효과와 관련해서는 영향권내의 각종 자료들을 조사, 수집하고 이들 자료들을 수치지도와 GIS 등을 통하여 입력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년도의 분석방법론과 조사결과를 토대로 차기년도에는 고속도로 건설에 대한 직, 간접효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수행될 것이다.
      번역하기

      지난 30여년간 건설된 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1998년 1월 현재 약 1,900km에 달한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가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친 직, 간접적인 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정 및 분석함...

      지난 30여년간 건설된 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1998년 1월 현재 약 1,900km에 달한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가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친 직, 간접적인 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정 및 분석함으로써 고속도로 건설시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효과는 직접효과부분과 그에 수반되어서 나타나는 토지이용변화나 지역개발의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등의 간접효과로 크게 나뉜다. 이를 토대로 고속도로 건설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계량모형을 개발하여 향후 건설되는 고속도로 건설효과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코자 한다. 아울러 이처럼 직, 간접적으로 국가 및 지역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고속도로 건설에 대한 객관적인 타당성을 확보하게 되며, 아울러 우리공사에 대한 대국민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직접효과의 경우 과거 10년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여 그 기간동안의 주요 고속도로 개통후 1년후를 분석년도로 설정하였다. 간접효과의 경우에는 고속도로의 개통년도(1970년)부터 1998년까지를 분석년도로 설정하였다. 직접효과연구와 관련해서는 직접효과 산정을 위한 Network 및 O/D 등을 포함하는 고속도로교통분석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직접효과항목을 선정하고 이를 산정하기 위한 원단위 및 계량모형을 구축하였다. 간접효과와 관련해서는 영향권내의 각종 자료들을 조사, 수집하고 이들 자료들을 수치지도와 GIS 등을 통하여 입력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년도의 분석방법론과 조사결과를 토대로 차기년도에는 고속도로 건설에 대한 직, 간접효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수행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
      • 1.3 연구의 수행방법
      • 제2장 고속도로 건설효과 및 분석기법 검토
      • 2.1 고속도로 효과분석의 개념과 의의
      • 2.2 고속도로효과 산정의 이론적 검토
      • 2.3 교통망체계와 공간구조의 변화산정
      • 2.4 고속도로효과 산정방법
      • 2.5 기존연구 검토
      • 제3장 고속도로 직접효과산정 모형 구축
      • 3.1 고속도로 교통분석모형 구축
      • 3.2 고속도로 직접효과 계량모형 구축
      • 제4장 고속도로의 사회, 경제 효과분석
      • 4.1 개요
      • 4.2 인구의 집중과 분산
      • 4.3 생활권 변화의 유도
      • 4.4 고용기회의 확대
      • 4.5 산업활동의 지원
      • 4.6 지역발전의 촉진
      • 4.7 정보화사회의 실현
      • 제5장 고속도로 건설에 의한 환경영향
      • 5.1 서론
      • 5.2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환경 저해(훼손) 요인
      • 5.3 환경친화적 고속도로 건설 사업 수행
      • 5.4 사후 고속도로 주변 환경유지 관리
      • 5.5 고속도로 사업에 따른 환경영향 효과 분석
      • 제6장 고속도로 건설에 의한 기술개발
      • 6.1 아스팔트포장 분야
      • 제7장 고속도로 직접효과산정
      • 7.1 수송의 효율화
      • 7.2 고속도로 유, 무에 따른 통행경로 검토
      • 제8장 연구추진계획
      • 8.1 직접효과 분야
      • 8.2 간접효과 분야
      • 참고문헌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