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막에 관한 간본문적(intertextual) 연구 : 하나님이 거하시는 성소에 관한 구약성서와 중간기 문헌들, 신약성서의 증언 = An Intertextual Study of the Tabernac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40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성막이 들려주는 말씀 사이의 목소리는 하나님께서 이 땅 위에 거하실 하늘 성전의 재현, 제의적ㆍ종교적 언약이 성취되는 현장, 고통 가운데에서 붙들어간 신앙 공동체의 정체성, 공동체를 새롭게 창조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부활, 나아가 ‘그 때에’ 다시 임할 하나님 나라를 담고 있다. 연구자는 성막을 재현하는데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닌 성서 텍스트 전반에 나타난 성막의 이미지와 전승을 간본문적으로, 곧 말씀 사이의 연구를 통해 파악해야 한다. 성막은 하나님과 인간이 관계 맺어 온 발자국 그 자체이다.
      번역하기

      성막이 들려주는 말씀 사이의 목소리는 하나님께서 이 땅 위에 거하실 하늘 성전의 재현, 제의적ㆍ종교적 언약이 성취되는 현장, 고통 가운데에서 붙들어간 신앙 공동체의 정체성, 공동체를...

      성막이 들려주는 말씀 사이의 목소리는 하나님께서 이 땅 위에 거하실 하늘 성전의 재현, 제의적ㆍ종교적 언약이 성취되는 현장, 고통 가운데에서 붙들어간 신앙 공동체의 정체성, 공동체를 새롭게 창조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부활, 나아가 ‘그 때에’ 다시 임할 하나님 나라를 담고 있다. 연구자는 성막을 재현하는데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닌 성서 텍스트 전반에 나타난 성막의 이미지와 전승을 간본문적으로, 곧 말씀 사이의 연구를 통해 파악해야 한다. 성막은 하나님과 인간이 관계 맺어 온 발자국 그 자체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1.2. 연구범위 및 서술방법 4
      • 1.3. 논문 구성 6
      • 2. 방법론들(Methodologies) 8
      • 1. 서론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1.2. 연구범위 및 서술방법 4
      • 1.3. 논문 구성 6
      • 2. 방법론들(Methodologies) 8
      • 2.1. 성서 비평: 통시(通時)에서 공시(共時)로 8
      • 2.1.1. 합리주의와 역사 실증주의 발달: 통시적 접근 9
      • 2.1.2. 하나님의 말씀으로 읽기: 공시적 접근 10
      • 2.1.3. 성막 텍스트에 대한 공시적 해석의 적용 가능성 12
      • 2.2. 발전된 의미의 간본문적 연구(Intertextual Study) 13
      • 2.2.1. Intertextual(사이), Intratextual(안과 형식), Innertextual(속과 내용) 14
      • 2.2.2. 말씀 사이의 연구(intertextual study) 15
      • 2.2.3. 말씀의 형식과 그 안에서의 연구(intratextual study) 18
      • 2.2.4. 말씀의 내용과 그 속에서의 연구(innertextual study) 20
      • 2.2.5. 통합: 의의 및 적용 방안 23
      • 3. 성막 텍스트(출 25~31, 35~40)에 대한 간본문적 연구사 29
      • 3.1. 초기 “말씀 사이의 연구” 방향의 태동 29
      • 3.1.1. 필로와 오리게네스 30
      • 3.1.2. 종교개혁 이후 시대(post-Reformation Period) 32
      • 3.2. 역사 비평적 접근(Historical Criticism) 33
      • 3.2.1. 율리우스 벨하우젠과 S. R. 드라이버 34
      • 3.2.2. 폰 라트 그리고 므나헴 하란 36
      • 3.3. 공시적 해석을 통한 텍스트의 연결 39
      • 3.3.1. 브레바드 차일즈 39
      • 3.3.2. 움베르토 카수토 그리고 나훔 사르나 42
      • 3.3.3. 테렌스 프레타임 그리고 사이몬 베이콘 44
      • 3.4. 본격적인 ‘말씀 사이’의 연구 46
      • 3.4.1. 차일즈의 새로운 시도 46
      • 3.4.2. 크레이그 쾨스터 47
      • 3.4.3. 쾨스터 이후의 연구 49
      • 4. 성막에 관한 본문 안, 속, 사이의 연구(Intertextual Study) 51
      • 4.1. 성막 텍스트들의 선정 및 소개 51
      • 4.2. 구약성서(the Old Testament) 54
      • 4.2.1. 출애굽기 25장 8~9절 54
      • 4.2.1.1. 용어이해: 성막과 회막에 대한 어원, 전승사 분석 54
      • 4.2.1.2. 성막 텍스트의 전체 맥락과 구조 57
      • 4.2.1.3. 출애굽기 25장 8~9절 본문의 소리 듣기 61
      • 4.2.1.4. LXX와의 비교 연구 68
      • 4.2.2. DtrH: 사무엘하 6장 17절 72
      • 4.2.2.1. 신명기적 역사(DtrH) 속 성막의 맥락 72
      • 4.2.2.2. 사무엘하 6장 17절 본문의 소리 듣기 79
      • 4.2.2.3. 법궤와 성막의 이중주(duet) 80
      • 4.2.3. 시편 78편 60~69절 84
      • 4.2.3.1. 시편 78편 60~69절 본문의 소리 듣기 86
      • 4.2.3.2. 시온에 계승되는 성막, 시편이 되새기는 시내산 88
      • 4.2.4. 에스겔 11장 16절 91
      • 4.2.4.1. 에스겔 11장 16절 본문의 소리 듣기 92
      • 4.2.4.2. 성막: 회복될 이상적인 성소의 지향점 94
      • 4.2.5. 역대기(Chronicles): 역대상 21장 28절~22장 1절 100
      • 4.2.5.1. 역대기계 역사 속 성막의 맥락 100
      • 4.2.5.2. 역대상 21장 28절~22장 1절 본문의 소리 듣기 101
      • 4.2.5.2. 성막을 계승하는 성전. 성막과 성전의 앙상블(ensemble) 103
      • 4.2.6. 종합: 구약성서 속 성막 텍스트 109
      • 4.3. 중간기 문헌들(Intertestamental Writings) 113
      • 4.3.1. 토비트(Tobit) 13장 10절 114
      • 4.3.1.1. 마카비 시대 이전까지의 맥락 114
      • 4.3.1.2. 토비트 13장 10절 본문의 생김새 115
      • 4.3.1.3. 다시 세워질 성소의 모델 116
      • 4.3.2. 집회서(Wisdom of Sirach) 24장 117
      • 4.3.2.1. 집회서 24장 4, 8, 10절 본문의 생김새 117
      • 4.3.2.2. 모세의 성막, 지혜의 거처 118
      • 4.3.3. 성전 두루마리(Temple Scroll, 11QTem) 29단락 8~10절 120
      • 4.3.3.1. 성전 두루마리 29:8~10절 본문의 생김새 120
      • 4.3.3.2. 새 시대의 성소: 시내산의 계승 121
      • 4.3.4. 제1에녹서(1 Enoch) 89~90장 123
      • 4.3.4.1. 제1에녹서 89:32~36, 40, 50; 90:29 본문의 생김새 124
      • 4.3.4.2. 에녹서의 비유: 성막을 중심으로 한 회복과 구원 125
      • 4.3.5. 희년서(Jubilees) 1장, 49장 127
      • 4.3.5.1. 희년서 1:10; 49:18, 21 본문의 생김새 128
      • 4.3.5.2. 성막으로 되새기는 모세의 전통 128
      • 4.3.6. 지혜서(Wisdom of Solomon) 9장 8~10절 130
      • 4.3.6.1. 지혜서의 맥락: 상징적 해석 131
      • 4.3.6.2. 지혜서 9장 8~10절 본문의 생김새 132
      • 4.3.6.3. 성막: 창조세계를 계승하는 지혜의 근원 133
      • 4.3.7. 종합: 중간기 문헌들 속 성막 텍스트 135
      • 4.4. 신약성서(the New Testament) 139
      • 4.4.1. 사도행전 7장 44~50절 140
      • 4.4.1.1. 사도행전 7장 44~50절 본문의 소리 듣기 140
      • 4.4.1.2. 반성전적 경건(Anti-Temple Piety) 143
      • 4.4.2. 요한복음 1장 14절 145
      • 4.4.2.1. 요한복음 1장 14절 본문의 소리 듣기 146
      • 4.4.2.2. 성막(tabernacle)의 동사(動詞)적 활용 149
      • 4.4.3. 히브리서 8장 1~6절 151
      • 4.4.3.1. 히브리서 8장 1~6절 본문의 소리 듣기 152
      • 4.4.3.2. 성막에 대한 유형론(typology)적 접근 155
      • 4.4.4. 요한계시록 21장 3절 157
      • 4.4.4.1. 요한계시록 21장 3절 본문의 소리 듣기 157
      • 4.4.4.2. 새 예루살렘, 새로운 성막 159
      • 4.4.5. 종합: 신약성서 속 성막 텍스트 161
      • 5. 결론 164
      • 참고문헌(Bibliography) 169
      • ABSTRACT 1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