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력해방이 어려워지면서 북한은 한국 내에서의 혁명에 치중해왔고 한국의 민주주의 정치체제가 보장하는 정치적 자유를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선거를 통한 친북 정권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87273
2007
-
보수주의 ; 진보주의 자유주의 ; 민주주의 ; 민족주의 ; 국제주의 ; conservatism ; progressivism ; liberalism ; democracy ; nationalism ; internationalism
349
KCI등재
학술저널
5-21(1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무력해방이 어려워지면서 북한은 한국 내에서의 혁명에 치중해왔고 한국의 민주주의 정치체제가 보장하는 정치적 자유를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선거를 통한 친북 정권의 ...
무력해방이 어려워지면서 북한은 한국 내에서의 혁명에 치중해왔고 한국의 민주주의 정치체제가 보장하는 정치적 자유를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선거를 통한 친북 정권의 창출을 위해 온 국력을 다 쏟고 있다. 북한의 이러한 사상공세에 대한 대한민국 수호세력의 대응이 한국사회내의 남남갈등이라는 사상투쟁의 핵심이다.<BR> 한국내의 사상투쟁은 ‘보수 대 혁신’이라 위장된 좌우 투쟁이다. 노무현 정권과 여당 측에서는 개혁, 혁신이라는 구호가 대중에게는 ‘좋은 방향으로의 변화’라 비쳐지고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지지획득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 자기 측을 혁신, 그리고 ‘대한민국 수호세력’을 수구로 밀어붙이고 ‘보혁갈등’이라는 표현을 유행시키고 있다.<BR> 남남갈등에서 정작 문제가 되는 것은 ‘보수’의 모호성이다. ‘혁신 세력’은 잘 정비된 체계화된 급진 혁명 이데올로기로 무장된 세력인데 반하여 보수는 체계적인 이념을 갖춘 정치 이데올로기라고 하기보다는 단지 마음의 상태(state of mind)라고 보아야 한다. 지지자를 규합하여 세력화하는 데에는 크게 힘을 쓰지 못해 왔다. 한국의 보수는 좌파의 이념적 도전에 대하여 안이하게 대처해 왔다.<BR> 한국의 보수는 개개인의 자유와 인권, 인간적 존엄성을 존중하는 자유민주주의자들이란 점에서는 미국의 신보수주의자와 가깝고 구체제를 옹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영국 보수주의자와 다르다. 또한 한국 보수는 강한 자유주의(liberalism) 및 반공주의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개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모든 전체주의에 반대한다.<BR> 한국사회를 이념의 혼란으로 몰고 가고 있는 보수-진보의 사상투쟁에서 한쪽 끝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의 보수가 보-혁 투쟁에서 자신 있게 나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국 보수의 이념성향과 가치정형을 하나의 체계적 정치이념으로 다듬을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liberating South Koreans through force became virtually impossible, North Korea has focused more on a "peaceful revolution" in South Korea. Taking advantage of South Korean democratic system that allows political freedom, P...
Since liberating South Koreans through force became virtually impossible, North Korea has focused more on a "peaceful revolution" in South Korea. Taking advantage of South Korean democratic system that allows political freedom, Pyongyang leadership has been pouring all of its energy in establishing pro-North Korean regimes through national election. Reaction against this North Korean politicking from the people who are determined to protect the national identity marks essence of the current ideological struggle in South Korean society.<BR> In the South-South fight between the liberals and the conservatives, the problem lies in the "vagueness" of conservatism. While the so-called "innovative" liberals are equipped with well organized ideology, conservatism is no more than a state of mind rather than a systematized political ideology. The conservatives in Korea have been unwilling to deal with the leftists" ideological challenge, particularly in mobilizing political forces.<BR> The Korean conservatism is close to American neo-conservatism in that both respect human rights and political freedom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British conservatism that attempted to protect ancien r gime. Struggle between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is driving the Korean society toward an ideological confusion. Korean conservatism should be arranged into a well systemized set of political ideology, should it be able to go out and fight confidently against the pro-North Korean leftis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 보수주의와 유교" 서울: 인간사랑 1999
2 "중간은 없다 : 마거릿 대처의 생애와 정치" 서울: 기파랑 2007
3 "에드먼드 버크의 보수주의"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7
4 "변화하는 이념지형" 한국일보 2006.12.18
5 "미국 신보수주의 외교이념의 구성과 주장" 서울: 사회평론 181-206, 2005
6 "국민통일의식 변화의 시계열적 비교분석"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2007.10
7 "易經大傳新解" 北京: 當代 世界出版社 2005
8 "Great Ideas and Grand Schemes: Political Ideologies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New York: McGraw-Hill 2007
9 "Edmund Burke and Critique of Political Radicalism" Basil Black well 1980
10 "Defeat in Victory, Victory in Defeat: The South Korean Conservatives in Democratic Consolidation" 2007.10.23
1 "한국 보수주의와 유교" 서울: 인간사랑 1999
2 "중간은 없다 : 마거릿 대처의 생애와 정치" 서울: 기파랑 2007
3 "에드먼드 버크의 보수주의"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7
4 "변화하는 이념지형" 한국일보 2006.12.18
5 "미국 신보수주의 외교이념의 구성과 주장" 서울: 사회평론 181-206, 2005
6 "국민통일의식 변화의 시계열적 비교분석"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2007.10
7 "易經大傳新解" 北京: 當代 世界出版社 2005
8 "Great Ideas and Grand Schemes: Political Ideologies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New York: McGraw-Hill 2007
9 "Edmund Burke and Critique of Political Radicalism" Basil Black well 1980
10 "Defeat in Victory, Victory in Defeat: The South Korean Conservatives in Democratic Consolidation" 2007.10.2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신아세아질서연구회 -> 신아시아연구소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신아세아외국어명 : NEW ASIA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4 | 1.035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