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이지 초기 수도 도쿄의 청국인 관리- ‘재류청국인민적패규칙(在留淸國人民籍牌規則)’ 시행을 중심으로 - = The Chinese in Tokyo in the early Meiji period - regulations for Chinese during the absence of the Chinese consulate in Japa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4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regulations for Chinese during the absence of the Chinese consulate in Japan, focusing on the capital city, Tokyo. Tokyo was Japan’s only ‘open city(開市)’ in the era of ‘foreign settlements’. Unlike ‘open ports(開港)’, foreigners has been allowed temporary residence for commercial activities only, and no foreign trade vessels have been allowed to enter the Tokyo. Thus, unlike other open ports, Tokyo was limited to develop into the trade port, and expand the foreign settlement as well.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re were many “foreign employees(お雇い外國人)” in Tokyo. The “foreign employees” were invited and hired to pursue the Japan’s modernization policy, and naturally gathered in Tokyo, the center of politics and diplomacy. This phenomenon can be seen in Chinese in Tokyo as well, who accounted for half of the foreign population in Japan at that time. Many of those who received a registration card(sekihai 籍牌) under the “regulations for Chinese (sekihai-kisoku 籍牌規則)” in Tokyo, were those employed by Mitsubishi. Interestingly, the number of registration cards issued to them was well above the actual number of Chinese in Tokyo at the time. This is because the Chinese hired by Mitsubishi were not actually reside in Tokyo, but worked on the Mitsubishi’s steamboats. It shows that the regulations for Chinese has been strictly enforced.
      Regulations for Chinese are also showing the multi-layered of Chinese in Tokyo. The regulation divided Chinese into two status, upper and lower classes and collected different fees for them.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enforcing the regulations, Chinese are divided into managers and those who are subject to management. Due to the absence of the Chinese consulate, it was possible for Japan to implement its own system of managing the Chinese, but had to bear administrative costs for the implement of the regulations and to cooperate with the Chinese communities in Japan.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regulations for Chinese during the absence of the Chinese consulate in Japan, focusing on the capital city, Tokyo. Tokyo was Japan’s only ‘open city(開市)’ in the era of ‘foreign settlements’. Unlike ‘open ports...

      This article examines the regulations for Chinese during the absence of the Chinese consulate in Japan, focusing on the capital city, Tokyo. Tokyo was Japan’s only ‘open city(開市)’ in the era of ‘foreign settlements’. Unlike ‘open ports(開港)’, foreigners has been allowed temporary residence for commercial activities only, and no foreign trade vessels have been allowed to enter the Tokyo. Thus, unlike other open ports, Tokyo was limited to develop into the trade port, and expand the foreign settlement as well.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re were many “foreign employees(お雇い外國人)” in Tokyo. The “foreign employees” were invited and hired to pursue the Japan’s modernization policy, and naturally gathered in Tokyo, the center of politics and diplomacy. This phenomenon can be seen in Chinese in Tokyo as well, who accounted for half of the foreign population in Japan at that time. Many of those who received a registration card(sekihai 籍牌) under the “regulations for Chinese (sekihai-kisoku 籍牌規則)” in Tokyo, were those employed by Mitsubishi. Interestingly, the number of registration cards issued to them was well above the actual number of Chinese in Tokyo at the time. This is because the Chinese hired by Mitsubishi were not actually reside in Tokyo, but worked on the Mitsubishi’s steamboats. It shows that the regulations for Chinese has been strictly enforced.
      Regulations for Chinese are also showing the multi-layered of Chinese in Tokyo. The regulation divided Chinese into two status, upper and lower classes and collected different fees for them.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enforcing the regulations, Chinese are divided into managers and those who are subject to management. Due to the absence of the Chinese consulate, it was possible for Japan to implement its own system of managing the Chinese, but had to bear administrative costs for the implement of the regulations and to cooperate with the Chinese communities in Jap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메이지 초기 도쿄에서의 외국인 관리 문제를 청국인에 초점을 맞추어, 청국 영사관이 설치되기 전까지 시행된 ‘재류청국인민적패규칙(在留淸國人民籍牌規則. 이하, ‘적패규칙’으로 약칭함)’의 운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도쿄는 개국 일본의 유일한 ‘개시장’이었다. 개시장은 원칙적으로 상업 활동을 위한 외국인의 일시적인 거주〔逗留〕만을 인정하고 외국 무역선의 입항을 허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개항장과 구별된다. 따라서 개시장 도쿄는 다른 개항장과 달리 ‘무역항’으로 성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외국인 거류지 또한 협소한 범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 같은 한계 속에서 도쿄 재류외국인의 존재 양상도 다른 개항장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외국인 인구 규모 자체는 작았으나 정치, 외교 중심지인 도쿄에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초빙, 고용한 ‘고용 외국인’이 집주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고용 외국인의 존재는 당시 재류외국인의 절반을 차지하던 청국인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도쿄에서 ‘적패규칙’에 따라 적패를 발급받고 수수료를 제출한 청국인 가운데 상당수가 미쓰비시에 고용된 청국인이었다. 흥미롭게도 이들에 대한 적패 발급 수량은 당시 도쿄 재류 실제 청국인 수를 훨씬 상회하였다. 이는 미쓰비시에 고용된 청국인들이 실제로 도쿄에 재류하는 것이 아니라 증기선에 승선하여 일했기 때문이다. ‘적패규칙’이 실제 거주하지 않는 청국인까지 관리 대상으로 하여 엄격히 시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적패규칙’은 재류 청국인의 신분을 상, 하 등급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수수료를 징수하였는데, 발급 대상에 대한 신분 구별뿐 아니라 적패규칙 시행 과정에서 ‘관리하는 청국인/관리받는 청국인’의 양상이라는 재류 청국인 내부의 다층성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 측은 재류청국인의 자치조직인 회소·회관의 청국인 대표〔總代〕에게 적패규칙 운영 업무의 일부를 위임시켰으나, 이와는 별도로 단속 관리인으로서 청국인을 고용할 필요가 있었다. 청국 영사의 부재에 따라, 일본 측은 ‘적패규칙’을 통해 독자적인 청국인 관리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운용을 위한 행정적 비용을 부담해야만 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자치조직을 이용하고자 한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메이지 초기 도쿄에서의 외국인 관리 문제를 청국인에 초점을 맞추어, 청국 영사관이 설치되기 전까지 시행된 ‘재류청국인민적패규칙(在留淸國人民籍牌規則. 이하, ‘적패규칙’...

      본고는 메이지 초기 도쿄에서의 외국인 관리 문제를 청국인에 초점을 맞추어, 청국 영사관이 설치되기 전까지 시행된 ‘재류청국인민적패규칙(在留淸國人民籍牌規則. 이하, ‘적패규칙’으로 약칭함)’의 운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도쿄는 개국 일본의 유일한 ‘개시장’이었다. 개시장은 원칙적으로 상업 활동을 위한 외국인의 일시적인 거주〔逗留〕만을 인정하고 외국 무역선의 입항을 허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개항장과 구별된다. 따라서 개시장 도쿄는 다른 개항장과 달리 ‘무역항’으로 성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외국인 거류지 또한 협소한 범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 같은 한계 속에서 도쿄 재류외국인의 존재 양상도 다른 개항장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외국인 인구 규모 자체는 작았으나 정치, 외교 중심지인 도쿄에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초빙, 고용한 ‘고용 외국인’이 집주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고용 외국인의 존재는 당시 재류외국인의 절반을 차지하던 청국인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도쿄에서 ‘적패규칙’에 따라 적패를 발급받고 수수료를 제출한 청국인 가운데 상당수가 미쓰비시에 고용된 청국인이었다. 흥미롭게도 이들에 대한 적패 발급 수량은 당시 도쿄 재류 실제 청국인 수를 훨씬 상회하였다. 이는 미쓰비시에 고용된 청국인들이 실제로 도쿄에 재류하는 것이 아니라 증기선에 승선하여 일했기 때문이다. ‘적패규칙’이 실제 거주하지 않는 청국인까지 관리 대상으로 하여 엄격히 시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적패규칙’은 재류 청국인의 신분을 상, 하 등급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수수료를 징수하였는데, 발급 대상에 대한 신분 구별뿐 아니라 적패규칙 시행 과정에서 ‘관리하는 청국인/관리받는 청국인’의 양상이라는 재류 청국인 내부의 다층성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 측은 재류청국인의 자치조직인 회소·회관의 청국인 대표〔總代〕에게 적패규칙 운영 업무의 일부를 위임시켰으나, 이와는 별도로 단속 관리인으로서 청국인을 고용할 필요가 있었다. 청국 영사의 부재에 따라, 일본 측은 ‘적패규칙’을 통해 독자적인 청국인 관리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운용을 위한 행정적 비용을 부담해야만 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자치조직을 이용하고자 한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국, "재류 청국인의 일본 내지여행 문제-청일수호조규하의 청・일 대등 관계에 대한 일고찰-" 일본사학회 (47) : 77-106, 2018

      2 西川武臣, "開國日本と橫濱中華街" 大修館書店 2012

      3 菱谷武平, "長崎外國人居留地の硏究" 九州大學出版會 1988

      4 岩壁義光, "近代日本の形成と展開" 巖南堂書店 1998

      5 橋本誠一, "近代日本における外國人處遇-外事警察を中心に" 44 (44): 1996

      6 築地居留地硏究會, "近代化の原點 築地居留地 1~4" 2011

      7 靑山治世, "近代中國の在外領事とアジア" 名古屋大學出版會 2014

      8 ユネスコ東アジア文化硏究センター, "資料御雇外國人" 小學館 1975

      9 伊藤泉美, "講座 明治維新 第6卷 明治維新と外交" 有志舍 2017

      10 中華會館, "落地生根-神戶華僑と神阪中華會館の百年" 硏文出版 2013

      1 조국, "재류 청국인의 일본 내지여행 문제-청일수호조규하의 청・일 대등 관계에 대한 일고찰-" 일본사학회 (47) : 77-106, 2018

      2 西川武臣, "開國日本と橫濱中華街" 大修館書店 2012

      3 菱谷武平, "長崎外國人居留地の硏究" 九州大學出版會 1988

      4 岩壁義光, "近代日本の形成と展開" 巖南堂書店 1998

      5 橋本誠一, "近代日本における外國人處遇-外事警察を中心に" 44 (44): 1996

      6 築地居留地硏究會, "近代化の原點 築地居留地 1~4" 2011

      7 靑山治世, "近代中國の在外領事とアジア" 名古屋大學出版會 2014

      8 ユネスコ東アジア文化硏究センター, "資料御雇外國人" 小學館 1975

      9 伊藤泉美, "講座 明治維新 第6卷 明治維新と外交" 有志舍 2017

      10 中華會館, "落地生根-神戶華僑と神阪中華會館の百年" 硏文出版 2013

      11 東京都, "築地居留地" 東京都 1957

      12 川崎晴朗, "築地外國人居留地: 明治時代の東京にあった「外國」" 雄松堂出版 2002

      13 "神奈川縣史料"

      14 橫濱都市發展紀念館, "港をめぐる二都物語 江戶東京と橫濱" 2014

      15 "淸國人管理錄"

      16 "淸國人民取扱規則伺 (公文錄·明治七年·第二十三卷·明治七年四月·外務省伺"

      17 "本邦ニ淸國人領事館設置ニ付各港在留同國人犯罪其他取扱方關係雜件"

      18 大阪市, "明治大正大阪市史 제3권 經制編中" 日本評論社 1934

      19 洲脇一郞, "明治初期の神戶華商-兵庫縣の華僑政策と明治一〇年籍牌を中心として" 42 : 1988

      20 蒲地典子, "明治初年の長崎華僑" 20 : 1967

      21 布目潮渢, "日本華僑と文化摩擦" 巖南堂書店 1983

      22 "支那從民諸願屈 明治七年"

      23 "在留淸國人民籍牌規則竝に實施一件"

      24 斯波義信, "函館華僑關係資料集 E籍牌, 戶口, 商號等" 22 : 1982

      25 "兵庫縣史料"

      26 大日方純夫, "內務省年譜·報告書 제1권" 三一書房 1982

      27 "傭外國人員調錄 (外務課) 明治一四年下半ケ年分"

      28 蒲地典子, "中國人と日本人 交流·友好·反發の近代史" ミネルヴァ書房 2012

      29 三菱社誌刊行會, "三菱社誌" 東京大學出版會 1979

      30 三菱商事株式會社, "三菱商事社史 상권" 三菱商事 1986

      31 伊藤泉美, "一八八七年の橫濱外國人居留地における中國人-「明治一〇年在橫濱淸國人名簿」の分析" 33 : 2015

      32 梅溪昇, "お雇い外國人の硏究 上" 靑史出版 2010

      33 岩壁義光, "<史料紹介> 明治初期における在留淸國人籍牌關係史料-外務省記錄 『在留淸國人民籍牌規則竝に實施一件』" 16 : 1990

      34 "(復刻板)東京市史稿 市街編" 臨川書店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3 1.05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