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천 도서지역의 오버투어리즘 전조현상과대안적 방안 모색 - 강화군, 옹진군을 중심으로 - = Analysis of the Over-Tourism Phenomenon of Incheon Islands Area and Search for Alternative Plans - Focused on Ganghwa-gun, Ongjin-gu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4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finding and phenomenon of overtourism in Incheon islands area. Overtourism and touristification, which are emerging as global issues in recent years, are emerging all over the world. It is a phenomenon that the entrance of tourists exceeding the capacity of a tourist is turned into a sightseeing place due to the inflow of tourists and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locals is threatened. In the early 2000s, the natural environment in Europe was destroyed and the local culture of the tourist area was rapidly damaged.
      Incheon Metropolitan City is a marine environment city with 168 large and small coastal islands and tidal flats, natural environment and advanced international cit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the only maritime city in Korea that is capable of storytelling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and peace. This means that Incheon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as a tourist city that surpasses Jeju Island in the future, but it also means that the seriousness of the side effects caused by over tourism can not be sufficiently liberated. We tried to find an alternative to over tourism in Incheon Island through the case study of domestic and overseas over tourism and the case of overseas overcom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finding and phenomenon of overtourism in Incheon islands area. Overtourism and touristification, which are emerging as global issues in recent years, are emerging all over the world. It is a phenomen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finding and phenomenon of overtourism in Incheon islands area. Overtourism and touristification, which are emerging as global issues in recent years, are emerging all over the world. It is a phenomenon that the entrance of tourists exceeding the capacity of a tourist is turned into a sightseeing place due to the inflow of tourists and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locals is threatened. In the early 2000s, the natural environment in Europe was destroyed and the local culture of the tourist area was rapidly damaged.
      Incheon Metropolitan City is a marine environment city with 168 large and small coastal islands and tidal flats, natural environment and advanced international cit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the only maritime city in Korea that is capable of storytelling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and peace. This means that Incheon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as a tourist city that surpasses Jeju Island in the future, but it also means that the seriousness of the side effects caused by over tourism can not be sufficiently liberated. We tried to find an alternative to over tourism in Incheon Island through the case study of domestic and overseas over tourism and the case of overseas overcom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천 도서지역의 오버투어리즘 실태와 전조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최근 글로벌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과 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수용력을 초과하는 관광객의 유입으로 인하여 현지인의 터전이 관광지화 되고 이로 인해 현지인들의 주거환경이 위협받는 현상을 의미한다. 2000년대 초반 유럽에서 자연환경이 파괴되고 관광지의 지역문화 훼손 등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자성의 목소리와 함께 비판의 의미를 담은 용어로 쓰이고 있다.
      인천광역시는 168개의 크고 작은 연안 도서와 갯벌을 간직한 천연 자연환경과 첨단국제도시를 갖춘 해양환경도시이다. 특히 생태환경과 역사, 평화 등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국내 유일의 해양도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앞으로 인천이 제주도를 능가하는 관광도시로서의 발전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하기도 하지만,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부작용의 심각성에서도 충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국내외 오버투어리즘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함과 동시 해외의 극복사례를 통해 인천 도서지역의 오버투어리즘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인천 도서지역의 오버투어리즘 실태와 전조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최근 글로벌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과 투어리스...

      본 연구는 인천 도서지역의 오버투어리즘 실태와 전조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최근 글로벌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과 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수용력을 초과하는 관광객의 유입으로 인하여 현지인의 터전이 관광지화 되고 이로 인해 현지인들의 주거환경이 위협받는 현상을 의미한다. 2000년대 초반 유럽에서 자연환경이 파괴되고 관광지의 지역문화 훼손 등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자성의 목소리와 함께 비판의 의미를 담은 용어로 쓰이고 있다.
      인천광역시는 168개의 크고 작은 연안 도서와 갯벌을 간직한 천연 자연환경과 첨단국제도시를 갖춘 해양환경도시이다. 특히 생태환경과 역사, 평화 등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국내 유일의 해양도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앞으로 인천이 제주도를 능가하는 관광도시로서의 발전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하기도 하지만,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부작용의 심각성에서도 충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국내외 오버투어리즘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함과 동시 해외의 극복사례를 통해 인천 도서지역의 오버투어리즘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

      2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

      3 "통계청"

      4 佐木雅幸, "창조도시를 디자인하라: 도시의 문화정책과 마을만들기" 미세움 2010

      5 김영국, "제주 투어리스티피케이션 현상이 지역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제주본부 2017

      6 강화군, "제58회 강화군 기초통계" 도서출판 쉼터 2017

      7 강화군, "제57회 강화군 기초통계" 도서출판 쉼터 2017

      8 강화군, "제56회 강화군 기초통계" 도서출판 쉼터 2016

      9 강화군, "제55회 강화군 기초통계" 도서출판 쉼터 2015

      10 옹진군, "제 55회 옹진군 기초통계" 2015

      1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

      2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

      3 "통계청"

      4 佐木雅幸, "창조도시를 디자인하라: 도시의 문화정책과 마을만들기" 미세움 2010

      5 김영국, "제주 투어리스티피케이션 현상이 지역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제주본부 2017

      6 강화군, "제58회 강화군 기초통계" 도서출판 쉼터 2017

      7 강화군, "제57회 강화군 기초통계" 도서출판 쉼터 2017

      8 강화군, "제56회 강화군 기초통계" 도서출판 쉼터 2016

      9 강화군, "제55회 강화군 기초통계" 도서출판 쉼터 2015

      10 옹진군, "제 55회 옹진군 기초통계" 2015

      11 옹진군, "제 54회 옹진군 기초통계" 2014

      12 옹진군, "제 53회 옹진군 기초통계" 2013

      13 옹진군, "제 52회 옹진군 기초통계" 2012

      14 인천광역시, "인천의 갯벌과 간척" 인천시역사자료관 2009

      15 인천광역시, "인천연안도서 해양환경 조사 및 보전·관리 계획 수립" 2007

      16 "인천광역시"

      17 인천광역시, "인천 앞바다 바로알기: 2004년도 해양탐사보고서" 2004

      18 인천광역시, "인천 앞바다 바로알기: 2003년도 해양탐사보고서" 2003

      19 "옹진군청"

      20 옹진군편찬위원회, "옹진군지 상하" 2012

      21 손신욱, "오버투어리즘에 따른 정책적 대응과 지속가능한 관광산업 발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경영학회 22 (22): 331-354, 2018

      22 이서현,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 전조 현상과 경계 제주언론의 ‘제주사람들의 삶’ 뒤돌아보기" 한국언론정보학회 88 : 77-109, 2018

      23 이훈, "오버투어리즘 현상의 이해와 향후 과제" (73) : 70-78, 2018

      24 한국관광문화연구원,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방향"

      25 옹진군, "연평도 포격사건 백서" 2012

      26 김선희, "에코투어리즘, 녹색성장 실천수단으로 부각-일본 에코투어리즘추진법과 전국대회 추진사례" (219) : 1-8,

      27 강화군 강화편찬위원회, "신편강화사" 광창문화사 2015

      28 부산발전연구원, "부산시 오버투어리즘을 방지하려면" 1-12, 2018

      29 박경옥, "부산시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과잉관광)을 방지하려면" 1-12, 2008

      30 조관연, "바르셀로나 관광 문제와 사회적 리얼리티: <바이, 바이 바르셀로나>를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7) : 127-146, 2017

      31 노형래, "바다 그리고 섬을 품다, -현장기자가 본 10년간의 섬 이야기" ㈜이너스 2012

      32 유영현, "국내 관광지의 오버투어리즘 현상에 관한 고찰: 서울 북촌 한옥마을과 제주도 애월읍, 우도면을 중심으로" 155-158, 2019

      33 안지현,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인과순환 구조와 정책지렛대 탐색 - 북촌일대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2 (42): 91-116, 2018

      34 "강화군청"

      35 강화군, "강화군군정백서" 2017

      36 UNWTO, "‘Overtourism’: growth is not the enemy, it is how we manage it"

      37 R. Stanchev, "The most affected European destinations by over-tourism" 1-36, 2018

      38 H. Goodwin, "The challenge of overtourism:, Responsible Tourism Partnership" 1-19,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3 1.05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