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2: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에서의 동적 발생 이론과 클라인, 프로이트, 라캉 정신분석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Schizo-Analysis (Deleuze), Psychoanalysis and Hegel’s Philosophy 2: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uze’s Theory of the Dynamic Genesis in The Logic of Sense and Psychoanalysis (Klein, Freud, Lac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2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leuze’s discussions are not friendly, and psychoanalysts’ systematic criticisms to his reception of psychoanalysis is hardly to be found. In order to fill in these academical gaps, this paper aims to give a critical discussions on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uze’s philosophy, psychoanalysis and Hegel’s philosophy. Especially, it is in The Logic of Sense that Deleuze quotes psychoanalytical theories very extensively. I tried to elucidate and re-interpre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ic and dynamic genesis from the perspective of Hegel’s philosophy. In doing this, I simultaneously focused myself on the fact that Deleuze quoted extensively not only Klein’s concept of the schizoid position’, but also Freud’s theory of the drives and primary narcissism in order to give a theoretical basis to his theory of the dynamic genesis. This papers also tried to reconstruct Deleuze’s way of the reception of the psychoanalysis, and further to show that he had to additionally borrow the concept the urethral erogenous zone and the body without organs in order to make for his selective and inconsistent employment of psychoanalytic theories, revealing that his narrow or twisted reception of psychoanalysis merely serves for giving foundation of his ontological thesis, univocity of being. This paper is also intended to give a systematical critical answer to Deleuzian critique or reception of the psychoanalysis.
      번역하기

      Deleuze’s discussions are not friendly, and psychoanalysts’ systematic criticisms to his reception of psychoanalysis is hardly to be found. In order to fill in these academical gaps, this paper aims to give a critical discussions on the problem of...

      Deleuze’s discussions are not friendly, and psychoanalysts’ systematic criticisms to his reception of psychoanalysis is hardly to be found. In order to fill in these academical gaps, this paper aims to give a critical discussions on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uze’s philosophy, psychoanalysis and Hegel’s philosophy. Especially, it is in The Logic of Sense that Deleuze quotes psychoanalytical theories very extensively. I tried to elucidate and re-interpre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ic and dynamic genesis from the perspective of Hegel’s philosophy. In doing this, I simultaneously focused myself on the fact that Deleuze quoted extensively not only Klein’s concept of the schizoid position’, but also Freud’s theory of the drives and primary narcissism in order to give a theoretical basis to his theory of the dynamic genesis. This papers also tried to reconstruct Deleuze’s way of the reception of the psychoanalysis, and further to show that he had to additionally borrow the concept the urethral erogenous zone and the body without organs in order to make for his selective and inconsistent employment of psychoanalytic theories, revealing that his narrow or twisted reception of psychoanalysis merely serves for giving foundation of his ontological thesis, univocity of being. This paper is also intended to give a systematical critical answer to Deleuzian critique or reception of the psychoanaly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들뢰즈의 정신분석에 대한 논의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으며, 이에 대한 정신분석가 또는 정신분석 연구자의 체계적인 대답이나 반비판은 사실상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러한 학문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정신분석, 들뢰즈 철학 및 헤겔 철학과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비판적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의미의 논리󰡕에서 들뢰즈는 동적 발생 이론을 설명하면서 정신분석을 광범위하게 활용했다. 본 논문은 정적 발생과 동적 발생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헤겔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면서, 들뢰즈가 동적 발생의 설명을 위해 프로이트는 물론 특히 클라인 정신분석을 광범위하게 원용했음에 주목한다. 들뢰즈는 사건이 발생하는 형이상학적 표면을 연역하는 동적 발생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정신분석으로부터 특히 클라인의 분열적 위치, 프로이트의 충동 및 일차적 나르시시즘 이론, 라캉의 팔루스 개념을 빌려왔다. 이 논문은 우선 들뢰즈의 정신분석 수용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수용이 궁극적으로 존재의 일의성 논제를 확립하기 위해 선택적이며 비일관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정신분석 수용의 이러한 비일관성을 해소하기 위해 그가 요도 성애와 아르토의 기관 없는 신체 개념을 차용했음을 보일 것이다. 이 논문은 들뢰즈의 정신분석 수용이 궁극적으로 존재의 일의성 논제를 확립하는 데 활용되고 있을 뿐이며, 따라서 그의 정신분석 수용, 비판 및 재해석은 과도하게 편향화되었고, 그의 존재론은 프로이트나 클라인이 말하는 무의식 또는 이드의 차원에만 적용되는 제한된, 따라서 협소한 형이상학임을 드러낼 것이다. 이 논문은 들뢰즈의 정신분석 비판에 대한 정신분석적 입장에서의 이론적이며 체계적인 반비판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번역하기

      들뢰즈의 정신분석에 대한 논의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으며, 이에 대한 정신분석가 또는 정신분석 연구자의 체계적인 대답이나 반비판은 사실상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 필자...

      들뢰즈의 정신분석에 대한 논의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으며, 이에 대한 정신분석가 또는 정신분석 연구자의 체계적인 대답이나 반비판은 사실상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러한 학문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정신분석, 들뢰즈 철학 및 헤겔 철학과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비판적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의미의 논리󰡕에서 들뢰즈는 동적 발생 이론을 설명하면서 정신분석을 광범위하게 활용했다. 본 논문은 정적 발생과 동적 발생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헤겔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면서, 들뢰즈가 동적 발생의 설명을 위해 프로이트는 물론 특히 클라인 정신분석을 광범위하게 원용했음에 주목한다. 들뢰즈는 사건이 발생하는 형이상학적 표면을 연역하는 동적 발생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정신분석으로부터 특히 클라인의 분열적 위치, 프로이트의 충동 및 일차적 나르시시즘 이론, 라캉의 팔루스 개념을 빌려왔다. 이 논문은 우선 들뢰즈의 정신분석 수용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수용이 궁극적으로 존재의 일의성 논제를 확립하기 위해 선택적이며 비일관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정신분석 수용의 이러한 비일관성을 해소하기 위해 그가 요도 성애와 아르토의 기관 없는 신체 개념을 차용했음을 보일 것이다. 이 논문은 들뢰즈의 정신분석 수용이 궁극적으로 존재의 일의성 논제를 확립하는 데 활용되고 있을 뿐이며, 따라서 그의 정신분석 수용, 비판 및 재해석은 과도하게 편향화되었고, 그의 존재론은 프로이트나 클라인이 말하는 무의식 또는 이드의 차원에만 적용되는 제한된, 따라서 협소한 형이상학임을 드러낼 것이다. 이 논문은 들뢰즈의 정신분석 비판에 대한 정신분석적 입장에서의 이론적이며 체계적인 반비판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ell. D., "현대적 관점의 클라인 정신분석" 눈출판그룹 2019

      2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3 Bion, W. R., "제2의 사고" 눈출판그룹 2018

      4 Laplanche. J., "정신분석사전" 열린책들 2005

      5 Deleuze, G., "의미의논리" 한길사 1999

      6 G. Deleuze, "의미의 논리" 한길사 1999

      7 Lacan, J., "에크리" 새물결 2019

      8 Deleuze. J., "안티 오이디푸스" 민음사 1997

      9 홍준기,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1: 잠재성, 차이, 부정성, 모순, 강도, 미분, 무의식, 죽음충동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3 (23): 185-226, 2021

      10 홍준기, "라캉, 클라인, 자아심리학" 새물결 2017

      1 Bell. D., "현대적 관점의 클라인 정신분석" 눈출판그룹 2019

      2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3 Bion, W. R., "제2의 사고" 눈출판그룹 2018

      4 Laplanche. J., "정신분석사전" 열린책들 2005

      5 Deleuze, G., "의미의논리" 한길사 1999

      6 G. Deleuze, "의미의 논리" 한길사 1999

      7 Lacan, J., "에크리" 새물결 2019

      8 Deleuze. J., "안티 오이디푸스" 민음사 1997

      9 홍준기,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1: 잠재성, 차이, 부정성, 모순, 강도, 미분, 무의식, 죽음충동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3 (23): 185-226, 2021

      10 홍준기, "라캉, 클라인, 자아심리학" 새물결 2017

      11 Faukner. K. W., "들뢰즈와 세 가지 시간의 종합" 그린비 2008

      12 Hardt, M., "들뢰즈 사상의 진화" 갈무리 2004

      13 Villani, A., "들뢰즈 개념어 사전" 갈무리 2012

      14 Hegel, G. W. F., "『대논리학』 III" 벽호 1997

      15 Hegel, G. W. F., "『대논리학』 I" 벽호 1997

      16 Freud. S., "Zur Einführung des Narzissmus. G.W. Bd. X" Fisher Verlag 1967

      17 Freud. S., "Vorlesungen zur Einführung in die Psychoanalyse. G.W. Bd. XI" Fisher Verlag 1967

      18 Freud. S., "Totem und Tabu. G.W. Bd. IX" Fisher Verlag 1967

      19 Klein, M., "The Oedipus Complex in the Light of Early Anxieties. Love, Guilt and Reparation and Other Works. 1921-1945" Horgath Press 1975

      20 Meltzer, D., "The Kleinian Development. Part 1. Freud’s Clinical Development" The Harris Meltzer Trust 2018

      21 Freud. S., "Massenpsychologie und Ich-Analyse. G.W. Bd. XIII" Frankfurt am Main 1967

      22 Deleuze, G, "Masochism:Coldness and Cruelty. Venus in Furs" Jone Books 1991

      23 Lacan, J., "Le Séminaire livre XVII, L'envers de la psychanalyse" Seuil 1991

      24 Williams, J., "Gilles Deleuze’s Logic of Sens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8

      25 Klein, M., "Envy and Gratitude and Other Works 1946–1963" Karnack Books 1993

      26 Freud. S., "Drei Abhandlungen zur Sexualtheorie. G.W. Bd. V" Fisher Verlag 1967

      27 Freud. S., "Das Ich und Es. G.W. Bd. XIII" Fisher Verlag 19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Lacan And Contemporary Psychoanalysis -> The Korean Society for Contemporary Psychoanalysis
      KCI등재
      2017-1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 현대정신분석
      외국어명 : Journal of Lacan & Contemporary Psychoanalysis -> 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6 1.7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