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보건진료원 업무현황 및 업무향상활동 = Roles of Primary Health Practitioner and Activities to Increase the Job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66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activities and efforts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Method: This study employed descriptive exploratory design. The sample consisted of 1,892 commu...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activities and efforts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Method: This study employed descriptive exploratory design. The sample consisted of 1,892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which was 90% of population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dows 10.0. Result: The most popular activitie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were women's health,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management, elderly health, and outpatient care of primary health care. The activities that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want to strengthen were outpatient care, disease prevention, rehabilitation, health promotion, and counseling. The efforts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were consult to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discussion with patient and families to choose effective treatment options,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knew that they were exposed to malpractice and hould try to make many effort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Conclusion: The roles and activitie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should be changed to the shift of health care environment and syst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직접관찰법에 의한 보건진료원의 활동분석" 1986

      2 "일부지역 보건진료원의 진료내용에 관한 연구" 1995

      3 "우리나라 保建診療員制度의 經濟性 分析" 1993

      4 "보건진료원의 활용 현황과 기능 개선 방안" 1999

      5 "보건진료원의 업무 분석에 관한 연구-충청남도 보건진료원을 대상으로-" 26 (26): 83-97, 1987

      6 "보건진료원의 보건의료서비스 공급에 관한 관련요인분석" 18 (18): 153-161, 1998

      7 "보건진료원 활동의 비용-편익 분석" 32 (32): 435-446, 2002

      8 "보건진료원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경기도 관내 보건진료원을 중심으로-" 3 (3): 18-37, 1989

      9 "보건진료원 직무교육 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일 연구" 22 (22): 207-226, 1992

      10 "보건진료원 제도 운영 평가에 관한 연구" 24 (24): 568-583, 1994

      1 "직접관찰법에 의한 보건진료원의 활동분석" 1986

      2 "일부지역 보건진료원의 진료내용에 관한 연구" 1995

      3 "우리나라 保建診療員制度의 經濟性 分析" 1993

      4 "보건진료원의 활용 현황과 기능 개선 방안" 1999

      5 "보건진료원의 업무 분석에 관한 연구-충청남도 보건진료원을 대상으로-" 26 (26): 83-97, 1987

      6 "보건진료원의 보건의료서비스 공급에 관한 관련요인분석" 18 (18): 153-161, 1998

      7 "보건진료원 활동의 비용-편익 분석" 32 (32): 435-446, 2002

      8 "보건진료원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경기도 관내 보건진료원을 중심으로-" 3 (3): 18-37, 1989

      9 "보건진료원 직무교육 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일 연구" 22 (22): 207-226, 1992

      10 "보건진료원 제도 운영 평가에 관한 연구" 24 (24): 568-583, 1994

      11 "보건진료원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 1991

      12 "보건진료소지역주민의 건강상태변화조사" 29 (29): 175-183, 1986

      13 "보건복지지표" 보건복지부 통계자료 : 2001

      14 "박연구 농어촌 벽지 보건진료원 투입요원과 순효과 분석 한국인고보건연구원" 1988

      15 "농어촌 일차보건의료사업 연구보고서-지도감독체계 및 보건진료소 이용도 평가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85

      16 "地域住民들을 통해서 본 保健診療員 事業實態" 1983

      17 "Qualitative distinctions and similarities in the practice of clinical nurse specialists and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es" 313-326, 1993

      18 "Family nursing research:theory and practice nurses" 9 : 254-, 1993

      19 "Content and process in clinical decision making by nurse practitioners" 153-258, 1992

      20 "21세기 초 한국의 인구구조 및 질병 양상" 27 (27): 175-185, 1994

      21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보도자료" 통계청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98 2.98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6 2.96 4.5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