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淸시기의 여가 소비는 性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男性觀이 主流였던 당시 사회에서 여성의 여가 소비는 흔히 비판의 대상으로 간주되었지만, 남성은 자유로이 여가 소비를 즐길 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明淸시기의 여가 소비는 性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男性觀이 主流였던 당시 사회에서 여성의 여가 소비는 흔히 비판의 대상으로 간주되었지만, 남성은 자유로이 여가 소비를 즐길 수 ...
明淸시기의 여가 소비는 性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男性觀이 主流였던 당시 사회에서 여성의 여가 소비는 흔히 비판의 대상으로 간주되었지만, 남성은 자유로이 여가 소비를 즐길 수 있었다. 이와 같은 性別에 따른 차이는 男性特質을 가진 소비문화를 형성했다. 본문에서는 明淸시기 士大夫들을 여가 소비의 주체로 파악했고, 소비의 시점에서 ‘男性特質’을 살펴보고자 했다.
제1절에서는 婦女의 여가 생활에 대한 明淸시기 士大夫의 비판적인 입장을 살펴보았다. 전통적인 禮制教化를 강조하는 明淸시기 사회에서 女性의 활동공간은 男性과 떨어져 있어야 했다. 따라서 남성들의 입장에서 婦女가 향을 사르고 참배를 한다거나 여행을 하는 활동은 제창할 바가 되지 못했다. 남성들은 여성이 자기들의 여행활동에 개입하는 것은 아주 범속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明淸시기 순무를 비롯한 여러 관료들은 각종 규범을 제정하여 婦女들의 그러한 활동을 금지시키고자 했다. 사실 이러한 것은 한편으로는 明淸시기 부녀들의 여가 소비에 대한 주동성과 능력을 보여주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대부들의 그러한 현상에 대한 초조하고 불안한 마음을 표현했던 것이다.
제2절에서는 明淸시기 士大夫의 여행활동과 그러한 것에 따른 男性特質을 고찰했다. 明淸시기 사대부들의 여가 활동에서 여행은 아주 중요했는데, 그들은 여행을 통해서 많은 친분을 쌓았다. 명 중기의 陽明學者 명 말기의 泰州․東林 學者들이 바로 여행을 매개로 학술적인 교류를 했다. 말하자면 명대의 이러한 社交的 여행은 전대에 비하여 더욱 빈번하고 편리했던 것이다. 청대에도 이러한 여행은 계속 지속되었다. 그러나 청초에 일부 사대부들은 여행을 매개로 反淸集會를 조직했는데, 이러한 것으로 인하여 여행활동은 한동안 청 조정으로부터 금지되었다. 그렇다고 하여 청대에 여행활동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당시 관원들 사이의 정기적인 동반여행은 아주 보편적이었다. 그 외에도 가족들이 동반여행을 하는 일도 많이 존재했는데, 아이들은 이러한 여행에서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 여성들도 가끔 남성들의 여행에 참여했지만, 그들은 대부분 妓女거나 연극을 하는 배우들이었다. 明淸시기 여행활동은 대부분 대도시에 집중되었다.
제3절에서는 李日華․祁彪佳․吳騫․茂苑居士의 日記를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明淸시기 士大夫의 물품구입 취향과 그에 따른 男性特質을 고찰했다. 明淸시기 士大夫들은 여가생활에서 서적․그림․꽃․골동품을 구입하여 소장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서적이 인기가 제일 많았다. 이러한 물품의 구입 경로는 두 가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상인들이 직접 士大夫들이 거주하는 곳에 와서 물품을 판매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士大夫가 직접 도시의 시장이나 상점에서 물품을 구입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물품을 거래하는 것은 社交의 과정이기도 했는데, 士大夫들은 거래를 통하여 상인들과 어울렸고, 그들로부터 시장의 정보를 접수했다. 이처럼 明淸시기 士大夫들은 서적․그림․꽃․골동품을 위주로 구입하는데, 이러한 것은 여성들과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남성들의 구매활동은 자유롭고, 거래의 빈도와 공간에서도 여성들이 비할 바가 되지 못했다.
제4절에서는 士大夫․商人 階層의 公享的 소비문화와 그에 따른 男性特質을 고찰했다. 男性消費文化는 많은 사람들의 참여 ...
참고문헌 (Reference)
1 有關明代學者重友倫的研究, "陽明學士人社群──歷史、思想與實踐" 中研院近代史研究所 2003
2 "金焦同遊圖記"
3 尤侗, "遊虞山記, in 古今遊記叢鈔(四)" 中華書局 37-38, 1924
4 李流芳, "遊虎邱小記, in 檀園集,收入《景印文淵閣四庫全書》冊1295" 臺灣商務印書館據國立故宮博物院 6a-6b, 1983
5 鄭之僑, "農桑易知錄, 明清廣東稀見筆記七種, in 農桑善後事宜" 125-,
6 譚元春, "譚友夏合集,收在《四庫全書存目叢書》集部別集類冊191, in 再游烏龍潭記" 莊嚴文化事業據上海圖書館 16a-16b, 1995
7 "論中國婦女之苦"
8 相關的研究, "試析明代後期江南商賈及其子弟的文人化現象──從方用彬談起" (3) : 157-172, 2005
9 王世貞, "觚不觚錄,收在《筆記小說大觀》5編4冊" 新興書局 9a-, 1974
10 祝時泰, "西湖八社詩帖,收在《武林掌故叢編》(清光緒七年錢塘丁氏嘉惠堂刊本), in 序" 1a-,
1 有關明代學者重友倫的研究, "陽明學士人社群──歷史、思想與實踐" 中研院近代史研究所 2003
2 "金焦同遊圖記"
3 尤侗, "遊虞山記, in 古今遊記叢鈔(四)" 中華書局 37-38, 1924
4 李流芳, "遊虎邱小記, in 檀園集,收入《景印文淵閣四庫全書》冊1295" 臺灣商務印書館據國立故宮博物院 6a-6b, 1983
5 鄭之僑, "農桑易知錄, 明清廣東稀見筆記七種, in 農桑善後事宜" 125-,
6 譚元春, "譚友夏合集,收在《四庫全書存目叢書》集部別集類冊191, in 再游烏龍潭記" 莊嚴文化事業據上海圖書館 16a-16b, 1995
7 "論中國婦女之苦"
8 相關的研究, "試析明代後期江南商賈及其子弟的文人化現象──從方用彬談起" (3) : 157-172, 2005
9 王世貞, "觚不觚錄,收在《筆記小說大觀》5編4冊" 新興書局 9a-, 1974
10 祝時泰, "西湖八社詩帖,收在《武林掌故叢編》(清光緒七年錢塘丁氏嘉惠堂刊本), in 序" 1a-,
11 沈德符, "萬曆野獲編" 中華書局 1997
12 茂苑居士, "茂苑日記,收於《歷代日記叢抄》冊33" 學苑出版社 2006
13 近人徐儒宗所, "羅洪先集" 鳳凰出版社 2007
14 錢辰, "籥翁日記" 上海圖書館
15 捧花生, "秦淮畫舫錄, 艷史叢鈔" 廣文書局 281-, 1991
16 祁彪佳, "祁忠敏公日記" 紹興縣修志委員會 1937
17 焦竑, "玉堂叢語, in 遊覽" 中華書局 250-252, 1982
18 錢謙益, "牧齋初學集, in 瞿少潛哀辭" 上海古籍出版社 1690-, 1985
19 汪琬, "游馬駕山記, in 小方壺齋輿地叢鈔(清光緒三年至十三年上海著易堂排印本)" 126-,
20 梁章鉅, "浪跡叢談, in 下河舟中雜詩" 福建人民出版社 23-24, 1983
21 "江蘇省例, in 嚴禁婦女入館飲茶" 同治己巳江蘇書局
22 "民國《吳縣誌》,收入《中國方志叢書》華中地方.第18號, in 風俗二" 成文出版社 9b-, 1970
23 歸莊, "歸莊集, in 詩詞.支硎山" 上海古籍出版社 107-, 2010
24 王應奎, "柳南隨筆.續筆, in 金天石" 中華書局 201-20, 1983
25 吳其貞, "書畫記,收在《四庫禁燬書叢刊補編》冊34" 北京出版社據故宮博物院圖書館 2005
26 林麗月, "晚明「儒商」與地域社會:《明代徽州方氏親友手札》的考察, in 近世中國的社會與文化(960~1800)論文集" 國立臺灣師範大學歷史學系 467-508, 2007
27 費元祿, "晁采館清課,收在《筆記小說大觀》編14冊4" 新興書局 6b-, 1989
28 費絲言, "明清的城市空間與城市化研究"
29 陳學文, "明清時期商業書及商人書之研究" 214-216,
30 有關此書的介紹, "明清時期商業書及商人書之研究" 洪葉文化 149-165, 1997
31 朴元熇, "明清徽州宗族史研究:歙縣方氏的個案研究(中文修訂版)"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23-139, 2009
32 汪崇篔, "明清徽商經營淮鹽考略" 巴蜀書社 229-, 2008
33 寺田隆信, "明代郷紳の硏究" 京都大学学術出版会 352-365, 2009
34 陳智超, "明代徽州方氏親友手札七百通考釋" 安徽大學出版社 2001
35 有關明代士大夫集會結社的旅遊活動, "明人的旅遊生活" 明史硏究小組出版 156-162, 2004
36 "據明人錢希言所 《戲瑕》,收入《四庫全書存目叢書》子部雜家類冊97, in ,〈稱姬〉記載,明代江南地區稱婦女為「姬」" 莊嚴文化事業據安徽省圖書館 12a-13b, 1995
37 何炳棣, "揚州鹽商:十八世紀中國商業資本的研究" (2) : 59-76, 1999
38 姚鼐, "惜抱軒全集, in 登泰山記" 世界書局 1984
39 鄭材, "悅偃齋文集, in 九日請客啟" 日本京都大學人文科學研究所 4b-,
40 李日華, "恬致堂詩話,收在《四庫全書存目叢書》集部詩文評類冊417" 莊嚴文化 10a-10b, 1995
41 馮夢楨, "快雪堂集,收入《四庫全書存目叢書》集部別集類冊165" 莊嚴文化事業據北京大學圖書館 1997
42 王孝詠, "後海書堂雜錄,收在《四庫全書存目叢書》子部雜家類冊116, in 名實相溷" 莊嚴文化事業據中國科學院圖書館 32a-32b, 1995
43 陳其元, "庸閑齋筆記" 中華書局 233-, 1997
44 康熙, "康熙《天臺治略》,收入《中國方志叢書》華中地方.第65號, in 告示" 成文出版社據康熙 471-473-, 1970
45 劉侗, "帝京景物略" 上海古籍出版社 88-, 2001
46 "帝京景物略"
47 "崇禎《吳縣志》,收入《天一閣藏明代方志選刊續編》第15-19冊, in 風俗" 上海書店 4b-5a, 1990
48 錢泳, "履園叢話, in 收藏.總論" 中華書局 261-262, 1979
49 錢泳, "履園叢話, in 惡俗.出會" 中華書局 576-577, 1979
50 顧起元, "客座贅語, in 民利" 中華書局 67-, 1987
51 孔尚任, "孔尚任詩文集, in 郭匡山廣陵贈言序" 中華書局 459-, 1962
52 巫仁恕, "婦女與奢侈──一個明清婦女消費研究史的初步檢討" 13 : 69-82, 2003
53 巫仁恕, "奢侈的女人:明清時期江南婦女的消費文化" 三民書局 2005
54 汪道昆, "太函集,明故太學生吳用良墓誌銘" 1104-,
55 汪道昆, "太函集, in 記八首.豐干社記" 黃山書社 1481-, 2004
56 憺漪子, "天下路程圖引" 山西人民出版社 408-, 1992
57 程春宇, "士商類要, 明代驛站考"
58 張長虹, "品鑒與經營:明末清初徽商藝術贊助硏究" 北京大學出版社 2010
59 李日華, "味水軒日記" 上海遠東出版社 1996
60 吳騫, "吳兔床日記,收於《歷代日記叢抄》" 學苑出版社 2006
61 "同治《蘇州府志》,收入《中國方志叢書》華中地方.第5號" 成文出版社 14a-14b, 1970
62 寂園叟, "匋雅" 山東畫報出版社 131-, 2010
63 "光緒《蘇州府志》,收入《中國方志叢書》華中地方.第5號" 成文出版社 1970
64 趙懷玉, "亦有生齋集文卷,收入《續修四庫全書》集部別集類冊1480, in 遊西山記" 上海古籍出版社據據遼寧省圖書館 8a-, 1995
65 謝肇淛, "五雜俎, in 地部二" 偉文圖書出版社 96-, 1977
66 "乾隆《吳縣志》, in 風俗" 蘇州圖書館 10-12,
67 余英時, "中國近世宗教倫理與商人精神" 聯經出版公司 1987
68 吳承明, "中國資本主義與國內市場"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50-, 1985
69 俞劍華, "中國美術家人名辭典" 上海人民美術出版社 1110-, 1981
70 余象斗, "三臺萬用正宗, 中國日用類書集成 冊3-5, in 商旅門.棉夏布" 汲古書院據東京大學東洋文化研究所 326-, 2000
71 余象斗, "三臺萬用正宗, in 商旅門.紗羅緞匹" 327-328,
72 黃汴, "一統路程圖記, 明代驛站考" 上海古籍出版社 203-, 1994
73 Kam Louie, "Theorising Chinese Masculinity: Society and Gender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74 Kai-wing Chow, "The Merging of Shi and Shang in Travel: The Production of Knowledge for Travel in Late Ming Book" 6 (6): 163-182, 2011
75 Giovanni Vitiello, "The Libertine's Friend : Homosexuality and Masculinity in Late Imperial Chin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76 Crag Clunas, "Superfluous Things: Material Culture and Social Status in Early Modern Chi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6-49, 1991
77 Martin W. Huang, "Negotiating Masculinities in Late Imperial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78 Paola Zamperini, "Lost Bodies: Prostitution and Masculinity in Chinese fiction" Brill 2010
명말 청초 經史학파의 專制的 帝國체제 비판 ― 黃宗羲와 顧炎武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서해 북단 해역의 경계와 島嶼 문제 ― 海浪島와 薪島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6 | 1.76 | 1.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0.99 | 1.77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