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웹툰을 활용한 과거 회상 표현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던’,‘-았/었던’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25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기 어려워하는‘-던’과‘-았/었던’을 효과적으로 교수 학습하기 위하여 웹툰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어 교육에서의 웹툰의 유용성에 대해 살피고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나는‘-던’과‘-았/었던’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웹툰을 활용하여 과거 회상 표현을 나타내는 10가지 장면을 만들고 26명의 중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과거 회상 표현 중‘-던’과‘-았/었던’사용에 대한 연구 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설문과 심층 면담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던’과‘-았/었던’을 구분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특히‘-던’을 사용하는 데 오류가 많다는 사실을 밝히고 과거 회상 표현 교육에서 웹툰을 활용하는 것의 유용성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웹툰을 활용하여 -던’과‘-았/었던’의 교수 학습 자료를 구성하고 과제 기반 모형(TTT)으로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웹툰의 한국어 교육적 유용성을 밝히고‘-던’과‘-았/었던’을 교수 학습하는 방안으로 웹툰을 활용하여 실제적인 교육 자료와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시한 교수 학습 모형을 실제 수업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것은 한계점이다. 본 연구 이후에도 한국어 교육에서 웹툰을 활용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기 어려워하는‘-던’과‘-았/었던’을 효과적으로 교수 학습하기 위하여 웹툰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기 어려워하는‘-던’과‘-았/었던’을 효과적으로 교수 학습하기 위하여 웹툰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어 교육에서의 웹툰의 유용성에 대해 살피고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나는‘-던’과‘-았/었던’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웹툰을 활용하여 과거 회상 표현을 나타내는 10가지 장면을 만들고 26명의 중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과거 회상 표현 중‘-던’과‘-았/었던’사용에 대한 연구 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설문과 심층 면담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던’과‘-았/었던’을 구분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특히‘-던’을 사용하는 데 오류가 많다는 사실을 밝히고 과거 회상 표현 교육에서 웹툰을 활용하는 것의 유용성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웹툰을 활용하여 -던’과‘-았/었던’의 교수 학습 자료를 구성하고 과제 기반 모형(TTT)으로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웹툰의 한국어 교육적 유용성을 밝히고‘-던’과‘-았/었던’을 교수 학습하는 방안으로 웹툰을 활용하여 실제적인 교육 자료와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시한 교수 학습 모형을 실제 수업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것은 한계점이다. 본 연구 이후에도 한국어 교육에서 웹툰을 활용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effectively teaching and learning the Korean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teon’and‘-ass/eossten’, which learners of Korean often find difficult to use, by utilizing webtoon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usefulness of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s the appearances of‘-teon’and‘-ass/eossten’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dditionally, ten scenes depicting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 were created using webtoons, and a study was conducted involving 26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 Korean learners on the use of ‘-teon’ and ‘-ass/eossten’ in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ward. The findings reveal that Korean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teon’and‘-ass/eossten’and particularly make many errors in using‘-teon’. Furthermore, the usefulness of utilizing webtoons in teaching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 was examin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teon’ and‘-ass/eossten’using webtoons and suggests a task-based teaching model (TTT) for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educational benefits of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s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for‘-teon’and‘-ass/eossten’using webtoons.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inabili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aching model through actual classroom appli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further research on the use of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effectively teaching and learning the Korean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teon’and‘-ass/eossten’, which learners of Korean often find difficult to use, by utilizing webtoons. To achieve this, the study...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effectively teaching and learning the Korean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teon’and‘-ass/eossten’, which learners of Korean often find difficult to use, by utilizing webtoon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usefulness of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s the appearances of‘-teon’and‘-ass/eossten’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dditionally, ten scenes depicting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 were created using webtoons, and a study was conducted involving 26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 Korean learners on the use of ‘-teon’ and ‘-ass/eossten’ in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ward. The findings reveal that Korean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teon’and‘-ass/eossten’and particularly make many errors in using‘-teon’. Furthermore, the usefulness of utilizing webtoons in teaching past recollection expressions was examin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teon’ and‘-ass/eossten’using webtoons and suggests a task-based teaching model (TTT) for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educational benefits of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s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for‘-teon’and‘-ass/eossten’using webtoons.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inabili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aching model through actual classroom appli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further research on the use of webto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기존 논의 검토
      • 3. 웹툰을 활용한 과거 회상 표현 사용 조사
      • 4. 연구 조사 결과 분석
      • 5. 웹툰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안
      • 1. 서론
      • 2. 기존 논의 검토
      • 3. 웹툰을 활용한 과거 회상 표현 사용 조사
      • 4. 연구 조사 결과 분석
      • 5. 웹툰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안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