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儒佛交遊 양상과 배경에 대한 고찰-艸衣禪師 交遊詩를 中心으로- = A Study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Aspect−Centering of Choeui Zen priest’s Social Intercourse Po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46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ed with centering of Choeui Zen priest’s Social Intercourse poems about Mahayana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Aspect which was transcendental religion, thought and ideolog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way of ‘friendship road- truly acquaintance’ which seeks in Chinese literature.
      In the poetry world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Aspect of Choeui in this base, I identify the truly acquaintance of Myeongseon such as between Chusa Kim, Jeonghee and Haegeodoin Hong, Hyeonju, Hong, Seokju, Jaha Sinwi, Kim, Myeonghee and Myeongseon of buigyoyu, especially through Seon and Da and Si as a same year. In Insa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Dasan Jeongyakyong, Han, Gyori ,Ichanhakja and so on intercourse, praises relative and comments about Buddhist writings and intercourse the intrepidity of farewell and I confirm Insa intercourse of mourning in friend’s death going into Amitabha.
      As if the above, Choeui Zen priest can be seen as a trainee of Seungsokbuli, yubulbuli and he is informality and warm life person that features reveal his social intercourse aspect. Contemporary 21 century right point in time, aesthetics of communication has to re-illuminate, I expect to appear as a contemporary Cheongjeongbeopsinbul such as Choeui’s social intercourse spirit which conducts just like wind not catch net of ideology, study, and religion.
      번역하기

      This study considered with centering of Choeui Zen priest’s Social Intercourse poems about Mahayana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Aspect which was transcendental religion, thought and ideolog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

      This study considered with centering of Choeui Zen priest’s Social Intercourse poems about Mahayana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Aspect which was transcendental religion, thought and ideolog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way of ‘friendship road- truly acquaintance’ which seeks in Chinese literature.
      In the poetry world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Aspect of Choeui in this base, I identify the truly acquaintance of Myeongseon such as between Chusa Kim, Jeonghee and Haegeodoin Hong, Hyeonju, Hong, Seokju, Jaha Sinwi, Kim, Myeonghee and Myeongseon of buigyoyu, especially through Seon and Da and Si as a same year. In Insa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Dasan Jeongyakyong, Han, Gyori ,Ichanhakja and so on intercourse, praises relative and comments about Buddhist writings and intercourse the intrepidity of farewell and I confirm Insa intercourse of mourning in friend’s death going into Amitabha.
      As if the above, Choeui Zen priest can be seen as a trainee of Seungsokbuli, yubulbuli and he is informality and warm life person that features reveal his social intercourse aspect. Contemporary 21 century right point in time, aesthetics of communication has to re-illuminate, I expect to appear as a contemporary Cheongjeongbeopsinbul such as Choeui’s social intercourse spirit which conducts just like wind not catch net of ideology, study, and reli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문학에서 찾는 ‘友道-참 사귐’의 길에서 佛家와 儒家의 종교․사상․이념까지도 초월한 大乘的 儒佛 交遊의 위상을 고찰하였다. 초의선사의 유불불이 실천은 그의 『一枝盦詩藁』에 80여 수가 넘는 작품으로 남아 있었다. 초의선사의 시문학에 나타난 불이의 교유 양상에 대한 諸家의 평가는 唐宋八大家를 넘나드는 詩格․蔬筍氣를 벗어난 堅忍性의 詩氣․능소화가 홀로 핀 듯한 詩文․儒佛 涉獵의 학문적 詩名․同歸殊塗한 不二의 詩神․跡禪心儒의 圓融한 神語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한 초의의 유불 교유양상의 시세계에서는 不二交遊의 茗禪에서 특히 同年으로서 禪과 茶와 詩 등을 통해 교유한 秋史 金正喜 및 海居道人 洪顯周, 洪奭周, 紫霞 申緯, 金命喜 등과 茗禪의 참 사귐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儒佛 交遊의 人事에서는 茶山 丁若鏞, 韓校理, 理贊學者 등과 교유에서 상대를 찬미하고, 법문을 설하여 주고, 송별의 정한을 교유하고 아미타부처님 곁으로 떠나는 지인의 죽음을 애도한 인사의 교유를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僧俗不二․儒佛不二의 수행자이면서도 소탈하고 따뜻한 생활인이었던 초의선사의 면모를 그의 교유시 양상에서 밝혀 볼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문학에서 찾는 ‘友道-참 사귐’의 길에서 佛家와 儒家의 종교․사상․이념까지도 초월한 大乘的 儒佛 交遊의 위상을 고찰하였다. 초의선사의 유불불이 실천은 그의 『一枝盦...

      본 논문은 한문학에서 찾는 ‘友道-참 사귐’의 길에서 佛家와 儒家의 종교․사상․이념까지도 초월한 大乘的 儒佛 交遊의 위상을 고찰하였다. 초의선사의 유불불이 실천은 그의 『一枝盦詩藁』에 80여 수가 넘는 작품으로 남아 있었다. 초의선사의 시문학에 나타난 불이의 교유 양상에 대한 諸家의 평가는 唐宋八大家를 넘나드는 詩格․蔬筍氣를 벗어난 堅忍性의 詩氣․능소화가 홀로 핀 듯한 詩文․儒佛 涉獵의 학문적 詩名․同歸殊塗한 不二의 詩神․跡禪心儒의 圓融한 神語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한 초의의 유불 교유양상의 시세계에서는 不二交遊의 茗禪에서 특히 同年으로서 禪과 茶와 詩 등을 통해 교유한 秋史 金正喜 및 海居道人 洪顯周, 洪奭周, 紫霞 申緯, 金命喜 등과 茗禪의 참 사귐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儒佛 交遊의 人事에서는 茶山 丁若鏞, 韓校理, 理贊學者 등과 교유에서 상대를 찬미하고, 법문을 설하여 주고, 송별의 정한을 교유하고 아미타부처님 곁으로 떠나는 지인의 죽음을 애도한 인사의 교유를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僧俗不二․儒佛不二의 수행자이면서도 소탈하고 따뜻한 생활인이었던 초의선사의 면모를 그의 교유시 양상에서 밝혀 볼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美善, "韓國的 中國禪詩 受容美學" 2006

      2 鎌田茂雄, "韓國佛敎史" 民族社 1988

      3 韓國佛敎全書 編纂委員會, "韓國佛敎全書" 東國大學校 出版部 1989

      4 김미선, "韓國 禪詩의 歷史的 背景과 美意識" 한국한문학회 (63) : 7-37, 2016

      5 金正喜, "阮堂先生全集" 1995

      6 艸 衣, "草衣集" 寶蓮閣 1975

      7 艸 衣, "茶神傳" 1989

      8 艸 衣, "艸衣詩藁" 文星堂 1977

      9 김미선, "艸衣禪師의 茶詩 硏究" 한국사상문화학회 (72) : 57-80, 2014

      10 丁若鏞, "與猶堂全書" 1995

      1 金美善, "韓國的 中國禪詩 受容美學" 2006

      2 鎌田茂雄, "韓國佛敎史" 民族社 1988

      3 韓國佛敎全書 編纂委員會, "韓國佛敎全書" 東國大學校 出版部 1989

      4 김미선, "韓國 禪詩의 歷史的 背景과 美意識" 한국한문학회 (63) : 7-37, 2016

      5 金正喜, "阮堂先生全集" 1995

      6 艸 衣, "草衣集" 寶蓮閣 1975

      7 艸 衣, "茶神傳" 1989

      8 艸 衣, "艸衣詩藁" 文星堂 1977

      9 김미선, "艸衣禪師의 茶詩 硏究" 한국사상문화학회 (72) : 57-80, 2014

      10 丁若鏞, "與猶堂全書" 1995

      11 艸 衣, "禪門四辨漫語" 1989

      12 柳田聖山, "禪語錄" 中央公論社 1996

      13 陳 香, "禪詩六百首" 1985

      14 杜松栢, "禪詩三百首" 明文化事業公司 1980

      15 杜松栢, "禪與詩" 弘道書局 1975

      16 松本史郞, "禪思想의 批判的硏究" 大藏出版 1994

      17 杜松栢, "禪學與唐宋詩學" 黎明文化事業公司 1975

      18 境野勝悟, "禪の思想に 學ふ゛人間學" 致知出版社 1994

      19 艸 衣, "東茶頌" 1989

      20 金美善, "映湖禪師的禪詩" (6) : 2005

      21 김미선, "應松 「隨緣說法의 諸法門」 考察" 대각사상연구원 (25) : 143-166, 2016

      22 伊藤博之, "佛敎文學講座" 勉誠社 1994

      23 石破洋, "佛敎文學硏究論攷" 興英文化社 1995

      24 間中富士子, "佛敎文學 入門" 세계성전간행협회 1982

      25 艸 衣, "一枝庵詩藁,葦滄文庫本"

      26 艸 衣, "一枝庵詩藁" 寶蓮閣 1982

      27 艸 衣, "一枝庵文集"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