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덕교육이 ‘관계성’에 대한 이해를 근본적으로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나딩스의 ‘배려 관계’와 가다머의 ‘해석적 관계’에 주목한다. 배려 관계와 해석적 관계의 주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92573
2016
-
도덕교육 ; 관계성 ; 배려 ; 이해 ; 대화 moral education ; relationship ; caring ; understanding ; conversation
370
KCI등재
학술저널
49-69(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덕교육이 ‘관계성’에 대한 이해를 근본적으로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나딩스의 ‘배려 관계’와 가다머의 ‘해석적 관계’에 주목한다. 배려 관계와 해석적 관계의 주요...
본 연구는 도덕교육이 ‘관계성’에 대한 이해를 근본적으로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나딩스의 ‘배려 관계’와 가다머의 ‘해석적 관계’에 주목한다. 배려 관계와 해석적 관계의 주요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자는 상호 인격적 관계이다. 둘째, 의사소통에 임하는 개방적 자세가 중시된다. 셋째, 지속성과 확장성을 가지며, 그 안에서 발생하는 고통은 부정적이지 않다. 이를
바탕으로 도덕교육의 실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배려자이면서 해석자인 교사는 학생들에 대한 장기적인 기대를 가져야 한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그들의 질문에 주목하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타인에 대한 이해가 교육과정상의 주제로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끝으로, 학생들 간에 수용적이고 일상적인 대화가 장려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rgues that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is fundamental in moral education. To gain insight into moral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between Noddings’ caring relation and Gadamer’s hermeneutical rela...
This study argues that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is fundamental in moral education. To gain insight into moral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between Noddings’ caring relation and Gadamer’s hermeneutical relation.
First, Noddings and Gadamer characterize a relationship as mutual and respectable.
Second, in both perspectives of relationship, a person needs to be open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ird, they highlight the continuity and expansion of relationship. Finally, Noddings and Gadamer maintain that one's psychological pain or burden produced from relationship are not necessarily negative.
Based on theses similarities between caring relation and hermeneutical rela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in promoting moral education, which implies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First, teachers need to build their long-term expectations toward students. Second, teachers need to enthusiastically listen to students, and take an active interest in their questions. Third, 'understanding others' should be emphasized in curriculum. Lastly, receptive and ordinary conversations should be encouraged in classroom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엽, "현대 해석학의 제문제" 지평문화사 199-224, 1997
2 윤병희, "해석적 체험과 교육적 체험" 14 (14): 235-263, 1996
3 양미경, "학생의 질문 행동 및 내용의 특성와 그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 분석" 한국교육학회 40 (40): 99-128, 2002
4 Gadamer, H. -G, "진리와 방법 2: 철학적 해석학의 기본 특징들" 문학동네 2012
5 최명선, "지식과 교육: Gadmer와 Nietzsche 해석학의 교육적 시사"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7-50, 2006
6 윤병희, "인간의 유한성과 교육의 가능성-철학적 해석학과 교육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1-21, 2002
7 조현규, "인(仁)'과 '배려(care)' 윤리의 현대 도덕교육에의 시사" 한국교육철학회 (31) : 135-153, 2007
8 이은주, "유아교육에서 ‘돌봄’과 ‘살림’에 대한 논의" 교육연구소 6 (6): 183-207, 2005
9 박상현, "수업 담론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의 필요성: 가다머·리쾨르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29-51, 2014
10 이병승, "보살핌 윤리의 정당화 논의" 한국교육철학회 (21) : 2002
1 김진엽, "현대 해석학의 제문제" 지평문화사 199-224, 1997
2 윤병희, "해석적 체험과 교육적 체험" 14 (14): 235-263, 1996
3 양미경, "학생의 질문 행동 및 내용의 특성와 그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 분석" 한국교육학회 40 (40): 99-128, 2002
4 Gadamer, H. -G, "진리와 방법 2: 철학적 해석학의 기본 특징들" 문학동네 2012
5 최명선, "지식과 교육: Gadmer와 Nietzsche 해석학의 교육적 시사"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7-50, 2006
6 윤병희, "인간의 유한성과 교육의 가능성-철학적 해석학과 교육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1-21, 2002
7 조현규, "인(仁)'과 '배려(care)' 윤리의 현대 도덕교육에의 시사" 한국교육철학회 (31) : 135-153, 2007
8 이은주, "유아교육에서 ‘돌봄’과 ‘살림’에 대한 논의" 교육연구소 6 (6): 183-207, 2005
9 박상현, "수업 담론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의 필요성: 가다머·리쾨르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29-51, 2014
10 이병승, "보살핌 윤리의 정당화 논의" 한국교육철학회 (21) : 2002
11 박병춘, "배려윤리의 초등 도덕과교육에의 적용방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 : 247-270, 2005
12 김완순, "배려윤리의 이론적 배경" 4 : 47-89, 2008
13 목영해, "배려윤리와 유교윤리의 공통점과 그 함의" 한국도덕교육학회 14 (14): 3-70, 2002
14 Noddings, N., "배려교육론: 인간화 교육을 위한새로운 접근" 다른우리 2002
15 Noddings, N, "배려: 윤리와 도덕교육에 대한 여성적 접근법" 천지 2009
16 Noddings, N., "넬 나딩스의 교육철학" 아카데미프레스 2010
17 임정연, "나딩스 배려교육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도덕교육학회 24 (24): 135-162, 2012
18 손승남, "교육해석학" 교육과학사 2001
19 우정길, "교육강연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20 Buber, M, "교육강연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21 Bernstein, R. J, "객관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서(Beyond Objectivism and Relativism)" 보광재 1996
22 심승환, "孔子와 Noddings를 통해 본 교육의 본래적인 관계"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9 (29): 73-99, 2015
23 강문석, "‘합리성’과 ‘진정성’의 윤리학적 긴장 - 나딩스의 배려윤리와 헤어의 대응논리를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16) : 167-190, 2008
24 Gadamer, H. -G, "Truth and Method" Continuum Publishing Group 2004
25 김수동, "Noddings의 배려를 위한 대화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철학학회 (32) : 45-69, 2004
26 김수동, "Noddings의 도덕교육론에 나타난 배려의 요소와 그 실천양식" 한국교육철학회 (21) : 2002
27 Sooyoun Han, "Is It an ‘Educational’ Activity?: The Case of a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Class"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660-673, 2006
28 Noddings, N., "Educating Moral People: A Caring Alternative to Charact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2002
29 Burbules, N. C., "Dialogue in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199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Ideas | ![]() |
2022-06-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dea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s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4-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한국교육사상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Educational Idea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5 | 0.89 | 0.46 |
상징디자인의 이해[Understanding of Symbolic Design]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장은석상징디자인의 이해[Understanding of Symbolic Design]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장은석문화관광상품의 이해[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재호 교수문화관광상품의 이해[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재호 교수항공사 취업을 위한 미래 항공 운송 산업의 이해[Understanding the Future Air Transport Industry for Airline Employment]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