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의당의 변화: 원내정당화 현상을 중심으로 = Changes in the Justice Party: Focus on Transition from Mass Party to Parliamentary Par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6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학계, 언론, 정의당 소속의원 및 관계자들은 정의당을 대중정당의 전형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제20대 국회와 제21대 총선을 전후하여 정의당에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정당을 지향하며 창당한 정의당의 변화와 관련한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정당구조에서 대안정당모델로 제시되는 ‘대중정당모델’과 ‘원내정당모델’의 이론적 배경과 특징을 알아보고,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포괄정당과 원내정당을 비교·분석하였다.
      정의당은 대중정당을 지향하면서 발생한 편향적인 당 운영, 국고보조금에 대한 의존증가, 선거에서의 낮은 반응성과 같은 한계에 따라 전략적 차원으로 당의 운영에 변화를 주었다. 변화의 양상은 이념 선명성 약화, 당원 중심 운영의 변화, 원내의원의 영향력과 자율성 확대가 나타남으로써 정의당이 포괄정당화 되어가는 것이 아닌 원내정당화 되어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서구 정당발전단계를 보편적인 연구 분석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서구와 다른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기존의 연구를 재확인하였다.
      번역하기

      학계, 언론, 정의당 소속의원 및 관계자들은 정의당을 대중정당의 전형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제20대 국회와 제21대 총선을 전후하여 정의당에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

      학계, 언론, 정의당 소속의원 및 관계자들은 정의당을 대중정당의 전형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제20대 국회와 제21대 총선을 전후하여 정의당에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정당을 지향하며 창당한 정의당의 변화와 관련한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정당구조에서 대안정당모델로 제시되는 ‘대중정당모델’과 ‘원내정당모델’의 이론적 배경과 특징을 알아보고,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포괄정당과 원내정당을 비교·분석하였다.
      정의당은 대중정당을 지향하면서 발생한 편향적인 당 운영, 국고보조금에 대한 의존증가, 선거에서의 낮은 반응성과 같은 한계에 따라 전략적 차원으로 당의 운영에 변화를 주었다. 변화의 양상은 이념 선명성 약화, 당원 중심 운영의 변화, 원내의원의 영향력과 자율성 확대가 나타남으로써 정의당이 포괄정당화 되어가는 것이 아닌 원내정당화 되어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서구 정당발전단계를 보편적인 연구 분석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서구와 다른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기존의 연구를 재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mbers of the academic, the mass media and the Justice Party regard the Justice Party as a typical mass party. However, before and after the 20th and 21st general elections, significant changes have been detected in the Justice Party.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nging propensities of the Justice Party. A framework of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mass party model and parliamentary party model that are presented as alternative party model in the Korean political structure. This article also compares parliamentary party with catchall Party to distinguish the characters of the Justice Par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Justice Party changed the way the party manages resulting in more dependence on state subsidies, and lower responsiveness in elections than before. The changes in management methods have weakened the party’s major principles, changed party member-centered management, and expanded the influence and autonomy of party’s lawmakers. It means a tendency of parliamentary party rather than that of catch-all Party. In other words,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legitimate research in Western Europe as a framework for universal research analysis, and it is reaffirm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should take into account Korean uniqueness different from that in Western Europe.
      번역하기

      Members of the academic, the mass media and the Justice Party regard the Justice Party as a typical mass party. However, before and after the 20th and 21st general elections, significant changes have been detected in the Justice Party. This study iden...

      Members of the academic, the mass media and the Justice Party regard the Justice Party as a typical mass party. However, before and after the 20th and 21st general elections, significant changes have been detected in the Justice Party.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nging propensities of the Justice Party. A framework of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mass party model and parliamentary party model that are presented as alternative party model in the Korean political structure. This article also compares parliamentary party with catchall Party to distinguish the characters of the Justice Par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Justice Party changed the way the party manages resulting in more dependence on state subsidies, and lower responsiveness in elections than before. The changes in management methods have weakened the party’s major principles, changed party member-centered management, and expanded the influence and autonomy of party’s lawmakers. It means a tendency of parliamentary party rather than that of catch-all Party. In other words,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legitimate research in Western Europe as a framework for universal research analysis, and it is reaffirm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should take into account Korean uniqueness different from that in Western Europ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민, "한국의 새로운 정당모델: 대안 정당으로서의 유권자정당" 한국세계지역학회 32 (32): 7-36, 2014

      2 박윤희, "한국 정당의 특징 및 선거전문가정당에 관한 연구: 16대・17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3 (3): 1-26, 2010

      3 이동윤, "한국 정당연구의 비판적 검토: 논쟁적 비판을 위한 재검토" 한국정당학회 9 (9): 183-201, 2010

      4 주인석, "한국 정당발전의 유형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직변화의 실제와 개혁방안 간의 모순" 한국정당학회 8 (8): 5-36, 2009

      5 박경미, "한국 정당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화 이후 총선의 선거경쟁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1 (11): 31-57, 2012

      6 강원택, "한국 정당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당 조직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8 (8): 119-141, 2009

      7 박찬표, "한국 ‘정당민주화론’의 반성적 성찰:‘정당민주화’인가 ‘탈정당’인가?" 사회과학연구소 11 : 137-166, 2003

      8 송호진, "진보정의당, 새 당명으로 사회민주노동당 추진"

      9 정진민, "정책정당 실현을 위한 내부조건" 1 (1): 7-24, 2002

      10 이정애, "정의당·국민모임·노동정치연대·진보결집+ “11월까지 새 진보정당 창당”"

      1 정진민, "한국의 새로운 정당모델: 대안 정당으로서의 유권자정당" 한국세계지역학회 32 (32): 7-36, 2014

      2 박윤희, "한국 정당의 특징 및 선거전문가정당에 관한 연구: 16대・17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3 (3): 1-26, 2010

      3 이동윤, "한국 정당연구의 비판적 검토: 논쟁적 비판을 위한 재검토" 한국정당학회 9 (9): 183-201, 2010

      4 주인석, "한국 정당발전의 유형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직변화의 실제와 개혁방안 간의 모순" 한국정당학회 8 (8): 5-36, 2009

      5 박경미, "한국 정당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화 이후 총선의 선거경쟁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1 (11): 31-57, 2012

      6 강원택, "한국 정당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당 조직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8 (8): 119-141, 2009

      7 박찬표, "한국 ‘정당민주화론’의 반성적 성찰:‘정당민주화’인가 ‘탈정당’인가?" 사회과학연구소 11 : 137-166, 2003

      8 송호진, "진보정의당, 새 당명으로 사회민주노동당 추진"

      9 정진민, "정책정당 실현을 위한 내부조건" 1 (1): 7-24, 2002

      10 이정애, "정의당·국민모임·노동정치연대·진보결집+ “11월까지 새 진보정당 창당”"

      11 이정훈, "정의당, 서울시장 경선서 ‘저스티스 리그’ 도입 검토"

      12 김규남, "정의당 ‘개방형 경선제’ 도입, 세부내용 TF서 정하기로"

      13 한지훈, "정의, 평화당에 공동교섭단체 구성 제안…” 정중히 요청드린다"

      14 박명호, "정당환경의 변화와 의회 - 정당의 관계" 3 (3): 179-196, 2004

      15 정진민, "정당정치 변화와 유권자정당" 도서출판 인간사랑 2018

      16 정진민, "정당의 후보선출과 공정성: 유권자정당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7 (17): 145-170, 2011

      1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 2012~2018"

      18 정진민, "정당개혁의 방향: 정당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2 (2): 23-39, 2003

      19 임성호, "원내정당화와 정치개혁 : 의회민주주의 적실성의 회복을 위한 소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9 (9): 133-166, 2003

      20 박일호, "울산 진보 3당, 지방선거 후보 단일화 사실상 무산…정의당 반대"

      21 최장집, "어떤 민주주의인가" 후마니타스 2007

      22 박홍두, "심상정이 문재인 비판하자 일부 정의당 당원들 탈당 선언 나와…왜?"

      23 유하라, "심상정 “개방형 경선으로 더 큰 정당” 양경규 “정의당은 ‘착한 민주당’ 아냐”"

      24 박대로, "새정치연합 정강정책 논란 ‘여진’…당헌당규 협상 진행"

      25 김주년, "새누리당 강령, 어떻게 바뀌었나"

      26 김태규, "박원석 “외연 넓혀야” 이정미 “당 중심 역량 강화”"

      27 정진민, "민주화 이후의 정치제도: 원내정당화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3 (13): 115-142, 2007

      28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후마니타스 2003

      29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5

      30 최장집, "민주주의의 민주화" 후마니타스 2006

      31 채진원, "민주노동당의 변화와 정당모델의 적실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32 김아진, "메갈리아 논란’에 유탄 맞은 정의당...탈당 사태로 번져"

      33 유근형, "더민주, 강령서 ‘노동자’ 삭제 포기"

      34 안철현, "대중정당론과 원내정당론 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과학연구소 28 (28): 117-133, 2012

      35 신형철, "김종대 ‘조국 데스노트’ 언급… 정의당 평당원 탈당 행렬"

      36 임성호, "국회 원내 정당간의 갈등해소를 위한 제도화 방안: 실마리로서의 원내정당화 모델" 144 : 2-55, 2005

      37 서영지, "가입 추천인에 “노회찬”…정의당원 20% 늘었다"

      38 정해준, "‘금강 세종보 철거 운동’, 정의당 중앙당 나선다"

      39 Bramble, Tom, "The transformation of the Australian Labor Party" ANU Research Publications 2007

      40 Pierson Chris, "The Labor Legacy: Looking Back with the Australian Labor Par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41 Key, V. O., "Politics, Parties and Pressure Groups" Crowell 1964

      42 Panebianco Angelo, "Political Parties: Organization and Pow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43 Janda, Kenneth, "Political Parties: A Cross-National Survey" The Free Press 1980

      44 Duverger, Muarice, "Political Parties. Their organization and Activity in the Modern State" John Wiley and Sons Inc 1963

      45 Kirchheimer, Otto,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al Development" Princeton Univ. Press 177-200, 1966

      46 Mair, Peter, "Party System Change: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Clarendon Press 1997

      47 Harmel, Robert, "Parties and Their Environments" Longman Inc., Press 1982

      48 Mair, Peter, "How Parties Organize: Change and Adaption in Party Organizations in Western Democracies" Sage 1994

      49 Crewe, "Electoral Change in Western Democracies" Croom Helm 1985

      50 Katz, Richard, "Changing Models of Party Organization and Party Democracy: The Emergence of the Cartel Party" 1 (1): 5-28,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 2.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2 1.98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